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문8. 귀하는 자연재난 교육훈련과 관련된 가장 큰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문제점

Answer
Value Label N WN
- 각 시군구의 실제적 재난훈련 미흡 1 0
- 각종 재난 매뉴얼이 너무 많음 1 0
- 강사 설명형 교육 1 0
- 강의 내용이 흥미를 이끌기 힘듬 1 0
- 강의 의주 1 0
- 강의식 교육의 한계가 있음 1 0
- 과대한 매뉴얼과 보여주기식 교육과 훈련이 문제라 판단됨 1 0
- 과도한 서면 및 시청각 위주의 교육훈련으로 인한 현장 대처 능력 부족 1 0
- 관련부서 업무 협의 1 0
- 관심 부족 1 0
- 관심도 부족 등으로 인한 교육 훈련의 형식적인 참여 1 0
- 관심도가 떨어져 훈련시 참여율이 저조 1 0
- 관심부족에 따른 예산 투입의 어려움 1 0
- 관행적인 훈련 1 0
- 교육 기관마다 교육의 질에 차이가 많고 체계적이지 않음 1 0
- 교육 받는 사람만 받음하위 직원들 위주 1 0
- 교육 훈련이 실제 상황과 비현실적 1 0
- 교육내용이 이론 위주 1 0
- 교육부족 1 0
- 교육분야가 중복적이고 산발적이다 너무 자주한다 1 0
- 교육은 도움이 되나 시군여건상 인력부족으로 교육참여 현실적 힘듦 1 0
- 교육을 접할 기회가 적다 1 0
- 교육이 너무 많습니다 1 0
- 교육이 방송시청이나 책교재 설명이므로 교육자 크게 받아들이지 않음 1 0
- 교육훈련 준비과정 업무부담을 줌 1 0
- 교육훈련 참여율이 낮다 1 0
- 교육훈련과 실제 재난에 대한 수준별 차이점 1 0
- 교재위주의 교육훈련 1 0
- 구체적이지 않은 교육 1 0
- 국민들의 관심 부족 1 0
- 국민들의 안전 의식이 부족함 1 0
- 국민안전처 및 지자체 업무담당 부서직원들의 비전문화 1 0
- 국민참여 의식 부족 1 0
- 글매뉴얼로 구성된 교육훈련에 따른 습득 부족 1 0
- 기관장 관심부족 1 0
- 기존의 학교 수업같은 방식은 교육의 흥미가 떨어져 교육 효과가 낮아짐 1 0
- 내실이 없고 지나친 형식화 1 0
- 눈으로만하는교육 1 0
- 다양한 재난에 대한 실습 부족 1 0
- 대비태세가 많이 부족하다 1 0
- 리허설이 된다하여도 실제적 상황이 된다면 오랜시간 이어온 관습적 지시사항으로 흘러갈 상황이큼 1 0
-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가 주어지기에 한계가 있음 1 0
- 매년 똑같은 훈련 1 0
- 매뉴얼같은 형식적인 매뉴얼을 개편했는데 100페이지가 넘는 매뉴얼로 어떻게 숙지 할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1 0
- 매뉴얼위주 1 0
- 매뉴얼위주의 학습교육 1 0
- 매뉴얼의 실제 훈련과 차이점 발생 1 0
- 모름 1 0
- 무관심 재난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함 1 0
- 무관심주민교육훈련담당자의 비전문성교육훈련관련 저예산 1 0
- 민간 참여 부족 1 0
- 민간시설 자체 훈련 부족 1 0
- 민방위법이 개정되면서 재난교육을 하고 있어 중복교육이 되고 있음 1 0
- 방재교육 기관에서 많은 교육 실시 바람 1 0
- 번거로움 1 0
- 보여주기 위주의 의무훈련안전한국훈련 보다는 주민들의 대처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 1 0
- 비정기적 이론위주의 기본교육 1 0
- 비효율적 일정 배정 1 0
- 사이버교육 으로 교육대체 한계 1 0
- 시나리오형 훈련 1 0
- 시민 미온적 참여 1 0
- 시민들의 관심도가 떨어짐 1 0
- 시민들의 교육훈련 미참여 1 0
- 시민들의 안전불감증 1 0
- 시청각 부족 1 0
- 시청각위주의 교육 1 0
- 실습부족 1 0
- 실습위주 교육 부족 1 0
- 실전위주의 연습필요 1 0
- 실제 재난에 대한 인식 1 0
- 실제 재난현장과 같은 체험형 훈련필요 1 0
- 실제상황 발생시 대처 방법 교육 미흡 1 0
- 실제상황 재연에 한계 1 0
- 실제와 같지 않은 훈련으로 미참여 1 0
- 실제적 내용이부족하다 1 0
- 실제적인 대응능력 향상에 한계 1 0
- 실제적인 재난훈련을 하려고해도 시군은 예산이 많이 부족함 1 0
- 안전교육에 대한 참여 및 관심이 낮음 1 0
- 안전불감증 1 0
- 암기식교육 1 0
- 업무 과부하로 현장에서 작동하는 훈련 계획 수립 어려움 보여주기식 훈련 시행 1 0
- 업무가 많아 교육에 참석하지 못한다 1 0
- 업무가 많아서 갈 시간이 없습니다 1 0
- 업무과중으로 교육참석 자체가 어려움 1 0
- 없음 13 0
- 예산부족 1 0
- 외부전문교육기관 부족 1 0
- 위에 상부기관이 시켜서 억지로 하는 행태 1 0
- 위험 인식부족 1 0
- 위험성 인지부족 1 0
- 위험성과 대피방법만 알려주고 모의훈련이 부족 1 0
- 의견없음 1 0
- 이론 30 실습70 1 0
- 이론 교육 위주임 1 0
- 이론 위주 일회성 교육 1 0
- 이론 위주보다 현장실습을 하여야 하나 예산관계로 인하여 미흡한 실정임 1 0
- 이론 위주의 교육 훈련과 실제 상황을 대변하기 힘든 모의실제 훈련 1 0
- 이론과 현실의 부적합 1 0
- 이론위주 2 0
- 이론위주의 교육이 가장 큰문제 집중력이 떨어짐 1 0
- 이론적이고 형식적인 교육 1 0
- 이론중심 1 0
- 이론중심 교육 1 0
- 인력부족 1 0
- 인력부족과 업무과중 1 0
- 인식 1 0
- 인식부족 및 담당곰무원 전문성 부족 1 0
- 인식부족 및 이론에 의한 교육 1 0
- 인원 부족 1 0
- 인원이 많고 강의식교육에는 개개인의 집중적 교육에 부적합 1 0
- 일과 시간09시18시에 추진되는 공무원주부노인 위주의 훈련 1 0
- 자발적 참여도가 부족함 1 0
- 자연재난 교육훈련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대비 1 0
- 자연재난 인식부족 1 0
- 자연재난분야에 있어 반복적인 피해사례 및 예방교육이 필요함 1 0
- 자연재난에 대한 인식결여 1 0
- 자연재난을 교육 훈련시킬수 있는 전문인력 확보가 지자체에서는 열악하여 실제 훈련이 어려운 실정임 1 0
- 잦은 인사 이동으로 인한 전문성 결여 1 0
- 재난교육은 재난부서 직원들 위주로 교육을 받음 1 0
- 재난범위 가상 추상성 1 0
- 재난부서외 타실무부서 직원의 재난대비 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1 0
- 재난업무의 이원화사회재난 자연재난 등에 따른 업무 효율성 저하 1 0
- 재난에 대한 전문인력 부족 1 0
- 재난에 대한 체감부족 1 0
- 재난은 대비 및 준비가 생명인데 평상시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다가 재난이 발생하였을때만 대책 및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생각됨 1 0
- 재해로 부터의 주민인식 저조 1 0
- 저조한 참여도 1 0
- 전문가 부재 1 0
- 전문가의 교수법의 문제 지루한 강의 유익한 내용이나 전달이 잘안됨 1 0
- 전문성 결여 1 0
- 전문성 부족 1 0
- 전문성 제고 1 0
- 전문화 체계화된 전문기관이 없다 1 0
- 제도개선 1 0
- 제한된 시간안에 많은 교육을 해야하기에 내용 다소 부실 1 0
- 주민 비참여에 따른 형식적훈련 1 0
- 주민들도 교육훈련이 필요함 1 0
- 주민의 관심부족 1 0
- 주민참여도가 낮음 1 0
- 주민참여율 저조 1 0
- 중앙부처의 담당부서 조직체계와 기초자치단체의 조직체계의 차이 1 0
- 지역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점 1 0
- 지자체 분야별 관리 인원의 부족현재 자연재난 분야 2명으로 교육이 겹칠 경우 참가가 어려움 1 0
- 지자체별 실상에 맞지 않는 획일화된 교육 1 0
- 지자체의 인원과 자원으로는 훈련자체가 힘듦 1 0
- 직관적 현실적 매뉴얼 부재로 실제 재난발생시 적용 어려움 1 0
- 직접 체험하고 실습해 볼 수 있는 기관이 부족하다 1 0
- 짧은 근무 기간 1 0
- 참여도 저조 및 컨텐츠 부족 1 0
- 참여부족 1 0
- 참여의지 부족 안전불감증 1 0
- 틀에 얽매인 교육 비 주기적인 교육 부족한 예산 등 1 0
- 평가를 위한 교육 및 훈련 1 0
- 피 교육자 인센티브 부재 1 0
- 필요이상으로 다양하고 많은 교육 1 0
- 해당분야만 교육을 해도 부족한데 막상 교육하면 다른 공통분야 교육때문에 전문분야 학습이 제한됨 1 0
- 해당없음 1 0
- 현실성 1 0
- 현실성 부족 1 0
- 현실성있는 훈련 1 0
-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체질화 미흡 1 0
- 현실적용이 안됨 1 0
- 현장견학이 없이 단순한 이론교육 1 0
- 형식적 1 0
- 형식적으로 진행 1 0
- 형식적으로 진행됨 1 0
- 형식적이고 지루한 교육 1 0
- 형식적인 강의 1 0
- 형식적인 교육 4 0
- 형식적인 교육보다 직접적 현실적인 교육훈련 필요 1 0
- 형식적인 교육이란 인식으로 교육참석자 역시 안일한 태도로 청강함 1 0
- 형식적인 교육훈련 짧은시간 안에 방대하고 진부한 이론 중심의 교육 1 0
- 형식적인 교육훈련으로 실질적인 대응력 부족 1 0
- 형식적인 훈련 2 0
- 형식적인 훈련내용 및 참여의식부족 1 0
- 홍보 1 0
- 횟수 1 0
- 훈련 위주가 아닌 교육 위주로 실효성이 부족하다 1 0
- 훈련을 진행하고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 기존업무와 같이준비하기 곤란 1 0
- 훈련이 산발적으로 너무 많고 평가와 이어져 어려움 1 0
- 훈련횟수가 적어 같은 내용기초만 반복하는 경우가 많음 1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198
  • Missing cases0
  • Standard deviation0
  • Minimun0
  • Maximun0
  • Mean0

This variable is character

Universe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