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5. 유관기관 및 실무자 간의 협력
1-4) 아동의 분리보호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 담당공무원과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Answer
Value Label N WN
- 24시간 비상체계망 관리 운영 및 정보연계 회의 상시 운영 1 0
- 같은 팀에 소속되 있음(아동보호팀) 1 0
- 공무원들이 많은 노력을 함. 1 0
- 공무원의 관심과 노력 1 0
- 공유가 되지 않음. 1 0
- 그룹홈 환경및 아동의 연령을 고려한 입소상담 1 0
- 근무 중 수시로 연락, 상태 보고함 1 0
- 긴밀한 소통 1 0
- 긴밀한 연계 업무 1 0
- 꾸준한 관심 및 방문 1 0
- 담당 공무원들이 아동의 안정적인 생활에 관심이 집중됨 1 0
- 담당공무원의 승인이 있어야함 1 0
- 담당공무원이 아동 사례관리를 담당 1 0
- 담당공무원이 아동의 행보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짐 1 0
- 담당이므로 1 0
- 담당자들의 역량부족, 일에대한 이해부족, 맡은아동에 대해 소홀함, 가정복귀및 그룹홈 전원, 영아 가정위탁보호에 대한 연계부족, 공휴일과 휴가시 연락두절 등 1 0
- 담당자의 열정 및 관심 1 0
- 대면상담과 전화통화소통 1 0
- 라포형성 1 0
- 매뉴얼 및 사례회의에따른 각각 주체별 역할 수행 1 0
- 매뉴얼 절차에 따라 보호조치 1 0
- 반드시 지자체를 거쳐 아동의 입소가 이루어지므로 담당 공무원과의 협력이 필수적. 그러나 입소의뢰 된 아동의 정보가 제한적으로 제공되어 시설입장에서 어려움이 있음. 1 0
- 보호 우선 원칙 잘 이해, 시설 정원 여유가 없을 시 제외하고는 입소 승인 처리 1 0
- 보호가 아닌 치료가(ADHD, 정신질환, 장애등) 필요한 아동을 너무 많이 입소하여, 보호하는 인력부족으로 보호 아동에 양질의 보호 제공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1 0
- 부모와 아이가 준비되어 있지 않았는데 가정복귀를 함. 1 0
- 분기별 1회 양육상황점검으로 아이들과 면담 및 특이사항 전달 1 0
- 분기별 양육상담점검 1 0
- 분리보호 및 사례관리에 있어서 상호의견 존중 및 협업 1 0
- 분리보호 발생 시 상황 및 내용 공유 1 0
- 빠른 일처리 1 0
- 사례관리 토의 1 0
- 사례관리등 아동보호에 대해서 필요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대처해줌 1 0
- 사례관리에 대한 책임감 1 0
- 사례회의.아동의사존중 1 0
- 사전에 이야기를 해줌. 1 0
- 상담 후 의견 나눔 1 0
- 상담요원 분기별 방문 상담 1 0
- 상부상조 1 0
- 상시 의견 조율 1 0
- 상호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기때문 1 0
- 상호 신뢰관계가 우선되어야 함 1 0
- 상호 업무존중 1 0
- 상호 연락이 잘 되어 의견교류가 잘 되었습니다. 1 0
- 상호 유기적인 소통 및 협조 때문임. 사안 발생 시 지자체 차원에서부터 적극적으로 해결을 위해 노력해주고 있음. 1 0
- 상호신뢰 1 0
-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업무 협조 1 0
- 상호협력하는 것 1 0
- 서로 각자 의견을 존중하면서 협의를 이끌어냄 1 0
- 서로 소통과 상담 1 0
- 서로 신뢰관계가 잘 형성 되어 있음 1 0
- 서로 필요관계 1 0
- 서로간의 신뢰와 협조적인 관계 1 0
- 소통원활 7 0
- 수시로 상담 1 0
- 수시로 연락하고 있음 1 0
- 수시로 연락하여 아동의 상태를 보고하고 있음. 정기적 으로 방문하여 아동과 개별 면담 중 1 0
- 신규개소 시설 1 0
- 신뢰 및 투명한 일처리 쌍방간의 의사소통 1 0
- 신속안전하게 적극 보호 1 0
- 신속한 업무처리 1 0
- 실무담당 1 0
- 실태점검, 내원 등 1 0
- 아니오 1 0
- 아동 개인 및 부모 등 주변상황 파악 및 공유, 연락을 통해 분리보호 진행 1 0
- 아동 사례 공유 1 0
- 아동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태도 1 0
- 아동권익우선 1 0
- 아동문제에 대하여 서로 해결해 나가려는 모습을 보임 1 0
- 아동보호전담요원의 전화및 방문으로 소통원활함 1 0
- 아동사항 공유 1 0
- 아동양육시설과의 친밀한 협조 1 0
- 아동에 대한 계속된 상태확인과 부모의 환경과 여건을 살펴보면서 소통함 1 0
- 아동에게 현재 발생한 상황을 공유하고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협조함 1 0
-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려는 목표 동일 1 0
- 아동을 위한 협치 1 0
- 아동의 분리보호 관련 진행과정을 나누고 의견을 주고 받음 1 0
- 아동의 분리보호에 있어서 시설의 목소리에 담당공무원이 충분히 듣고 반영하는것으로 보인다. 1 0
- 아동의 성장에 서로 관심을 두고 협력하는 태도/ 신뢰 1 0
- 아동의 안부와 관련된 지속적인 소통과 서비스연계 1 0
- 아동의 의사를 반영하여 분리보호 조치 되며 분리조치에 대하여 상호 간 의견 공유가 원활함 1 0
- 아동의 인권과 가정복귀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기 때문 1 0
- 아동의 입소시 아동의 학대 정황, 심리 상태 및 대략적 입소기간등을 상세히 통보하여 기관에서 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음 1 0
- 아동의 입장에서 제반사항 처리를 잘하주신다 1 0
- 아동의 편에 서서 결정한다 1 0
- 아동의 행동및 문제점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같이 공유함 1 0
- 아동전담공무원과 수시로 의견조율 1 0
- 아동특성 및 상황에대한 정보공유 1 0
- 업무 협조가 매끄럽게 잘된다 1 0
- 업무의 분업 1 0
- 없음 3 0
- 연락망을 구축하여 상황을 전달받음 1 0
- 연락이 잘 되고 매달 1번씩 아동 상황 파악하러 시설로 방문함 1 0
- 오랜기간 동안 협력하고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때문 1 0
- 올바른 절차에 대한 이해 및 진행 1 0
- 요청시 잘 처리함 1 0
- 원가적 귀가를 위해 충분한 면접 1 0
- 원가정 복귀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1 0
- 원활한 의사소통 5 0
- 위기상황에 처한 아동의 보호가 최우선이기 때문 1 0
- 일방적 업무태도 1 0
- 일상적인 소통 채널 구축 1 0
- 입소아동사례에 대한 상시적 논의 1 0
- 입소와 퇴소 모든 전과정에 있어서 서로 협력하여 진행 1 0
- 입퇴소 시 원활한 의사소통 1 0
- 자유로운 소통 1 0
- 자주 연락하며 의논하기 때문 1 0
- 자주 연락함 1 0
- 자주연락, 아동상황잘인지 1 0
- 잘 이루어 지지 않음 1 0
- 잘 이루어지지 않음 1 0
- 잦은 소통 1 0
- 적절한 조치, 아동 상황파악 1 0
- 전담요원과 학대전담공무원이 한팀에서 근무하고 있어서 1 0
- 전화 또는 공문으로 아동관련에 대하여 설명해주신다. 1 0
- 절반정도의 아동들에 대해서는 제대로관리가 이루어지지않고있음 1 0
- 정기적 사례회의 및 수시로 의사 소통을 하여 업무처리에 효율성이 있음 1 0
- 정기적 상담과 적재적소의지원(심리상담검사및 치료비지원) 1 0
- 정기적인 상담 1 0
- 정기적인 업무 연락 1 0
- 정기적인 연락 1 0
- 제가 속한 구의 주무관님들은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높은 상황으로 현재까지는 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0
-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마음 1 0
- 주기적 양육상황점검 및 문제상황에 대해 공유 1 0
- 주기적 연락 1 0
- 주기적으로 방문 함. 1 0
- 주기적인 사례 논의 회의 개최 1 0
- 주기적전화,상담 1 0
- 주무관이 먼저 전화하여 소통이 잘 이뤄짐 1 0
- 즉시 소통 가능 1 0
- 지속적인 소통 및 방문상담 1 0
- 지속적인 연락 2 0
- 지자체와의 소통이 원활함 1 0
- 지침과 절차에 따라서 수행함 1 0
- 직접 방문하여 아동과 상담하고 연락을 자주 주고받음. 1 0
- 철저한아동관리 1 0
- 체계적인 보고 절차 1 0
- 체계적인 시스템 1 0
- 충분한 대화 1 0
- 충분한 소통 1 0
- 충분한 소통, 주기적인 연락 1 0
- 충분한 시설 확보 등 1 0
- 퇴소 후 아동의 자립 및 원활한 원가정 복귀지원 1 0
- 평소 원활한 연락관계 유지 1 0
- 평소업무협조원활 1 0
- 평소에 상호작용 1 0
- 포용국가정책으로 2020년 10월 분리보호의 주체가 정부가 되었기에 담당공무원이 분리보호의 주체입니다. 이전과는 달리 심의상정하여 보호조치결정, 보호조치변경, 보호조치종결이 되기 때문에 담당공무원이 주가 되는 것이지 협력의 대상이 아닙니다. 1 0
- 풍부한 지식 1 0
- 피해아동을 인계해야되서 1 0
- 함께 아동을 양육한다는 마인드로 정보 및 성장과정의 중요부분을 공유 1 0
- 해당없음 79 0
- 협력 잘 이루어지고 있음 1 0
- 협력관계로 인식하기 보다는 수직관계로 보는 경향이 있어 협력이 잘 이루어 지지 않음 1 0
- 협력하려는 소통 1 0
- 협업이 잘 이루어짐 1 0
- 협의 1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246
  • Missing cases-1
  • Standard deviation-1
  • Minimun-1
  • Maximun-1
  • Mean-1

This variable is character

Universe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