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F4. 다음의 서울시 추진 정책을 개선한다면, 어떤 부분이 바뀌어야 할까요?
(5) 일가족 양립지원센터

Answer
Value Label N WN
- 1:1 멘토리 서비스가 더 확충되어야한다. 1 0
- 가사, 육아가 여성만의 일이 아니라는 인식 전환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1 0
- 가사의 분담을 위해 도움 1 0
- 가족지원 2 0
- 고문조건(특별성과급 최대 33시간 적용사건) 1 0
- 고소득 1 0
- 구체적인 대안 1 0
- 구체적인 홍보 1 0
- 근로시간 단축 1 0
- 근로시간단축 1 0
- 근로시간단축개선 1 0
- 근로시간단축개선안 1 0
- 근무시간 조정 1 0
- 근무환경 개선 1 0
- 근본적인 해결방안 (아이를 어디에 어떻게 안전하게 맡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1 0
- 금전적인 부분 1 0
- 기업이 먼저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강력한 기업지원이 필요함 1 0
- 남성 역차별이없도록 부탁드림 1 0
- 남성들도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됐음 좋겠다 1 0
-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제도 설립 1 0
- 너무 포괄적인 정책이 아닌가싶다. 현재 근로시간을 주 40시간으로 제한한다는 정책도 여기저기서 말이 많은데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으로 일과 가족을 모두 챙길수있는 근로여건을 만들겠다는건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한 정책이 필요해보인다 1 0
- 다른 지역까지 확대 1 0
- 다양성 1 0
- 다양한 일자리구성 1 0
- 다양한정책 1 0
- 대상자 확대 1 0
- 대상지원범위 확대 1 0
- 더 활발한 홍보 필요 1 0
- 마찬가지입니다 1 0
- 많은 지원 1 0
- 많은 홍보가 필요 1 0
- 무분별한 지원 금지. 1 0
- 무슨일을 하는지 잘모르겠다. 홍보가 부족하다. 1 0
- 법 강화를 통한 기업문화 개선 1 0
- 보육 시설에 대한 시스템 보완 및 개선 1 0
- 보육관련 1 0
- 보육지원 1 0
- 부부 상담을 통해 가사육아분담에 대한 교육 1 0
- 사회인식개선 1 0
- 상담사가 많았으면 1 0
- 서울시에서 강력하게 워라벨 같은걸 공공캠패인으로 사업주들에게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필요시에는 지키지 않을경우 규제도 강화해야한다 1 0
- 서울시에서 이런것들도 예산을 좀 쏟았으면 좋겠습니다.어물쩡 넘어가는거 정말 보기 안좋습니다. 1 0
- 센터에 대해 알리는 것 1 0
- 시행 후 관리감독의 강화 1 0
- 실제 지원 정책인지 확인 1 0
- 실제로 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지원과 홍보 1 0
- 실제로 직장문화가 변화할 수 있도록 직장 쪽에 약간의 압력을 가해주어야 할 것 같다. 1 0
- 실질적 지원이 되도록 1 0
-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사람들의 인식 개선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1 0
- 실질적인 지원 1 0
-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 나와야 할 것 같다 1 0
- 쓸떼없는 정책 말고 엄마, 아빠의 육아휴직 의무화 1 0
- 아이들이 엄마를 본능적으로 찾게되는지라 남성에게도 육아에 대한 교육과 기회가 더 필요하다 1 0
-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것부터 바뀌어야한다고 봅니다 1 0
- 어떤기준으로 만든 정책인지를 알릴필요가 있어보인다 1 0
- 업무의 융통성 1 0
- 없어요 3 0
- 없음 6 0
- 여성 경력단절 보완 1 0
- 요즘 말 그대로 워라벨이 이루워 질 수 있는 1 0
- 워라밸을실현하수잇는현실적인 1 0
- 육아 관련 도움이 필요 1 0
- 육아 도우미 1 0
- 육아관련으로 지원 1 0
- 육아를.위한 지원 1 0
- 육아휴직 의무화 1 0
- 육아휴직 이후 복직이 자유롭도록 제도화 1 0
- 이 부분은 기업문화가 바뀌지 않는 이상 근본적으로 바뀌기 힘들 듯 하다. 맞벌이를 위한 지원이라면 전문적으로 아이를 돌봐줄 수 있는 국공립 유치원이나 돌보미서비스가 더 생겨야할 것 같다. 물론 시스템도 투명하게. 1 0
- 이 센터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크게 해당되지않아 잘 모르겠다 1 0
- 일 가족 양립센터의 정확한 일을 모르나, 다양한 양성교육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한것 같다.일과 가족의 양립을 위한 정책은 보육 및 가정교육 , 상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나눠져있다고 생각하다. 이런 점이 각기 다른 곳으로 너무 분포되어있는것같아서 서울시에서 여성 1 0
- 일가족 1 0
- 일가족 양립지원센터라는 애매모호하고 이상한 이름 대신 나이, 성별, 직군 상관없이 전반적인 근로환경 개선 및 근로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이 시급해보입니다. 1 0
- 일과 가정생활이 공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 1 0
- 일과 가정에 투자하는 비중을 어떻게 분배시켜줄건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 0
- 일과 가정의 양립 1 0
- 일하면서 양육 1 0
- 임금 1 0
- 임금확대 1 0
- 임신출산지원 1 0
- 잘모르겠다 41 0
- 저소득 가정지원 1 0
- 적극적인 홍보 3 0
-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 (ex. 버스나 지하철 광고라던가 TV공익광고 등) 1 0
- 정말 양립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길 바란다. 피부에 와닿는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1 0
- 정말 원하는 사람이 혜택을 받을수 있도록 정확한 상태파악 1 0
- 정보 1 0
- 정시퇴근 1 0
- 정시퇴근 의무화(출퇴근기록, 법적조치) 연차 사용 의무화 1 0
- 정책에 대한 홍보 1 0
- 정책의 목적이 명확히 전달되어야한다. 1 0
- 제도개선에 협조 1 0
- 제도적인 보완 1 0
- 조금더 현실적이 되엇으면 좋겠습니다. 1 0
- 좀 더 회사 동료들의 인식을 직접적으로 바꿀 수 있어야겠음 1 0
- 좀더 많은 홍보가 필요할것같다 1 0
- 참여 조건을 좀 더 까다롭게 해야함 1 0
- 참여 형태가 다양하게 지원할수있게 하면 좋겠다 1 0
- 추진 정책에 대해 잘 알지못함 1 0
- 칼퇴보장 1 0
- 탁아시설 확충 1 0
- 특별히 의견 없음 3 0
- 현실을 반영하여 정책 개선 1 0
- 현실을 반영한 정책 1 0
- 현실적으로 경제가 어려우니 소득분위에 웃돌아도 어려운 가정이 많으니 기회가 확대 되었으면 한다. 1 0
- 현실적인 대안 제시 1 0
- 현실적인 도움 1 0
- 현실적인 정책 1 0
- 현실적인 지원 1 0
-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 같다. 회사에서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법적인 체계가 필요하다. 1 0
- 현재 충분 1 0
- 형식적이고 뻔한 정책 보다는 정말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1 0
- 홍보 7 0
- 홍보 및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 1 0
- 홍보 및 활성화(자세히 모름) 1 0
- 홍보 부문강화 1 0
- 홍보 부족 1 0
- 홍보 증대 1 0
- 홍보 활성화 2 0
- 홍보가 더 필요할 것 같다. 사실 혜택을 받는 입장이 아니라면 잘 모를 것 같음. 1 0
- 홍보가 안됨 1 0
- 홍보가 우선되어야 한다.적극적으로 개입되어야 한다. 1 0
- 홍보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1 0
- 홍보강화 1 0
- 홍보부족이라고 느낀다 1 0
- 홍보부좃 1 0
- 홍보해주세요 1 0
- 홍보활동 1 0
- 회사에 지원보다 개개인의 가족에 대한 지원이 커야 여성단절이 없어질 것 같다 1 0
- 효과적이고 도움이 되는 정책을 구현해야 한다.지금의 정책들은 기준이 한정되고 참여가 어렵다 1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188
  • Missing cases-1
  • Standard deviation-1
  • Minimun-1
  • Maximun-1
  • Mean-1

This variable is character

Universe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