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 아래 문항을 읽어보시고 동의하는 곳에 표시해 주십시오.Q15-1.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Answer
Value Label N WN
- 1. 가해학생으로부터 충분한 사과와 교실 및 친구들로부터의 배려가 선행되지 않은, 피해학생 스스로의 노력과 상담으로는 보호조치가 충분하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2. 심리상담을 담당하는 주체(상담교사 및 상담사)가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해 피해자 보호와 상담에 집중하 1 0
- SNS 활용, 인터넷을 활용한 또 다른 피해는 막지 못한 채 처벌에 급급하기 때문 1 0
- 가해 피해 학생사이의 관계회복 도움이 부족하므로 1 0
- 가해자 외의 학급 학생들과 피해자의 관계가 불편할 것 같다 1 0
- 가해자가 만든 분위기 혹은 상황으로 인해 상황은 정결이 되었음에도 늘 연결된 것과 같은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 1 0
- 가해자가 명확하게 한명인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다른 학생들을 통해 2차적인 피해가 있을 수 있으며 학급을 교체하거나 일시적으로 보호하여도 학교 밖, SNS 등에서까지 보호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1 0
- 가해자들과의 효과적 분리가어려움 1 0
- 가해자에 대한 처벌이 부적절한 경우가 많아 피해자 보호가 잘 되지 않음 1 0
- 가해자의 재범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피해자가 학교폭력발생 이전과 같은 학교생활을 하기 힘들다. 1 0
- 가해학생의 진정한 반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발의위험이 있다. 1 0
- 격리하거나 전학가더라도 sns나 톡을 통해 괴롭히는 경우가 있다. 1 0
- 공동생활 1 0
- 근본적으로 학교가 사법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음 1 0
-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1 0
- 눈에 보이는 것만으로 모든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어려움 1 0
- 대부분 가해자가 학교에 그대로 다니고 있고 가해자가 전학을 간다고 해도 그 폭력사건에 간접적으로 연루된 모든 학생을 처벌할 수는 없으니까 많은 관련자들이 여전히 학교에 있다 1 0
- 등하교길에 까지 보호할수가 없고 학교 내에서도 교사가 없는 공간에서는 보호가 어렵다 1 0
- 보호나 격리를 위한 장소와 담당교사가 부족 1 0
- 보호조치에 대한 정확한 대처법 숙지 X 1 0
- 선생님들이 피해자들을 일일이 신경쓰기 어렵다 1 0
- 실질적 지원 X, 피해상황에 대한 분석 X 1 0
- 실질적으로 보호 불가 1 0
- 실질적으로 피해자를 가해자의 보복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정신적, 심리적 스트레스나 트라우마를 회복시켜주는데 학교가 충분한 노력과 관심을 두고 있지 못하다. 1 0
- 실질적인 보호가 이루어지지않고, 학습권 보장의 이유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분리가 이뤄지지않아 후속 폭력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1 0
- 심리상담에 대한 정확한 기준(시간) 미비 1 0
- 심리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케어하기에는 역부족 1 0
- 완벽한 보호 프로그램이 아니므로 1 0
- 원천적인 격리가 불가능하다 1 0
- 일시적이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해학생의 태도개선으로 이어지기가 힘들다고 생각됩니다. 1 0
- 일회적으로 해결될 것이 아니므로 1 0
- 재발방지를 위해 가해자와 피해자의 화해가 필요한데 이 부분을 학생들에게만 맡겨놓는 경우가 대부분임. 용서, 사과, 화해를 이루어야 함에 대한 책임감의 부재 1 0
- 재발위험 1 0
- 전문상담교사부재 1 0
- 제도적 한계나 일회성(일시적)조치이기 때문 1 0
- 주로 가해자 처벌위주이기 때문에, 피해자의 신체,정서상 결과(피해)가 상이하고 심리 정서적 회복기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1 0
- 진정한 의미의 보호가 아님 1 0
- 특별조치가 없다고 생각함 1 0
- 특별한 조치가 없어서 1 0
- 피해자 보호를 위한 담당교사, 시간부족 등 여러 제반 여건미비로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함 1 0
- 피해자 보호보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 같다. 1 0
-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부족. 1 0
- 피해자에 대한 배려가 없다. 1 0
- 피해자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조치를 하기에 학교내 업무담당자의 부담이 크고 학교폭력 피해 발생 후 즉각적인 외부조치를 취하기가 어려운 분위기가 만연해 있기 때문 1 0
- 피해자와 가해자가 절대 차단이 되지 않아 항상 부딪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1 0
- 피해자의 상담 측면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도움이 안됨 1 0
- 학교 및 학생 커뮤니티의 광범위한 정보력을 통제할 수 없음 1 0
- 학교 밖 행동을 일일이 확인하지 못하고 직 간접적 피해도 있으면 특히 SNS 등을 통한 것은 확인이 어렵다 1 0
- 학교 이외 장소에서는 영향이 없다 1 0
- 학교라는 곳의 한계 때문에 다른 처벌을 내리기가 어렵다 1 0
- 학교라는 공간 안에서 한계가 있다. 1 0
- 학교라는 특수성 때문에(매일 어느정도 마주쳐야 하기 때문) 1 0
- 학급교체는 의미가 없다 1 0
- 형식적이며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1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53
  • Missing cases0
  • Standard deviation0
  • Minimun0
  • Maximun0
  • Mean0

This variable is character

Universe

현재 피해자 보호조치를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