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confers KOSSDA thesis award every year since 2012 to raise awareness of data archives and promote data-based researches, KOSSDA's data collection in particular. For the coming 12th award this year(2023), Please submit your dissertations (either of master degree and doctoral one) to the competition. The award will be conferred to three selected among the applicants and it will go with a certificate and prize money.
※ Requirement : When applying for the competition, you should include into your dissertation "KOSSDA data citation" provided by KOSSDA either of within the body or in the Reference section of the dissertation.
One Doctor's thesis (Prize Money: Two million won)
Two Master's thesis (Prize Money: One million won)
Deadline: December 15, 2023
Review: for 4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submission
Announcement of the award: January 12, 2024 (It may change)
Awarding ceremony: January, 2024 (It may change)
Complete the application form and submit it by email (kossda@snu.ac.kr) along with the thesis and the required documents.
※ Required documents : Graduation Certificate (or Prospective Graduation Certificate)
kossda@snu.ac.kr
02-880-2075
제5회 KOSSDA 논문경진대회 시상식이 2016년 12월 29일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개최되었다. KOSSDA 논문경진대회는 대학원과 학부 학생들의 사회과학 경험연구 역량을 함양하고 KOSSDA 소장 자료의 활용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실시된다.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는 논문경진대회에는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등 사회과학 전공 석·박사 대학원생과 학부생 여러 명이 참여하였다. KOSSDA는 이중 심사를 통해 3편의 우수논문을 선정하였다. 수상자와 수상논문 그리고 심사총평은 아래와 같다.
이윤경 (연세대 공공문제연구소), "사회·경제 양극화 및 계층격차 인식에 대한 문화적 요인의 영향 분석"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인의 의식 및 가치관 조사, 2013'
다중회귀분석
문화적 요인이 사회 및 계층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문화여가생활만족도에 따른 사회·경제양극화에 대한 인식과 계층인식 수준을 회귀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문화여가생활 만족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양극화와 본인의 계층적 위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 요인의 사회통합기제로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탁장한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 중첩된 가난과 이웃관계, 그리고 정신건강"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 2012'
위계선형모형
지역사회 빈곤수준이 빈곤층의 이웃관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지역 거주 빈곤층의 이웃유대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비-빈곤지역 거주 빈곤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지역이 단순히 '우범지대', '한계적 공간'이 아니라 빈곤한 상황 속에서도 삶의 의지를 북돋는 공간적 구조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강태영 (서강대 사회학과), "허위의식의 귀환: 18대 대선에서 나타난 계급 상향 인식의 영향력"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 2012'
LASSO 로지스틱 회귀분석
낮은 소득의 사람들이 주관적으로는 높은 계층으로 인식하는 계급상향인식을 '허위의식'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허위의식이 제18대 대선의 보수정당후보 지지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허위의식'이 높은 사람일수록 보수정당후보를 지지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심사총평
선정된 세 논문 모두 흥미롭게도 양극화와 계층의식을 다루었으며 실제 경제적 계층과 사람들이 내면화하는 주관적 계층의식 간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다이내믹스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이 주목할 점이다. 이는 한국 사회과학계의 현재 화두를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박원호 교수시상식에는 강명구 아시아연구소 소장, 이재열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논문상 심사위원을 맡은 박원호 교수(서울대 정치외교학부)와 김석호 교수(서울대 사회학과), 그리고 우수논문 수상자들과 이들을 지도한 이삼열 교수(연세대 행정학과)와 하상응 교수(서강대 정치외교학과) 등이 참석하였다. 시상식은 1부 시상과 2부 수상자들의 논문발표 순으로 진행되었다. KOSSDA는 앞으로도 매년 논문상를 개최하여 신진 연구자들에게 경험연구 역량을 증진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KOSSDA 자료 이용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KOSSDA 논문경진대회 시상식이 2018년 2월 2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시상식은 예년과 달리 데이터 페어 사전 행사로 진행하여 경험연구 자료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 및 연구자분들의 관심을 촉발하고 수상자들에게 보다 영광스러운 자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시상식에는 이번 논문경진대회를 후원한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이봉주 학장을 비롯하여 아시아연구소 박수진 소장,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이재열 원장이 참석하였다. 올해는 사회학, 행정학, 정치외교학 등 사회과학분야뿐만 아니라 보건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 지원자들의 고급계량분석방법을 적용한 논문이 다수 제출되었다. KOSSDA는 이 중 심사를 통해 3편의 우수논문을 선정하였다. 수상자와 수상논문은 아래와 같다.
윤지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투표에 대한 사회적 영향의 재조명"
동아시아연구원(EAI), 'EAI 총선대선패널조사, 2012','대선패널조사, 2017', '총선패널조사, 2008'
다중회귀분석
한국의 선거에서 나타나고 있는 지역주의의 변화와 세대균열의 현상을 교차압력 개념을 적용하여 검증
민동후 (경희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사회연결망이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염유식,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 2011-2012'
사회연결망분석
의료이용 충족도에 있어 개인적 요인의 영향력에 국한하였던 선행 연구의 한계를 넘어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연결망의 효과를 검증
한상효 (서울대 사회학과), "지역사회의 경제적 조건이 계급별 투표에 미치는 영향-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 2010'
다층분석
투표선택에 대한 계급의 효과가 전국적으로 동일하다는 기존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접근하여 지역사회의 경제적 조건에 다른 계급의 차별적 투표선택 효과를 검증
KOSSDA는 논문상의 신청자격, 일정, 심사방법 등을 보다 재정비하고 체계화하여 2018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경험연구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 및 학부 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
제7회 논문경진대회 시상식이 2019년 2월 15일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참여 형식을 간소화하고 대학원생과 일반 연구자들까지 참여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사회학, 정치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언론정보학 등의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석/박사와 연구원이 지원하였습니다. 심사를 맡아주신 세분의 심사위원들은 데이터 활용과 분석 그리고 방법론의 관점에서 세편의 우수논문을 선정하였으며 특히 '연구 관심에 맞는 적절한 데이터 선택'(석사), '연구 주제와 데이터 가공 및 분석 간의 일관성과 엄밀함'(박사), '다양한 가용 데이터를 활용한 다층적 분석'(일반)을 선정 이유로 알려주셨습니다. 수상자와 수상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권소영 (서울대 아동가족학과),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동패널조사, 17차
잠재계층분석
김해리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미디어 세대의 변천: 1995-2015년 미디어 매트릭스에 대한 시계열 분석"
국민생활시간조사, 1995, 2000, 2005, 2010, 2015
코호트분석
최성수(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 이수빈(성균관대 사회학과 박사과정),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 부모학력에 따른 자녀 최종학력 격차의 출생 코호트 추세"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 교육과 사회계층이동조사(KESSM) ;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 청년패널조사(YP) ;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코호트분석
제8회 논문경진대회 시상식이 2020년 2월 5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석/박사 대학원생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참여형식을 보다 간소화하는 동시에 응모부문을 학위논문에 한정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심사를 맡아주신 두 분의 심사위원은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응모논문들 중에서 적절한 자료와 통계기법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낸 두 편의 석사 학위논문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습니다. 특히 서울대 윤리교육과 김동언 씨의 논문은 주제선정의 시의성과 뛰어난 이론적 논리전개라는 점에서, 서강대 경제학과 이태현 씨의 논문은 독창적인 주제를 적절한 실증연구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수상자와 수상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김동언 (서울대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차별 피해와 목격 경험이 소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정성, 사회갈등, 사회통합 실태조사, 2011
부분비율승산모형
이태현 (서강대 경제학과), "성격적 특성이 가계 부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패널조사 18차년도
다양도 분석 / 집약도 분석
제9회 논문경진대회 시상식이 2021년 1월 28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대학원생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총 상금을 2배로 확대하여 진행되었으며 사회학, 법학, 범죄학, 정치외교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등의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학위논문이 응모되었습니다. 심사를 맡아주신 네 분의 심사위원은 적절한 자료의 활용과 분석 및 통계기법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낸 한 편의 박사학위논문과 두 편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박사학위논문 부문에서 수상한 서울대 의과대학 의료관리학연구소 백지원 씨의 논문은 연구질문과 분석의 명확성과 엄밀성, 그리고 완결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석사학위논문 부문에서 수상한 동국대 경찰사법대학원 김도선 씨의 논문은 충실한 이론적 논의의 구성과 주제에 맞는 자료와 분석방법의 선택, 그리고 과정 및 결과 서술의 우수성 측면에서, 서울대 윤리교육과 이설아 씨의 논문은 자료의 선택과 분석의 정확성, 그리고 공정성 인식에 이론적·개념적으로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수상자와 수상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백지원 (서울대 의과대학 의료관리학연구소),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한국 농촌 노인의 사회연결망에 따른 고혈압 관리, 우울증상, 그리고 사망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 2011-2012 [1차], 2012-2013 [2차], 2013-2014 [3차]
임의효과 로지스틱모형 / 임의효과 선형모형 / 비례위험모형 / Cox-MSM
김도선 (동국대 경찰사법대학원), "비행친구접촉과 일반긴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2016 : 초4패널 [1-7차]
위계적 회귀모형
이설아 (서울대 윤리교육과), "불공정 인식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종합사회조사, 2014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 /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
제10회 논문경진대회 시상식이 2022년 2월 9일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대학원생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학위논문들이 응모되었습니다. 심사를 맡아주신 네 분의 심사위원은 적절한 데이터의 활용과 분석 및 통계기법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낸 한 편의 박사학위논문과 세 편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박사학위논문 부문에서 수상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송시영 씨의 논문은 고령화 시대에 걸맞은 시의성 높은 주제선정과 적절한 자료 선택의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석사학위논문 부문에서 수상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김관희 씨의 논문은 독창적 주제를 실증연구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백승지 씨의 논문은 연구주제에 대한 이론이 자료 선택과 분석에 적절하게 이어졌다는 점에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이두희 씨의 논문은 연구주제의 시의성과 방법론에 대한 깊은 이해가 뒷받침되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수상자와 수상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송시영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베이비부머와 해방전쟁 세대의 소비패턴 유형과 전이 양상"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008
잠재프로파일분석 / 잠재전이분석
김관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사회적 기업의 사회 지향적 불성실 공시"
사회적 가치 서베이, 2018 : 사회성과인센티브(SPC) 참여 사회적기업
상관관계분석 / 2SLS 회귀분석
백승지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남한 주민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보는가?: 국민정체성과 경제적 요인의 교호 작용을 중심으로"
통일의식조사, 2020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선형회귀분석
이두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한국인의 사회이동가능성 인식과 신뢰: 대인신뢰와 공적신뢰를 중심으로"
사회통합실태조사, 2019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선형회귀분석 / 도구변수를 포함한 2SLS 회귀분석
제11회 논문상 시상식이 2023년 2월 3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KOSSDA 논문경진대회는 대학원생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학위논문들이 응모되었습니다. 심사를 맡아주신 네 분의 심사위원은 적절한 데이터의 활용과 분석 및 통계기법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낸 한 편의 박사학위논문과 두 편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박사학위논문 부문에서 수상한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이수미 씨의 논문은 고령화 시대에 필요한 시의성 높고 실천적 의미를 가진 주제선정과 적절한 자료 선택 및 분석의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석사학위논문 부문에서 수상한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사회학과 박주희 씨의 논문은 적절한 문제의식을 통한 유기적인 선행연구 검토와 적합한 자료에 기반한 결과도출의 타당성 측면에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임재연 씨의 논문은 시의적절한 문제의식과 면밀한 이론적 검토 및 높은 수준의 방법론적 이해의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수상자와 수상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수미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의 전허약 궤적과 입원 및 사망의 관련성: 2006-2020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006, 2008
집단중심 궤적모형
박주희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Sociology), "참여 의향이 있는 시위 비참여자와 참여 의향이 없는 시위 비참여자 및 시위 참여자와의 차이에 관한 분석"
한국종합사회조사, 2014
다항로짓모형
임재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한국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출산 의향, 2010-2020"
여성가족패널조사, 2007-2016 [1-6차]
요인분석, 성장곡선모형, 패널 로짓 확률효과모형
KOSSDA는 자료를 이용한 경험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KOSSDA 소장 자료를 분석하여 작성한 논문을 대상으로 2012년부터 매년 경연대회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네 차례 대회(2012년-2015년)의 수상 논문은 다음과 같다.
학위부문
행복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효과: 포화점의 존재와 사회비교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속동네의 빈곤이 주민들의 이웃관계에 미치는 맥락효과: 동네의 거주불안 정성 및 무질서의 영향을 중심으로
학위부문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실증연구
일반부문
세대교체와 북한인식의 변화: 코호트 분석
공무원 무사안일의 영향요인 추세 분석: 공무원 임용 시 공공봉사동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위부문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측정 및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원 연결망에 따른 한국인 연령 구간의 재구성
일반부문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비교를 중심으로
사회자본이 옴니보어적 문화소비에 미치는 영향
학위부문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by an Organization on Employee Reciprocation: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Occupational Commitment
일반부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교육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외국인 인식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외국인 정책 호응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계열에 따른 가정환경 및 진로· 직업 인식과 역량 연구
KOSSDA 논문상은 일반논문뿐만 아니라 학위논문도 대상으로 하며 박사과정뿐만 아니라 석사과정 및 학부생에게도 기회를 부여하여 경험연구에 관심 있는 예비연구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이 열려 있다. 수상자들 역시 박사과정 5명, 석사과정 6명, 학부 재학생 2명으로 학위과정 전체에서 모두 배출되었다. 수상자의 학문분야를 살펴보면 13명 중 사회학 전공자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행정학 전공자가 3명, 정치외교학, 사회복지학, 경영학, 교육학 전공자가 각각 1명이였다.
수상 논문의 이용 자료를 보면 총 14편 중 8편의 논문이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 산출한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KGSS는 전국 단위의 표본조사이자 종합적 사회조사인 만큼 대표성이 높고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KGSS는 한국의 사회과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수상 논문들은 다문화 수용성, 외국인 정책, 사회자본, 연령구조, 정부신뢰, 문화소비 등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 KGSS 자료를 활용하였다. KOSSDA는 KGSS가 처음 시작된 2003년부터 최근 2014년까지의 각 연도 자료와 이 자료들을 통합한 누적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수상 논문의 이용 자료 경향을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KGSS 자료 이외의 다양한 자료들이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웃범죄 및 청소년범죄 주제의 경우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자조사’, 공무원의 무사안일을 주제로 한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 ‘행정에 관한 공무원 인식조사’ 그리고 북한에 대한 국민 인식을 주제로 한 연구는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국민의식조사’와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의 ‘통일의식조사’를 각각 이용하였다. KOSSDA는 이들 기관 이외에도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동아시아연구원, 아산정책연구원, KBS, SBS 등 국내 주요 자료산출 기관들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경험연구 논문을 준비하는 연구자라면 KOSSDA가 제공하는 2,500여 건의 조사자료와 질적자료 중에서 해당 연구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KOSSDA 웹사이트에서 찾아 활용해 볼 것을 권한다. 원하는 자료를 KOSSDA에서 찾아 양적 혹은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논문을 작성했다면 누구든지 KOSSDA 논문상에 참가할 수 있다. 응모한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KOSSDA 자료출처작성표준서식에 따라 자료출처를 명기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박사학위부문
노인의 전허약 궤적과 입원 및 사망의 관련성: 2006-2020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석사학위부문
참여 의향이 있는 시위 비참여자와 참여 의향이 없는 시위 비참여자 및 시위 참여자와의 차이에 관한 분석
한국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출산 의향, 2010-2020
박사학위부문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베이비부머와 해방전쟁 세대의 소비패턴 유형과 전이 양상
석사학위부문
사회적 기업의 사회 지향적 불성실 공시
남한 주민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보는가?: 국민정체성과 경제적 요인의 교호 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사회이동가능성 인식과 신뢰: 대인신뢰와 공적신뢰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부문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한국 농촌 노인의 사회연결망에 따른 고혈압 관리, 우울증상, 그리고 사망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부문
비행친구접촉과 일반긴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불공정 인식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부문
차별 피해와 목격 경험이 소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격적 특성이 가계 부채에 미치는 영향
학위부문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세대의 변천: 1995-2015년 미디어 매트릭스에 대한 시계열 분석
일반부문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 부모학력에 따른 자녀 최종학력 격차의 출생 코호트 추세
학위부문
투표에 대한 사회적 영향의 재조명
사회연결망이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지역사회의 경제적 조건이 계급별 투표에 미치는 영향-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학위부문
사회·경제 양극화 및 계층격차 인식에 대한 문화적 요인의 영향 분석
일반부문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 중첩된 가난과 이웃관계 , 그리고 정신건강
허위의식의 귀한: 18대 대선에서 나타난 계급 성향 인식의 영향력
학위부문
행복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효과: 포화점의 존재와 사회비교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속동네의 빈곤이 주민들의 이웃관계에 미치는 맥락효과: 동네의 거주불안 정성 및 무질서의 영향을 중심으로
학위부문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실증연구
일반부문
세대교체와 북한인식의 변화: 코호트 분석
공무원 무사안일의 영향요인 추세 분석: 공무원 임용 시 공공봉사동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위부문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측정 및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원 연결망에 따른 한국인 연령 구간의 재구성
일반부문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비교를 중심으로
사회자본이 옴니보어적 문화소비에 미치는 영향
학위부문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by an Organization on Employee Reciprocation: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Occupational Commitment
일반부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교육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외국인 인식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외국인 정책 호응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계열에 따른 가정환경 및 진로· 직업 인식과 역량 연구
101-250, KOSSDA,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TEL 82-2-880-2111 FAX 82-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