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3-2023 [Cumulative File]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62-V3
Kim, Jibum / Department of Soci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서베이리서치센터(SRC)가 한국사회의 구조와 변화 및 국제비교 연구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자료를 산출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공익목적의 조사사업이다. KGSS는 미국 시카고대학교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enter)의 GSS(General Social Survey)를 기본모형으로 삼고, 유럽과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시행되는 GSS 형태의 조사들의 내용을 일부 수용함과 더불어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 설문지는 매년 반복해서 조사하는 반복핵심설문,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조사하는 연차적 주제모듈,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4개국의 조사연구기관들이 공동 개발하여 격년 주기로 조사하는 EASS(East Asian Social Surveys)의 주제모듈, 유럽연합 32개국이 격년 주기로 조사하는 ESS(European Social Survey)의 주제모듈, 그리고 연구자들의 제안모듈인 특별주제모듈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KGSS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시행되었고, 2014년 이후에는 격년으로 시행되고 있다. SRC는 KGSS자료를 이용한 시계열적 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003-2014년, 2016년, 2018년, 2021년, 2023년에 조사된 변수들이 모두 포함된 누적파일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 변수들은 (1)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 (2) 반복핵심설문 변수, (3) 특별주제모듈 변수, (4) ISSP의 연차적 주제모듈 변수, (5) EASS주제모듈 변수, 그리고 (6) ESS주제모듈 (7) 가구원 특성 변수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Ⅰ. 반복핵심설문
1) 정치: 국가자긍심, 정치성향, 정치만족도, 정치전망, 지지정당 및 선호정당, 국정운영평가, 북한민족통일 문제
2) 경제: 경제만족도, 경제전망
3) 사회: 사회적 신뢰 및 공정성, 사회집단을 이끌어가는 지도자에 대한 신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노력에 대한 평가
4) 응답자/배우자/가구주의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수
Ⅱ. ISSP주제모듈
-2003년: 노동지향, 사회불평등, 가족과 성역할의 변화, 국가정체성
-2004년: 시민권, 사회연결망과 사회적자원
-2005년: 노동지향
-2006년: 정부의 역할
-2007년: 레저와 스포츠
-2008년: 종교
-2009년: 사회불평등
-2010년: 환경
-2011년: 건강과 건강보호
-2012년: 가족과 성역할의 변화
-2013년: 국가정체성
-2014년: 시민권
-2016년: 정부의 역할
-2018년: 종교
-2021년: 환경
-2023년: 국가정체성과 시민권
Ⅲ. 특별주제모듈
- 2005년: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 2007년: 문화산업과 소비
- 2009년: 정신건강과 자살,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 2010년: 근골격계 질환, 국내이주민
- 2011년: 시민권/이타주의/기부행위, 연령주의, 인권의식 확산
- 2012년: 한국인의 인터넷/SNS 사용 및 중독, 한국인의 정신건강
- 2013년: 위험사회, 한국인의 인터넷/SNS 활용, 한국인의 일자리 선택과 직업가치, 한국인의 노동가치
- 2014년: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위험사회
- 2016년: 원자력발전/SNS 활용, 불평등과 정치참여, 유교/인간본성, 낙관주의/희망
- 2018년: 연령주의, 인권의식 확산, 불평등과 정치참여, 결혼/가족/출산에 대한 세대 간 인식 변화, 일자리 및 소득정책, 여론조사, 국민성/지역사회의 활성화
- 2021년: 유교/인간본성, 기본소득, 정치적 다양성/정당, 계층과 사회보험
- 2023년: 빈곤, 성/국가 정체성, 이주, 정치태도, 선거여론조사 태도
Ⅳ. EASS주제모듈
-2006년: 동아시아의 가족(Family in East Asia)
-2008년: 동아시아의 문화와 전지구화(Globalization & Culture in East Asia)
-2012년: 동아시아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Network Social Capital in East Asia)
-2016년: 동아시아의 가족(Family in East Asia)
-2018년: 동아시아의 문화와 전지구화(Globalization & Culture in East Asia)
-2021년: 동아시아의 건강(Health in East Asia)
-2023년: 동아시아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Network Social Capital in East Asia)
Ⅴ. ESS주제모듈
-2023년: 개인과 사회의 안녕(Personal and social well-being)
KGSS ISSP EA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political attitudes political tendencies political satisfaction party identification political party support vote evaluation of state administration evaluation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evaluation of state affairs evaluation of government affairs attitude towards reunification Inter-Korean relations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s Korean reunification Reunification of Korea North Korean defector North Korean defectors satisfaction with economy economic outlook business outlook social trust interpersonal trust trust in institutions religious activities household economy class consciousnes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government role civil society the informed citizen tolerance citizenship citizen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politics political efficacy interest in politics corruption inequality fairness social origins achievement status educational opportunities class conflict success risk social safety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protection SNS Social Network Service East Asia family atomic energy social relations volunteer activities election poll poverty national identity migration moving
1) 이 자료는 2025년 2월 28일 공개된 수정 버전(V3)입니다. KOSSDA는 기탁기관의 요청에 따라 V2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V3에는 기존 연도별 데이터의 오류 수정 사항과 모든 연도에 적용 가능한 가중치 변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장 최근 배포된 누적데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 KGSS 2003-2023 누적자료에서는 시/도의 지역 정보를 제공합니다. 세분화된 지역 정보는 지역코드자료제공(https://kgss.skku.edu/kgss/Geographic.do)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File Type | File Name | File Description | File Format | File Size | Download |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 kor_que_CUM0062_V3.pdf | 설문지 (한글) | 9.91 MB | Download |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English) | Eng_que_CUM0062_V3.pdf | 설문지 (영문) | 10.99 MB | Download | |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 kor_codebook_CUM0062_V3.pdf | 코드북 (한글) | 28.43 MB | Download | |
Related Documents-Codebook(English) | Eng_codebook_CUM0062_V3.pdf | 코드북 (영문) | 26.14 MB | Download | |
Related Documents-Other | kor_interviewer_instruction_CUM0062.pdf | 조사원지침서 (한글) | 985.57 kB | Download |
Measured since the release date of the current version data.
If the data were released before May 11, 2017, it was measured since May 11, 2017.
101-250, KOSSDA,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TEL 82-2-880-2111 FAX 82-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