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1. [통계 활용도가 낮은 이유] 귀하의 부서 내에서 일반적인 정책(계획, 사업, 프로그램 포함) 추진 과정에서의 통계 활용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기타내용
Value | Label | N | WN |
---|---|---|---|
- | 결과가 나오고 나서 활용할 것이기 때문 | 1 | 0 |
- | 기타 | 1 | 0 |
- | 부서내 통계는 오류가 있을 경우가 크다. | 1 | 0 |
- | 사업부서가 아님 | 1 | 0 |
- | 서울의 역사와 관련한 대시민 발간물 제작시 결과물로서 활용 | 1 | 0 |
- | 수요 등 통계 관련은 우리 부서 소관사항이 아님 | 1 | 0 |
- | 외부 기관을 통한 통계수집 가능 | 1 | 0 |
- | 진행과정상 관련 (보고)자료를 굳이 만들지 않음(업무과다) | 1 | 0 |
- | 참고자료용 | 1 | 0 |
- | 통계 반영 시점과 평가 시점 차이 | 1 | 0 |
- | 통계 외의 업무가 많음 | 1 | 0 |
- | 통계가 추진의 타당성을 뒷받침해주기때문에 | 1 | 0 |
- | 통계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정책을 수립, 추진하기보다는 결정권자의 의지가 중요하므로 | 1 | 0 |
- | 통계자료와 일치하지 않아 전체가 대변될 수 없어서 | 1 | 0 |
- | 통계활용도 높음 | 1 | 0 |
- | 특성상 통계가 부서 내에 존재함 | 1 | 0 |
- | 활용도가 낮다고 생각안함 | 1 | 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통계 활용도가 낮은 응답자 (문07 (1)-(3)의 1, 2번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