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3. 아동인권전문가 활동과 관련한 개인적인 평가,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십시오.

Answer
Value Label N WN
1 구체적인 매뉴얼 마련 3 0
2 기관 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체계 필요 2 0
3 기관 간 연계 네트워크 형성 2 0
4 아동인권 제도 활성화 1 0
5 아동인권에 대한 인식 제고 0 0
6 실질적인 지원 및 관심 필요 1 0
7 현실적인 실천방법 제시 1 0
8 기관 종사자 모두 아동인권전문가로 선정 0 0
9 종사자와의 소통창구 필요 1 0
10 종사자 모니터링 강화 0 0
11 아동 모니터링 강화 0 0
12 예산 확대 2 0
13 아동복지법 강화 0 0
14 아동학대 신고 시 자연스러운 접근 필요 0 0
15 아동학대 신고 시 비밀 유지 1 0
16 자치구의 일방적이 전문가 선정 지양 0 0
21 다양한 교육 자료 제공 8 0
22 시설 내에서 아동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0 0
23 아동인권 관련 교육 지원 확대 0 0
24 아동인권 관련 교육 통합 0 0
25 아동인권 관련 중복적인 교육 횟수 축소 3 0
26 아동인권 프로그램 다양화 0 0
27 연령 별 교육 프로그램 제공 2 0
28 체계적인 교육 관리 0 0
29 체계적인 프로그램 보급 1 0
30 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 활성화 1 0
31 아동인권 관련 다양한 정보 제공 1 0
32 아동인권과 양육의 균형 필요 0 0
33 양육자 교육 강화 0 0
34 아동 일지 작성 내용 다변화 0 0
35 아동에게 권리와 의무에 대한 균형있는 교육 필요 0 0
41 사례를 중심으로 한 교육 필요 1 0
42 아동인권관련 다양한 사례집 제공 2 0
43 아동인권전문가 대상 교육 활성화 2 0
44 아동인권전문가 심화교육 강화 0 0
45 아동인권전문가 자격 제도화 1 0
46 아동인권전문가의 전문적인 자문/피드백 제공 2 0
47 아동인권전문가 전문성 향상 1 0
61 과도하고 불필요한 행정업무 축소 3 0
62 기관마다 다른 활동 자격기준의 통일 0 0
63 소통회의 횟수 축소 1 0
64 아동인권전문가 권한 강화 0 0
65 아동인권전문가 수당 및 활동비 인상 11 0
66 아동인권전문가 활동 지원 2 0
67 아동인권전문가 활동만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 제공 1 0
68 아동인권전문가의 인권 보장 0 0
69 아동인권전문가의 활동사례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 1 0
70 종사자 간 소통 필요 5 0
71 시설 내 아동인권전문가의 명확한 역할 부여 0 0
72 아동인권전문가 적극 양성 0 0
73 아동인권전문가 활동 시간 확대 0 0
74 아동인권 관련 수당은 타 업무와의 형평성 문제 야기 1 0
81 센터에 외부 아동인권전문가 파견 4 0
82 아동인권전문가 인력 확대 0 0
83 전문적인 외부강사 연계 지원 3 0
101 아이들의 균형잡힌 식생활을 위한 영양사 방문서비스 0 0
102 아이들의 정서에 맞는 시설 프로그램 필요 0 0
103 시설 내 행정전문가 지원 0 0
104 시설 인력 확대 0 0
999 모름 0 0
- Sysmiss 553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71
  • Missing cases553
  • Standard deviation-1
  • Minimun-1
  • Maximun-1
  • Mean-1

This variable is numeric

Universe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