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선거제도비교연구(CSES) 모듈6, 2024 : 한국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4-0038-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박원호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연구수행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초록

선거제도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of Electoral Systems, CSES)는 전 세계 50여 개국이 각국의 선거제도와 정치행태를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공동으로 수행하는 국제 조사연구 프로젝트이다. 이 조사연구는 1996년에 시작되었으며, 참여국은 자국의 선거 직후 5년 이내에 CSES 국제기획위원회가 설계한 공통 모듈(module)을 포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설문이 완료되면 각국은 응답자 단위의 개인 수준(Micro-level) 데이터에 선거구 수준(District-level) 및 국가 수준(Macro-level) 데이터를 결합하여 CSES 사무국에 기탁한다. 참여국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하나의 통합 공공 데이터셋으로 병합되어 제공된다. 현재 진행 중인 여섯 번째 모듈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부터 2026년까지이며, 주제는 '압력받는 대의 민주주의(Representative Democracy under Pressure)'로, (1)민주주의 제도의 기능과 성과에 대한 평가, (2)성별 대표성과 민주주의 절차에 대한 태도, (3)대안적 정부 형태에 대한 선호, (4)코로나19가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조사는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이 한국의 CSES 모듈6 공동연구 참여기관으로서 한국 유권자와 선거제도 특징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 나타나는 이념적 분열과 정치 양극화가 유권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국제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24년에 실시한 것이다. 자료는 제22대 국회의원 총선 이후,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제공 데이터는 공통 모듈 변수와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수를 포함한 개인 수준 데이터와 선거구별 투표자 수 및 후보자 수 등의 변수가 포함된 선거구 수준 데이터가 통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개인 수준 데이터
정치 관심도, 총선 관련 뉴스 미디어별 사용 빈도,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와 지지, 정치지도자보다 더 나은 정치적 결정자, 민주주의 실현 정도, 기관별 신뢰도, 현 정부 국정운영 평가, 국내 경제상태 변화 평가, 22대 총선 투표 행태 및 만족도, 22대 총선 공정성 정도, 지난 대선 및 총선 투표행태, 투표 시 인물 중요성, 정당 및 정치지도자 선호도, 이념 성향 평가, 정당 친밀도, 민주주의 만족도, 여성 국회의원 비율에 대한 의견, 위기 상황별 남성과 여성 지도자 중 적합한 리더십, 사회집단이 받는 대우의 공정성, 정치체계의 의료 보장성에 대한 평가, 코로나19 영향력 정도, 코로나19 감염 경험 등

2. 선거구 수준 데이터
선거구 명칭, 선거구 후보자 수, 선거구별 득표율, 선거구별 투표율, 선거구 유권자 수, 선거구별 총 투표 수, 선거구별 유효 투표 수, 선거구별 무효 투표 수, 선거구별 기권자 수 등

더 보기


주제분류

선거와 여론




자료이용안내

1. 이 데이터는 개인 수준 데이터(Micro-level data)와 선거구 수준 데이터(District-level data)가 통합된 형태로 제공됩니다. 설문문항과 직접 대응하지 않는 선거구 수준 변수 18개가 포함되어 있으니 분석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 수준 데이터(Micro-level data):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응답자 개인의 정치적 태도, 투표 행태 등에 관한 데이터
- 선거구 수준 데이터(District-level data): 분석의 편의성과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된 18개 변수로, 각 응답자가 속한 선거구의 투표자 수, 후보자 수 등 선거구별 맥락 정보를 포함
2. 이용자의 조사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영문 문서가 함께 제공됩니다.
- 조사설계 보고서(Design Report):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총선 이후 실시된 CSES 한국 조사의 설계 및 실행 절차에 대한 상세 정보(표본 설계, 조사 방식, 응답률 등)
- 매크로 보고서(Macro Report): 한국 조사 당시의 선거 및 정치 환경 설명 자료(선거제도, 정당 체계, 이념 분포, 유권자 등록 절차 등 한국 정치 제도와 제도적 맥락에 관한 배경 정보)
2-1. 조사설계 보고서의 일부 내용이 수정되어, 현재 공개된 파일은 V1.1 버전입니다.
- 섹션 A2 (Data Collection Organization): Southern Post(서던포스트)가 추가되었습니다.
- 섹션 H (Post-Survey Adjustment Weights): 데이터 파일의 가중치 포함 여부가 “그렇다”로 변경되었으며, 가중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추가되었습니다.
3. 이 조사는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IRB No. 2408/001-022)
4. CSES는 현재까지 모듈 1부터 6까지의 통합 공공 데이터셋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SES 공식 웹사이트(https://cses.org)에서 국제 통합 데이터세트 및 추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240038.pdf 설문지 (한글) PDF 622.94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영문) eng_que_20240038.pdf 설문지 (영문) PDF 590.06 k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eng_design_report_20240038_v1.1.pdf 조사설계보고서 (영문) PDF 324.32 k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eng_macro_report_20240038.pdf 매크로보고서 (영문) PDF 541.33 k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kor_interviewer_instruction_20240038.pdf 조사원지침서 (한글) PDF 9.1 M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한글) kor_coding_guide_20240038.xlsx 코딩가이드 (한글) EXCEL 235.92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영문) eng_coding_guide_20240038.xlsx 코딩가이드 (영문) EXCEL 235.45 kB 다운로드
아이디와 가중치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수
개인 수준
정치 관심도
매체 이용 빈도
정치에 대한 의견
정치 대체자
민주주의 실현
사회기관 신뢰도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
경제 상태
22대 총선
20대 대선
정당 선호도
정치지도자 선호도
이념 성향
코로나19 영향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
21대 총선
집단 대우
선거구 수준
목록으로
조회 수
616
관련 파일
269
데이터
8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