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27. 귀하는 자연재난 관리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과 관련된 가장 큰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문제점
Value | Label | N | WN |
---|---|---|---|
- | 2014년 세월호 사고이후 방재안전직렬을 신설하였으나 해당 직렬 신규공무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미흡 | 1 | 0 |
- | ? | 1 | 0 |
- | 각 지자체별로 재난에 대한 전문가인력가 없어 대응이 미흡하다고 사료됨 | 1 | 0 |
- | 개인 시민단체 지자체가 자율 또는 독립적으로 해결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과 교육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는데 대형재난 발생시 정부가 모든 것을 총괄적으로 다하려고 한다 | 1 | 0 |
- | 교육 | 2 | 0 |
- | 국가에 도둑놈들이 많아서 재난관리에 쓸 예산이 없음 | 1 | 0 |
- | 국민들의 안전교육 및 의식 개선 | 1 | 0 |
- | 국민안전처 중앙부처의 공룡조직 및 역피라미드 모형의 지자체 구조 | 1 | 0 |
- | 국민안전처에는 인력이 많아 사무에 대한 전문성이 있을 수도 있으나 지자체의 경우 1명의 담당자가 여러가지 업무를 맡기 때문에 전문성이 약화될 수밖에 없음 | 1 | 0 |
- | 국민안전처에서 모든것을 하기 어려움 | 1 | 0 |
- | 국민인식 개선 | 1 | 0 |
- | 기상정보 | 1 | 0 |
- | 기초자치단체 전담 전문 인력부족 | 1 | 0 |
- | 너무 형식적인 정기검사 | 1 | 0 |
- | 느리다 | 1 | 0 |
- | 대응방향을 제시를 못하고있음 | 1 | 0 |
- | 대처능력부족 | 1 | 0 |
- | 말뿐인 행정 개선하기 위해서 예산 뒷받침이 있어야함 예산없이 개선은 없음예산과 전문적인 인력 보강 필요 중앙부처만 전문인력 충원 시나 자치구 전문인력 보강 필요 및 상황관리 인력 충원을 위한 예산 부족으로 대부분 인력 보강 힘듦 | 1 | 0 |
- | 매뉴얼식 관리 | 1 | 0 |
- | 매뉴얼의 잦은 변동 및 상황판단오류 | 1 | 0 |
- | 맨날 남탓함 | 1 | 0 |
- | 모든 부분 케어할 수 없음 | 1 | 0 |
- | 모르겠음 | 1 | 0 |
- | 모름 | 1 | 0 |
- | 문서로만 대책을 세우고 있음 | 1 | 0 |
- | 문서우선의 보고 | 1 | 0 |
- | 문제가 터지고 행해지는 정책들 | 1 | 0 |
- | 문제점 | 1 | 0 |
- | 방재인프라구축과 자율방재의식 교육 | 1 | 0 |
- | 보고위주 | 1 | 0 |
- | 보고체계와 의전 구태 | 1 | 0 |
- | 보여주기 식성과 위주 관리 | 1 | 0 |
- | 보이는 조직이나 실적에 치중 | 1 | 0 |
- | 보통 | 1 | 0 |
- | 복구역량 부족 | 1 | 0 |
- | 복잡한 보고체계 및 보고 시 수치 강조 | 1 | 0 |
- | 부족한 인력과 자원 체계 개선 | 1 | 0 |
- | 부처 지자체간 소통 부족 지자체 재난관리 인력 예산 부족 | 1 | 0 |
- | 부패되지 않은 행정 | 1 | 0 |
- | 비합리적 보고체계 | 1 | 0 |
- | 빈번한 인사이동으로 인한 업무의 비효율 | 1 | 0 |
- | 사무위주의 업무실태 | 1 | 0 |
- | 사전 예방보다는 사고난 이후 뒷수습에 치중 | 1 | 0 |
- | 사전대비 관련 공문서 생산에 행정력 낭비 | 1 | 0 |
- | 상하체계로 이루어진점 | 1 | 0 |
- | 상황관리부족 | 1 | 0 |
- | 생각해본적이 없음 | 1 | 0 |
- | 서류보고 위주의 행정ex겨울철 사전대비 기간은 1011114인데 점검은 10월 초 시행 등 | 1 | 0 |
- | 서류업무가 많다 | 1 | 0 |
- | 소통 | 1 | 0 |
- | 소통부족 | 1 | 0 |
- | 시설 안전점검 및 관리 부족 | 1 | 0 |
- | 신뢰성 회복 | 1 | 0 |
- | 신속 정확한 정보 제공 못함 | 1 | 0 |
- | 신속 체계성 부족 | 1 | 0 |
- | 신속한 대처 미흡 | 1 | 0 |
- | 신속한 복구와 주민의 사유시설 책임의식 강화를 위한 홍보 및 대책그리고 지자체 재난담당자의 인력강화 | 1 | 0 |
- | 신속한 정보전달 | 1 | 0 |
- | 실용적 재난대처 관리체계 확립이 요원함 | 1 | 0 |
- | 실적 평가위주의 자연재난관리로 실제 현장의 문제의식 부재 현장에 인력이 많아야하는데 관리 지도 평가하는데 치중하여 실제 효과는 의문시됨 | 1 | 0 |
- | 실적창출을 위한 형식적인 제도마련 | 1 | 0 |
- | 실전 훈련 강화 필요 | 1 | 0 |
- | 실질적 추진 | 1 | 0 |
- | 실질적인 예방이 아닌 책임 회피에만 연연 | 1 | 0 |
- | 안전대비 미흡 | 1 | 0 |
- | 언론의 거짓보도 | 1 | 0 |
- | 없음 | 18 | 0 |
- | 역구조적인 정부조직체계 권위의식 형식적인 재난관리 체계 | 1 | 0 |
- | 역할 부족 | 1 | 0 |
- | 역할분담 미비 | 1 | 0 |
- | 역활 확대를 승진확대로 기회로만 활용함 | 1 | 0 |
- | 예방 | 2 | 0 |
- | 예방 미흡 | 1 | 0 |
- | 예산 및 인력부족 | 1 | 0 |
- | 예산 지원미비 | 1 | 0 |
- | 예산과 인력의 중앙집중형 | 1 | 0 |
- | 예산부족 및 인프라 미흡 | 1 | 0 |
- | 예산투자 부족 및 인원 부족 | 1 | 0 |
- | 요식행위 | 1 | 0 |
- | 의견없음 | 3 | 0 |
- | 인력과 예산 | 1 | 0 |
- | 인식 | 1 | 0 |
- | 일선에서의 전문인력 부족 | 1 | 0 |
- | 자연재난 관리 인프라 부족 | 1 | 0 |
- | 자연재난 관련 중앙부처와 지자체간 구성인원 비대칭 | 1 | 0 |
- | 자연재난 관리 전문성 부족 | 1 | 0 |
- | 자연재난 대비 예산 및 인력 부족 | 1 | 0 |
- | 자연재난 발생 시 컨트롤 타워 주체가 모호하여 현장대응이 안되거나 느림 | 1 | 0 |
- | 자연재난 복구 단계에 있어 국민의 요구를 무조건적 수용하는 것 | 1 | 0 |
- | 자연재난담당자의 행정업무를 고려하지 않은 빈번한 교육참석요구 현실과 동떨어진 참석요구는 좋은 교육기회를 놓치고 교육수료부분도 중구난방이 됨으로 전문성에 대한 의욕상실 | 1 | 0 |
- | 자연재난에 관한 전문성부족무조건 외부전문가 선호 경향 | 1 | 0 |
- | 자연재난을 관리하는 전문이력의 부족 | 1 | 0 |
- | 장기적인 대비책 필요 | 1 | 0 |
- | 재난 대응의 복잡성 | 1 | 0 |
- | 재난 불필요 및 형식적 업무 남발 및 중복 예매뉴얼 대응수칙재난방침 중복 | 1 | 0 |
- | 재난 업무 및 대응 인력의 부족 | 1 | 0 |
- | 재난 인프라 구축 미흡 | 1 | 0 |
- | 재난관련 전문성이 결여 되어 방재업무추진에 애로가 있음 | 1 | 0 |
- | 재난발생시 신속한 전파 | 1 | 0 |
- | 재난부서 인력이 부족함 | 1 | 0 |
- | 재난분야에 있어 전문성 및 전문가 부족 | 1 | 0 |
- | 재난업무 시스템이 미성숙 | 1 | 0 |
- | 재난에 대한 소극적 태도 | 1 | 0 |
- | 재난에 대한 인식 부족 | 1 | 0 |
- | 재난예측능력 부족 | 1 | 0 |
- | 재난전문인력 부족 | 1 | 0 |
- | 재정 열악한 시군 방재 예산 부족 | 1 | 0 |
- | 전문 인력 부족 | 1 | 0 |
- | 전문가부족 | 1 | 0 |
- | 전문성 | 1 | 0 |
- | 전문성 및 일관성 결여 | 1 | 0 |
- | 전문성부족 | 1 | 0 |
- | 전문인력 | 1 | 0 |
- | 전문인력부족 | 1 | 0 |
- | 전문인력이 담당하게해야함 | 1 | 0 |
- | 전문적인 실과과 인재육성이 필요하다 | 1 | 0 |
- | 정보 전달 | 1 | 0 |
- | 정보의 신속성 | 1 | 0 |
- | 정보취합에 대한 행정적인 부분 | 1 | 0 |
- | 정부가 현장을 알기 힘듬 | 1 | 0 |
- | 정부부처 간에도 협업이 안되는 경우가 많음 재난 발생 시 처리 절차를 간단히 하는 것이 필요함 | 1 | 0 |
- | 정부와 지자체 인력 불균형 | 1 | 0 |
- | 정부와 지자체간의 협업기능 부족 | 1 | 0 |
- | 정부의 의지에 비해서 지자체 인력과 역량이 부족함 | 1 | 0 |
- | 정부주도 역할 | 1 | 0 |
- | 정확성 신속성 | 1 | 0 |
- | 제 기능을 못함 | 1 | 0 |
- | 조직이 있지만 조직내에 전문성있는 인력이 부족하고자주 변경됨 또한 쓸데없는 업무를 만들어서 시도 시군구의 업무를 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소통부재에 있음 | 1 | 0 |
- | 중앙 지자체가 협조필요 | 1 | 0 |
- | 중앙부서는 대규모이나 지방자치단체는 소규모이고 재난관리가 현장관리 중심이 아니고 평가나 실적 위주임 | 1 | 0 |
- | 중앙부처의 비대화 | 1 | 0 |
- | 중앙에서 재난관리 및 통제 미흡 | 1 | 0 |
- | 지방자치단체에 모든 책임을 넘기려고 한다 | 1 | 0 |
- | 지방정부에 비하여 너무 비대해진 중앙정부 | 1 | 0 |
- | 지속적인 반복적 훈련 부족 | 1 | 0 |
- | 지시 위주의 행정 | 1 | 0 |
- | 지원부족 | 1 | 0 |
- | 지자체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통보 | 1 | 0 |
- | 지자체 예산부족 | 1 | 0 |
- | 지자체 인력부족 | 1 | 0 |
- | 지자체 지원 | 1 | 0 |
- | 지자체의 재난관리전문인력 확보대책에 대한 무관심 | 1 | 0 |
- | 지휘체계 | 1 | 0 |
- | 진정한 전문인력 양성 채용 미흠 | 1 | 0 |
- | 컨트롤 타워 부재 | 1 | 0 |
- | 컨트롤 타워 역할 미비 | 1 | 0 |
- | 컨트롤 타워롤 타워의 부재라는 이유로 국민안전처를 신설하여 업무에 복잡성 및 중복성이 증대하였다 컨트롤타워라는 것으 수직적 구조로써 보고 및 지시 전달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로하다 | 1 | 0 |
- | 컨트롤타워 | 1 | 0 |
- | 컨트롤타워 미흡 | 1 | 0 |
- | 컨트롤타워 부재 | 1 | 0 |
- | 컨트롤타워 역할의 부재 | 1 | 0 |
- | 컨트롤타워 역할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함너무 많은 분야를 총괄하려고 함 | 1 | 0 |
- | 컨트롤타워가 없다 | 1 | 0 |
- | 컨트롤타워의 부재 | 1 | 0 |
- | 컨트롤타워의 역할 부족 | 1 | 0 |
- | 콘트럴타워 부재 | 1 | 0 |
- | 특별히 없음 | 1 | 0 |
- | 판단력 | 1 | 0 |
- | 평가 중심의 재난관리 | 1 | 0 |
- | 피동적대처 | 1 | 0 |
- | 할말없음 | 1 | 0 |
- | 해당없음 | 4 | 0 |
- | 현장 경험 인력 부족 | 1 | 0 |
- | 협업 미흡 및 복잡한 행정처리 | 1 | 0 |
- | 형식적 관료적 보여주기식 역할 | 1 | 0 |
- | 형식적인 행정 | 1 | 0 |
- | 홍보부족 | 1 | 0 |
- | 홍보의 다양성 | 1 | 0 |
- | 홍보활동및 지원강화 | 1 | 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