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_46
장애인복지사업 및 기관 인지 여부46: 가사/간병방문지원사업
E1. 다음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사업 및 장애인복지 사업을 하는 기관을 나열한 것입니다. 각 사업(서비스) 및 기관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46) 가사·간병 방문 지원사업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가족
e1_47
장애인복지사업 및 기관 인지 여부47: 장애인재활지원센터
E1. 다음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사업 및 장애인복지 사업을 하는 기관을 나열한 것입니다. 각 사업(서비스) 및 기관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47)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가족
e1_48
장애인복지사업 및 기관 인지 여부48: 장애인자립지원센터
E1. 다음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사업 및 장애인복지 사업을 하는 기관을 나열한 것입니다. 각 사업(서비스) 및 기관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48) (지적)장애인자립지원센터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가족
a1_1
주소지: 시/도
A1. 주소지: __________도/특별시/광역시 _________ 시/군/구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d1_2_1
국제인권기준 관련 서비스 충분성1: 전반적인 인권 보장에 대한 지원
D1. 다음에는 국제인권기준과 관련한 서비스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각 제도(지원)나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에서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오른쪽 부분에는 각 지원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개인적인 느낌과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제도나 서비스를 모르는 경우는 ‘모름’으로 대답해 주십시오. 충분정도-전반적인 인권 보장에 대한 지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c1_1_1
정신건강관련 기관 인지 여부1: 정신의료기관
C1. 정신건강복지법에는 다음의 정신건강관련 기관(정신건강증진시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귀하가 각 기관을 알고 있는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오른쪽 부분에는 귀하가 당사자를 각 기관에 연계해 본 경험이 있는지 선택하여 주시고, 연계 경험이 있는 경우 해당 기관에 대한 귀하의 만족(선호)도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알고 있는지 여부-정신의료기관(정신병원, 정신과의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b1_2_1
삶을 위한 지원 제도/서비스 충분성1: 소득보장
B1.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삶을 위해 필요한 제도(지원)나 서비스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왼쪽 부분에는 다음 각 제도(지원)나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에서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오른쪽 부분에는 각 지원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개인적인 느낌과 의견을 각각 선택하여 주십시오. 충분정도-소득보장 (기본 입고 먹는 수준 보장)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d1_1_1
국제인권기준 관련 서비스 필요성1: 전반적인 인권 보장에 대한 지원
D1. 다음에는 국제인권기준과 관련한 서비스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각 제도(지원)나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에서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오른쪽 부분에는 각 지원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개인적인 느낌과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제도나 서비스를 모르는 경우는 ‘모름’으로 대답해 주십시오. 필요정도-전반적인 인권 보장에 대한 지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id
응답자 아이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e1_1
장애인복지사업 및 기관 인지 여부1: 여성장애인 교육 지원
E1. 다음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사업 및 장애인복지 사업을 하는 기관을 나열한 것입니다. 각 사업(서비스) 및 기관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1) 여성장애인 교육지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c1_2_1
정신건강관련 기관 연계 경험 여부1: 정신의료기관
C1. 정신건강복지법에는 다음의 정신건강관련 기관(정신건강증진시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귀하가 각 기관을 알고 있는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오른쪽 부분에는 귀하가 당사자를 각 기관에 연계해 본 경험이 있는지 선택하여 주시고, 연계 경험이 있는 경우 해당 기관에 대한 귀하의 만족(선호)도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연계경험 여부-정신의료기관(정신병원, 정신과의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c2
정신장애인 시설 입소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탈원화에 대한 의견
C2. 정신장애인이 정신병원이나 정신요양시설에서 장기간 입원·입소하는 것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지내는 것을 탈원화라고 합니다. 귀하는 탈원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e2
장애인복지법에 정신장애인에 대한 법 적용 배제 가능성 인지 여부
E2. 귀하는 장애인복지법 제15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가 정신장애인에 대해 장애인복지법 적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c1_3_1
(정신건강관련 기관 연계 경험 있을 경우) 만족도1: 정신의료기관
C1. 정신건강복지법에는 다음의 정신건강관련 기관(정신건강증진시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귀하가 각 기관을 알고 있는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오른쪽 부분에는 귀하가 당사자를 각 기관에 연계해 본 경험이 있는지 선택하여 주시고, 연계 경험이 있는 경우 해당 기관에 대한 귀하의 만족(선호)도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선호도-정신의료기관(정신병원, 정신과의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b1_1_1
삶을 위한 지원 제도/서비스 필요성1: 소득보장
B1.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삶을 위해 필요한 제도(지원)나 서비스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왼쪽 부분에는 다음 각 제도(지원)나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에서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오른쪽 부분에는 각 지원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개인적인 느낌과 의견을 각각 선택하여 주십시오. 필요정도-소득보장 (기본 입고 먹는 수준 보장)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b1_1_2
삶을 위한 지원 제도/서비스 필요성2: 주거보장
B1.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삶을 위해 필요한 제도(지원)나 서비스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왼쪽 부분에는 다음 각 제도(지원)나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에서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오른쪽 부분에는 각 지원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개인적인 느낌과 의견을 각각 선택하여 주십시오. 필요정도-주거보장 (기본 살 곳)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c1_1_2
정신건강관련 기관 인지 여부2: 정신요양시설
C1. 정신건강복지법에는 다음의 정신건강관련 기관(정신건강증진시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귀하가 각 기관을 알고 있는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오른쪽 부분에는 귀하가 당사자를 각 기관에 연계해 본 경험이 있는지 선택하여 주시고, 연계 경험이 있는 경우 해당 기관에 대한 귀하의 만족(선호)도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알고 있는지 여부-정신요양시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b1_2_2
삶을 위한 지원 제도/서비스 충분성2: 주거보장
B1.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삶을 위해 필요한 제도(지원)나 서비스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왼쪽 부분에는 다음 각 제도(지원)나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에서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오른쪽 부분에는 각 지원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개인적인 느낌과 의견을 각각 선택하여 주십시오. 충분정도-주거보장 (기본 살 곳)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e1_2
장애인복지사업 및 기관 인지 여부2: 장애대학생 교육활동 지원
E1. 다음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사업 및 장애인복지 사업을 하는 기관을 나열한 것입니다. 각 사업(서비스) 및 기관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2) 장애대학생 교육활동 지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
c3_1
탈원화에 영향을 주는 제도/서비스에 대한 의견1: 정신장애인 지원 지역사회 프로그램/서비스 부족
C3. 다음은 탈원화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제도 및 서비스 현황에 대한 설명입니다. 귀하는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정신질환자)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서비스가 부족하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시설종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