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Opinion Survey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Quality of Life, 2019
한영
- Data Type
- Survey data
- ID Number
- A1-2019-0083
- Title
-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Quality of Life, 2019
- DOI
-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9-0083-V1.0
- URI
- http://hdl.handle.net/20.500.12236/25437
- Series
-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Quality of Life
- Citation
- Kum, Hyunsub .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Quality of Life, 2019 [Dataset]. Center for Surve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2-03-24,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9-0083-V1.0
- Principal Investigator(s)
- Kum, Hyunsub / Center for Surve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Co-Investigator(s)
- Lee, Jinwoo / Center for Surve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Producer(s)
- Center for Surve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Copyright
- Center for Surve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Depositor(s)
- Center for Surve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Date of Deposit
- 2022-03-14
- Distributor(s)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 Date of Distribution
- 2022-03-24
- Version
- V1.0
- Date of Version
- 2022-03-24
- Abstract
- 정부역할과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베이연구센터가 정부 업무 수행의 필요성과 수행방식의 적절성에 대한 일반국민의 인식과 시민 개인의 삶의 질과 복지 욕구를 함께 조사함으로써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부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2010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는 전국단위 국민인식조사이다. 이 자료는 2019년에 수집된 것으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정부의 운영과 활동에 대한 의견: 기관 및 사회지도층 신뢰도, 정부 공정성 수준 평가, 사회기관의 공정성 수준 평가, 사회기관의 공정성 수준 평가, 한국사회 부패 정도, 국가기관 능력, 정부의 공공정책 수행 능력, 정부 책임의 의미, 정부 역할과 관련된 견해, 현직 국가 리더의 전반적 리더십 평가
2) 정부 성과에 대한 의견: 현 정부 정책 성과 평가, 부동산 정책 관련 견해 동의 정도, 출산에 대한 의견, 저출산 정책 효과, 미세먼지 정책, 환경 및 에너지정책, 에너지 정책수단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3) 정부 지출과 범위에 대한 의견: 국가 예산 사용의 적절성 평가, 국가 예산 투입 정도, 현재 세금 수준에 대한 의견, 수입대비 세금의 최대 수준, 세금 대비 공공서비스 적절성, 복지 확대를 위한 추가 세금 부담 여부, 증세 부담에 대한 우선순위, 인상이 필요한 세목에 대한 의견, 사회문제에 대한 책임도, 세대별 국가 예산 투입의 적정성, 세금의 범위에 대한 의견
4) 정치 참여에 대한 의견: 지난 선거 투표 여부, 정부 활동 불만족시 행동 유형, 합법적 시위로 인한 교통 혼잡 양해 시간, 청와대 국민청원 신뢰도, 세대별 정부 의사결정 영향력 평가, 정부활동 정보수집 매체
5) 가치관 및 사회현상에 대한 의견: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 정도, 사회갈등에 대한 의견, 10년 후 한국 사회 전망, 행복도, 평소 시간 여유 정도, 시간 부족 이유, 여가시간 활용방법
6) 일자리에 대한 의견: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여유 시간 활용 희망 분야, 근로시간단축으로 인한 직장문화 변화, 공공부문 일자리정책에 대한 의견, 청년실업 관련 정책 평가, 실업자 비율에 대한 의견, 2020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의견, 최저임금 월급 대비 사회고위층 월급 수준에 대한 의견
7) 불평등에 대한 의견: 부자의 기준, 부자들의 재산 축적 방법, 사회적 평등 수준, 성공 가능성에 대한 평가, 우리 사회 불평등 원인, 사회적 불평등 감소 방안, 임금 수준의 차이 기준, 사회적 불평등 감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의 부작용에 대한 의견, 본인의 임금 수준에 대한 평가, 한국사회에서 부모/본인/자녀의 사회적 위치, 삶의 수준에 대한 평가, 월 최다 지출 영역, 줄이고 싶은 지출 영역
8) 사회인구학적 특성: 정치성향, 최종학력, 직업, 취업상태, 건강상태, 혼인상태, 가구 및 가족사항, 월평균 수입
- Keywords
- government role, quality of life, government policy, trust in government, trust, budgets, tax, government spending, values, middle class, inequality, class, social stratification, standard of living, vote, conflict, 국정수행, 국정운영평가, 정부성과, 정부참여, 행정경험, 미세먼지
- Topics
- Public administration
- Date of Collection
- 2019-11-14~2019-12-18
- Countries
- South Korea
- Geographic Coverage
- South Korea including Jeju
- Unit of Analysis
- individual
- Universe
- persons aged 19 and over
- Time Method
- Repeated cross-sectional study
- Data Source
- Population group
- Data Collector(s)
- Research & Research, Inc.
- Freq. of Data Collection
- 2010년부터 매년
- Mode of Data Collection
- TAPI (Tablet Assisted Personal Interview)
- Sampling Procedure
- 다단계 층화집락 표집
- 1단계 : 17개 시도별 모집단 크기를 바탕으로 제곱근 비례배분 방식을 통해 표본 배분
- 2단계 : 층화 변수별로 선정된 각 동읍면 내에서 표본지점 (통/리)을 추출
- 3단계 : 선정된 표본지점(통/리)에서 10가구를 계통추출법으로 선정
- 4단계 : 가구내 적격 대상자를 생월법을 통해 선정 조사
- Number of Cases
- 6,997 (valid cases)
- Weighting
- yes
- Data Format
- Numeric
- Extent of Collection
- Questionnaire(pdf); Codebook(xls); Data(sav, dta)
- Language
- Questionnaire-Korean; Codebook-Korean; Data-Korean
- Availability Status
- Restricted Use
- Usage
- 이 자료는 기탁자의 요청에 따라 연구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연구목적과 연구주제를 기재해 주시면 심의 후 그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File Information
File Type |
File Name |
File Description |
File Format |
File Size |
Download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
kor_que_20190083.pdf |
설문지 (한글) |
PDF |
649.79 kB |
다운로드 |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
kor_codebook_20190083.xls |
코드북 (한글) |
EXCEL |
190.5 kB |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