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1. (F1에서 ‘2) 아니다’라고 응답한 경우에만 질문) F1-1.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Answer
Value Label N WN
- 1. 남자상사가 여직원과 일하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함2. 여직원이 남직원 대비 성과가 낮거나 업무에 소극적일 것이라는 편견 존재3. 맞벌이 가정의 여성일 경우 업무몰입도가 낮을 것이라는 편견 존재 1 0
- ICT 관련 학과 성비 불균형 1 0
- ICT가 아무래도 기술분야이기 때문에 기술과학쪽은 여성보다는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1 0
- IT 업계는 일정이 빡세고 야근이 많은 걸로 알려져있어서 남자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팽배함 1 0
- IT계열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지극히 낮음 1 0
- 간부 1 0
- 같거나 더 나은 조건의 여성이 있어도 남성을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입사 후에도 남성 위주의 고위직이 남성 직원들을 우대하며 여성인 직원들을 소모품으로 여기기 때문 1 0
- 같은 값이면 체력 더 좋은 남성을 우선 사용 1 0
- 같은 능력이라면 남성을 뽑아서 야근을 시키려는 문화가 있다. IT기업의 경우 특히 그렇다. 1 0
- 같은 조건대비 여성의 취업성사여부가 현저히 낮음 1 0
- 개발, 기술자를 선호하는데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적고 그 중에서도 여성의 파이를 따로 할당해주지 않는 것 같다 1 0
- 개발자 등을 보면 대부분 남자임 1 0
- 개발자는 남성이 더 많고, 시스템 엔지니어 자체도 남성을 더 선호하고, 일정 비율을 여성으로 뽑는다고 이야기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채용한다면 남성이 위주이기 때문임 1 0
- 결혼 등의 아직 정해지지않은 미래로 성급한 판단을 하는것 같다. 미혼 여성의 경우, 결혼을 한다고 하면 바로 퇴사할것이라고 지레짐작을 하고 면접단계에서부터 확인을 한다거나 하는 부당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다. 1 0
- 결혼 안하면 안한다고 난리 하면 했다고 채용시 불이익줌 1 0
- 결혼 예정이므로 1 0
- 결혼 임신 출산 1 0
- 결혼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한 퇴사 우려와 힘든 근로 환경은 버티지 못할것이라는 편견 1 0
- 결혼 출산 1 0
- 결혼 후 여직원들이 회사를 그만둘까봐 적게 뽑는 것 같아서.여직원에 대한 임금차별, 복지 부족 등이 있어서. 1 0
- 결혼, 임신, 출산 등으로 금방 퇴직할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음 1 0
- 결혼, 출산 등으로 인해 여성을 회사에서 불편한 존재로 여기는 조직문화 1 0
- 결혼과 육아로 인한 여성을 기피하는 현상이있는거같다 1 0
- 결혼과 육아시 공백기가 있다고 생각해 채용을 꺼림 1 0
- 결혼유무를 묻는다 결혼후 아이가 없으면 채용을 안하는듯 육아휴직 쓸까봐. 애가 있어도 꺼려함 1 0
- 결혼을 안한 20~30대 미혼여성은 결혼문제, 결혼을 한 여성은 출산,양육문제 등 이러한 문제가 항상 따라 다니는 것같다. 반면 같은 나이대에 남자는 이런 문제에서 자유로운 것 같다. 아직도 한국사회가 여성에서 가정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우고 있다는 증거라고 생각한다. 1 0
- 결혼이나 육아시 휴가나 퇴직할것을 우려하여 꺼리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1 0
- 결혼적령기의 여성이 입사하게 될 경우 휴직 등으로 인해 업무에 차질이 생긴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1 0
- 결혼하면 그만두는 것들을 고려해서 1 0
- 결혼하면 일시키기 힘들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1 0
- 결혼해서 애 낳으면 회사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한다 1 0
- 결혼해서 휴가를 쓰는 것을 꺼려한다. 1 0
- 결혼했다고 하면 자연스럽게 육아하면 그만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1 0
- 경력단절의 부담감 때문에 1 0
- 경력직을 많이 요하므로 1 0
- 고용 후 어느 정도까지는 성평등이 이루어지는 것 같으나 진급 과정에서 남녀 차별이 발생하는 경우 많음 1 0
- 고위층 성비율이 남성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성차별문화가 쉽게 바뀌지 않을것같다 1 0
- 고임금이나 전문직종의 여성 고용률이 현저히 낮고, 불안정한 고용상태나 저임금 일자리 직종의 여성 고용률이 높음 1 0
- 공고는 남녀 구분 없음으로 내지만 실상은 남자를 선호한다 여자는 결혼 임심 출산으로 인해 육아휴직을 내면 공백기가 생기고 이를 채워줄 인력을 뽑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1 0
- 공고에는 성별 상관없이 올려놓고, 면접까지도 본다.하지만 면접에 가면 여성 지원자는 원치 않는 다는 식으로 말한다.그럴거면 면접은 왜 부르는 지 모르겠다. 1 0
- 공대는 남성이 대부분이라 여성을 일부러 채용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1 0
- 관련분야 전공자의 대다수가 남성임 1 0
- 관리자들의 인식부족 1 0
- 관리자의 남성 채용선호 1 0
- 관습적인 남성 우대 채용 1 0
- 그 반대로 여성 고용에 반발이 많다 1 0
- 그냥 그런거같아요 1 0
- 그냥 그렇다 1 0
- 그냥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1 0
- 그런 계획을 들은 적이 없음 1 0
-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1 0
- 그렇게 차이를 느끼지못한다 1 0
- 그렇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음 1 0
- 기업문화 1 0
- 기업에서 같은 조건이라면 남자를 더 선호함 1 0
- 기혼이라하면 출산걱정부터함 1 0
- 나이가 많기때문에 1 0
- 나이가 많은 여성들은 취업하기가 힘들다 1 0
- 남녀 불평등 1 0
- 남녀차별 1 0
- 남녀평등하다. 1 0
- 남성 선호 1 0
- 남성 선호가 크고 여성을 예비 경력단절자(결혼 출산 등의 이유)로 취급. 진급에서도 남성이 유리하게 작용 1 0
- 남성 우대 1 0
- 남성 우대 공고가 많다 1 0
- 남성 우선 채용이 만연함 1 0
- 남성 중심의 일이라는 편견 1 0
- 남성선호 2 0
- 남성선호가 뚜렷함. 예컨대 기업에서 2명을 뽑는다고 했을 때 둘 다 남자로 뽑힌 것으로 확인하였음(면접보러간 사람 중 8명이 여자, 3명이 남자였음에도). 종종 여1남1로 뽑더라도, 여자로 두 명을 뽑을리는 절대 없을 것 같음. 면접장에서 나만 외모관련 지적을 받은 적이 1 0
- 남성선호중심 1 0
- 남성우대하는 뉘앙스의 채용공고를 많이 보아서 1 0
- 남성우선사항존재 1 0
- 남성위주 조직문화 1 0
- 남성위주문화 1 0
- 남성위주의 사회 1 0
- 남성을 더 선호하는 게 보임 1 0
- 남성을 선호하기 때문에 1 0
- 남성을 선호하는 문화 및 분위기가 강하다 1 0
- 남성을 우대하고 실제로 남성 비율이 높음 1 0
- 남성중심사회라서 1 0
- 남성중심조직문화 1 0
- 남여차별 1 0
- 남자 우대로 뽑는 경우가 많고 비율도 남자가 더 많은 1 0
- 남자를 더 선호하기 때문 1 0
- 남자의 비율이 많기때문에결혼때문에 1 0
- 내가 느끼기에 그렇다 1 0
- 내가 묻고 싶은 이유이기도 하다. 특별히 여자를 거를 이유는 없어 보인다. 1 0
- 노력한걸 체감한적이 없음 1 0
- 눈에띄지않음 1 0
- 뉴스 등 들리는 소식이 없다 1 0
- 능력차별 임신 경력단절 1 0
- 다녔던 회사 2개, 또 회사 업무로 인한 외근으로 다른 회사들을 방문하면서 둘러보아도 여성 직원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기 때문 1 0
- 단체생활 경험 1 0
- 당장 현실을 봐도 그렇다. 1 0
- 대기업의 사례로 성적 조적으로 남성 채용을 유리하게 하고, 30대 이상의 여성은 결혼 적령기로 판단하여 채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1 0
- 대부분 남성직원을 선호한다 1 0
- 대한민국에 있는데 여성을 우대할리가 1 0
- 동등하지 여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1 0
- 되도록 야근이 가능한 남자직원 위주로 채용을 하고 있음 1 0
- 들은바 없습니다. 1 0
- 딱히 나아진게 없고 오히려 남성들이 여성들에게 역차별이다 여자들만 우대한다고하는데 제발 그런거 한번이라도 받아보고싶네요. 1 0
- 딱히 모르겠다 1 0
- 딱히 모르겠음 1 0
- 딱히 배척은 안하지만 그렇다고 적극적인 것도 아님 1 0
- 딱히 선호하는 것 같지 않다 1 0
- 딱히 우대한다는 느낌을 받아본 적이 없음 1 0
- 딱히 이유는 없다 1 0
- 딱히 잘 모르겠음. 여성이 많은 회사를 많이 못봄 1 0
- 똑똑한 여성인재는 많으나, 남성 위주로 채용을 준비함 1 0
- 면접시 결혼 및 출산예정 여부를 물어보는 곳이 여전히 많음 1 0
- 면접시에 여성보다 남성을 선호함 1 0
- 면접에서 마치 상관 없다는 식으로 말하기는 하지만 결혼 계획 여부, 출산 후 경제활동 여부를 묻는다. 결혼해서도 일을 할 계획이지만 그런 질문을 받는 것 자체가 여자는 애 낳으면 그만둘거라는 인식이 있다는 거니까. 1 0
- 면접을 볼때 결혼하면 그만두겠네요. 하는 질문을 받거나, 직장내에서 화장을 안하거나 비혼얘기를 조금만 해도 어디가서 그런소리하지말라고 합니다. 애기를가지면 남자들한테는 가장이니까. 하면서 더 챙겨주고 여자는 쯧 곧 그만두겠네 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남자 1 0
- 모든지 경력있는 청년만 선호할 뿐이므로 1 0
- 모르겠다 2 0
- 모르겠다. 1 0
- 모르겠습니다 1 0
- 모름 4 0
- 못느끼겠어서. 1 0
- 못봤다 1 0
- 무관심 1 0
- 미혼이면 상관없으나 결혼 한 사람이면 아이 때문에 꺼리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1 0
- 미혼일 경우 면접때부터 결혼계획을 묻는다 결혼자체가 채용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도 했다 1 0
- 별 홍보가 되지않아서인지 실제 여성들이 자유롭게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1 0
- 별다른 정책이 없음 1 0
- 별로 그렇게생각안함 1 0
- 별로 들리는 말들이 없다 1 0
- 별로 못봐서 1 0
- 별로 와닿는 정책이 없다 1 0
- 별로 이루어지지않음 1 0
- 보다 적극적으로 뽑는 것도 체감상 모르겠고, 여성들이 주로 뽑히는 직군도 한정적이라고 느껴진다. 1 0
- 보면 그렇다 1 0
- 보통 1 0
- 보통 직함을 달고 있는 사람들은 남자가 많음 1 0
- 보통의 경우 남자를 우선순위로 채용하고 성별무관의 공고도 남자를 채용한다고 하는 경우가 있음 1 0
- 본적이없음 1 0
- 부당하다 1 0
- 분위기 1 0
- 불리하다 전반적으로 1 0
- 불합리한성차별을게속하네 1 0
- 비슷하게 느껴진다 1 0
- 뽑는 인원중 여성 비율만 봐도 그렇게 느껴진다 1 0
- 사내 여성비율도 적을뿐더러 업무특성상일지는 모르겠으나,확실히 여성보다는 남성을 뽑으려는 것을 보아왔다. 1 0
- 상급자만 봐도 남성이 대부분 1 0
- 상충하는 일이 많아서 1 0
- 생각해보지않았어요 1 0
- 선입견 1 0
- 선호하지 않음. 경단 임신 등 1 0
- 성별에따른 취업률 편차가 큼 1 0
- 성별을 딱히 신경쓰지 않지만 이야기를 들어보면 남성을 선호하는 느낌이다. 1 0
- 소극적 1 0
- 소기업이라 더 채용할 계획이 없다 1 0
- 쇼규모 회사에다 여성이 많이 없고 선호되지 않는 직군, 조직내 남성 직원 선호 1 0
- 쉽게 그만둘거라 생각하는 것 같다 1 0
- 승진어려움 1 0
- 신입 지원 시 남성 우선 1 0
- 신입사원이 남자만 들어오고 육아휴직을 싫어함 1 0
- 실제 고용된 상태를 보면 그렇지 않음 1 0
- 실제 근로자 비율로만 봐도 여성이 훨씬 적고, 직접 면접을 보러 갔을 때 결혼할 계획이 있냐 결혼해도 일할 생각이 있냐 등의 여성 한정으로 하는 질문들을 굉장히 많이 받았습니다. 1 0
- 실제로는 남자를 선호한다 1 0
- 아닌거같다 1 0
- 아닌것같다 1 0
- 아무 것도 안 해서 1 0
- 아무래도 기술적인 능력을 중시하는 곳에서는 남성을 보다 선호하기 때문에 1 0
- 아무래도 아직까지는 남성이 더 수월하다고 생각됩니다. 1 0
- 아무래도 여성은 가정이 있으면 일을 할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렇다 1 0
- 아직 이 직군은 남자 비율이 더 높은편이고, 국가에서 여성 채용을 지원하는 것도 아직 시작단계라고 본다 1 0
- 아직까지는 결혼 육아 가사에 여성이 희생되고 있다 1 0
- 아직까지는 남성을 더 선호한다 1 0
- 아직도 불평등 1 0
- 아직도 성차별이 난무하기때문 1 0
- 아직도 여성에 대해 안좋은 평가들이 너무 많은것 같다 1 0
- 없다 2 0
- 여성 개발자가 많이 없다. 1 0
- 여성 비율이 적음 1 0
- 여성 채용 비율이 적어서 1 0
- 여성고용비율이 적다고 느낀다 1 0
- 여성보다 남성을 주로 원하는 분위기가 아직도 존재하는 것 같다. 1 0
- 여성보다는 남성을 더 선호하는듯하다 1 0
- 여성보다는 남성을 선호하고 군대 호봉을 인정해주거나 결혼시에도 남성은 결혼을 했으니 돈을 올려주고 승진을 시키지만 여성은 돈이 깎이고 짤리는 경우가 많아서 1 0
- 여성비율이 적음면접보러다니면 여성에대한 안좋은 얘기도 들음. 1 0
- 여성사원을 선호 하지 않는 기업이다. 1 0
- 여성에 대한 인식 1 0
- 여성엔지니어가 많지도 않지만 잦은야근과 밤샘 등으로 잘 안뽑음 1 0
- 여성은 30살이 넘어서 면접시 결혼유무나 출산할 생각이 있는지를 꼭 물어 본다.남성한테는 그런 질문자체도 하지 않는다. 1 0
- 여성은 결혼이나 출산으로 인해 퇴사하거나 휴직을 하기때문에 아무래도 기피하는 분위기가 있다 1 0
- 여성은 결혼하거나 출산을 하면 출산휴가 등을 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기지 않는다 1 0
- 여성은 결혼하면 금방 그만둘걸로 생각하고 결혼한 여성은 면접에서부터 걸르는 경향이 있고, 실제로 육아로 휴직이 잦으면 임원의 눈에 찍힘. 1 0
- 여성은 아무래도 결혼 출산등의 이유로 그만둘 가능성이 있어서 1 0
- 여성은 아이를 낳고 나면 집안일에도 신경을 써야 해서 약간 불편해하는 분위기 1 0
- 여성은 이십대 후반만 되어도 면접시 결혼을 하게되면 회사를 그만둘것 아닌가 라는 질문을 받기 시작합니다 어느정도 나이가 있으면 다 그렇구요 임신하면 그만툴텐데 라며 부정적인 의견으로 면접을 시작합니다 요즘시대에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살아가기 힘든데 너무 단적 1 0
- 여성은 일단 채용하지 말라는 소문을 들은 바 있다임금수준 역시 낮게 책정되었있다출산 후 복직이 너무 힘들었다내 윗 상사 중에는 모든 이들이 복직 하지 못했으며나는 복직 하였으나 연달아 승진이 누락 되었다인사고과는 중간인데 어째서 누락 된 것인지도 듣지 못했다 1 0
- 여성을 선호하지 않음 1 0
- 여성을 요구하는 일자리가 적어서 1 0
- 여성의 경력단절이나, 결혼여부로 남성을 더 많이 뽑으려는 경향이 강해서 1 0
- 여성의 경우 대우가 더 낮다고 생각함 1 0
- 여성의 비율이 높지 않고, 잘 드러나지 않음 1 0
- 여성의 육아휴직시 직장에서는 그 기간만큼의 일을 다른 직원들과 분배하거나 기간제 계약직을 구해야 하는 수고로움, 비용, 시간 등이 들기때문에 선호하지 않음 1 0
- 여성의 조금더 많은 승진의 기회나 업무가 주어지지않는다 1 0
- 여성의 출산 1 0
- 여성의 출산, 결혼으로 사직할 것을 우려함 1 0
- 여성이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사업분야에 만연하다. 1 0
- 여성이 없으니까 1 0
- 여성인력을채용하면 결혼이나출산으로인해 휴직을쓸때 회사의손해라고 생각하는것같다. 1 0
- 여성임금차별 1 0
- 여자 비율이 너무 적기때문 1 0
- 여자는 결혼 후 그만둘 수 있기때문에 남자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이직한 대리님같은 경우엔 결혼여부와 남자친구유무를 물었고, 있다고 하면 결혼할건지도 면접때 물어봤었다 1 0
- 여자는 결혼하면 그만 둔다는 인식, 여자는 아이를 낳으면 육아로 인해 직장을 계속 다닐수 없다는 인식때문에 1 0
- 여자는 변수가 많다고 판단함. 1 0
- 여자를 배려하는걸 말로만 하지 실제 조직문화에서는 느끼기 어렵다 1 0
- 여자를 잘 안뽑음 1 0
- 여자보다는 남자를 우선으로 고용하려고 하고 결혼적령기 나이의 여자에게는 면접시에 결혼 육아등의 문제를직접 물어보기 때문에 1 0
- 여전히 결혼과 육아에 대한 정책이 미흡하고, 설령 시행해도 법망이 너무 약하며, 인식개선도 한참 멀었기 때문에 1 0
- 여전히 남자 비율이 많다 1 0
- 영업직의 경우 이미 남녀 티오가 정해져있고 팀장의 의사에 따라 남자사원만 받고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 1 0
- 와닿은적이없음 1 0
- 완전평등을 이루기까지는 아직도 요원하다 1 0
- 우대 제도가 없다 1 0
- 유리천장 1 0
- 유리천장 임금격차 oecd국가중 최고 1 0
- 유리천장 존재. 급여차이 1 0
- 육아,출산의 책임이 여성에서 많이 치우쳐져있다. 육아휴직이나 출산휴가를 쓸법한 나이대에 기혼여성들이 이때문에 구인시장에서 차별받고 제대로 대우를 못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1 0
- 육아나 출산 결혼 후 휴직에 대해서 부정적이고여성은 곧 휴직이나 퇴사로 직장에 피해를 주는 잠재적 부정요인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1 0
- 육아와 병행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많아서 1 0
- 육아휴직에 대한 시선 1 0
- 육아휴직을 꺼려한다 1 0
- 은연중 여성 고용배제 사례가 너무 많음 1 0
- 이직에 관한 불안함 1 0
- 이직하려는 이유도 유리천장이 느껴져서이다. 1 0
- 이쪽 분야에서 여성의 고용 사례를 듣거나 본 적이 별로 없어서 1 0
- 일 가정 양립 부담 1 0
- 임금차별 등 개선이 많이 필요함 1 0
- 임신 및 출산에 따른 경력 단절과 인력 대체 때문 1 0
- 임신 육아 문제 1 0
-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휴직에 대한 우려, 가사로 인한 일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에 대한 우려 1 0
- 임신하면 육아휴직에 들어가야하기 때문에,남성은 결혼하면 책임감이 높아진다며 몸값이 올라가는 반면, 여성은 몸값이 떨어진다 1 0
- 입사시 성비가 남자가 더 많다. 1 0
- 자신감부족 1 0
- 잘 모르겠다 4 0
- 잘 모르겠으나 그렇게 느껴진다 1 0
- 적극적으로 뽑는것같지않다 1 0
- 적극적이어서 1 0
- 적극적인 노력이 안보임 1 0
- 적극적인 반응이 없음 1 0
- 적극적인 사례를 본적이 없다. 1 0
- 전공자체가 남자직원들이 많다. 1 0
- 전반적으로 그렇게 느껴진다 1 0
- 전혀 그런 기회가 부여되지 않음 1 0
- 정보보호분야에서 여성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음 1 0
- 정책없음 인사담당자는 남자 성차별 안없어짐 1 0
- 제가 일하는 업계에서 여성을 우선적으로 채용하는걸 보지 못함 1 0
- 제대는 점점 좋아지는 것 같으나 기업에서 제대로 시행이 되지 않는다 1 0
- 제도가 마련되어있지않음 1 0
- 제도도 그렇지만 아직 문화와 인식이 못 쫓아가는 것 같다 1 0
- 제도부족 1 0
- 제도적 지원이 적음 1 0
- 주변에 사례가 많이없음 1 0
- 주변을 둘러봐도 같은 스펙의 구직자중 남자를 뽑는경우를 더 많이봐서 1 0
- 주위 지인들을 봐도 같은 조건인 동기들 사이에서도 남성이 더 우대받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출산휴가, 육아휴직 후 복귀한 해에서 업무평가 최하점을 받는 지인들을 많이 봤음 1 0
- 주위를 보면 20대 후반으로 갈수록 면접시 결혼할거냐, 아이를 낳을거냐라고 물어보는 곳들이 아직 많습니다. 아이를 가지게 될 수 있는 여성이 아이를 낳은 후의 여성보다 더 꺼려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1 0
- 중소기업은 보통 육아휴직 자체가 없습니다.it쪽이나 여직원수가 작은곳은 더더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1 0
- 중요임무에 남자 1 0
- 채용 인원이 적다 1 0
- 채용 자체보다도 고용 유지에 적극적이지 않다고 생각 1 0
- 채용된 사람들을 보면 남자가 많다 1 0
- 채용시 무조건 남성만뽑음 예외없음 1 0
- 채용시장에서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아직 뚜렷함 1 0
- 채용이없어서 1 0
- 청년여성채용에 대한 기사를 거의 본 적이 없음 1 0
- 청년채용이지 청년여성채용은 본적이없는거같다 1 0
- 체감되지않음 1 0
- 체감상 느껴본적이없다 1 0
- 출산 1 0
- 출산 육아때문 1 0
- 출산 육아로 인한 업무공백을 회사가 싫어한다. 1 0
- 출산에 대한 경력단절 1 0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기간에 대체할 사람이 마땅하지 않기때문에, 갓 졸업한 여성이 아니면 회사에서도 꺼려함, 출산휴가 신청시 퇴사를 요구하기도 함(현재직장에서) 1 0
- 출장시 자차여부 1 0
- 취업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적다. 1 0
- 타 기업과 별 차이 없음 1 0
- 탁상행정이다 1 0
- 특별한 이유 없음 5 0
- 특별히 우대정책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1 0
- 특정 부서는 남성을 선호함 1 0
- 프로모션 1 0
- 한국내 여성 취업 및 직장내 차별이 존재하고 있어서 1 0
- 현 직장에서만 해도 남성이 많음 1 0
- 현재 여성의 비율및 여성의 직책을 봤을때 그러함 1 0
- 현재 일하는데만 해도 나 혼자만 여자다 1 0
- 홍보 활동등 접한 적이 없기 때문에 1 0
- 회사에서는 여자는 결혼해서 아이를 낳으면 일과 가사를 병행하느라 업무에 지장을 줄수있다고 생각하는것같다 1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304
  • Missing cases-1
  • Standard deviation-1
  • Minimun-1
  • Maximun-1
  • Mean-1

This variable is character

Universe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