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36. 자체평가 관련 지자체 및 중앙부처 관련 개선할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Value | Label | N | WN |
---|---|---|---|
1 | 과도한 지표숫자에 대한 통제 필요 | 0 | 0 |
2 | 비인기업무도 묵묵히 수행하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평가지표 구성 | 1 | 0 |
5 | 자체평가의 지표 고도화, 발전 필요 | 0 | 0 |
6 | 평가체계 일원화 | 0 | 0 |
7 | 일률적인 평가 지양 | 0 | 0 |
8 | 공공기관의 업무를 생산성으로 평가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 0 | 0 |
9 | 평가결과에 대한 활용수위에 따라 평가몰입이 심각해 불필요한 일 양산행태 개선 | 0 | 0 |
10 | 국정평가처럼 운영방식의 표준화 필요 | 0 | 0 |
16 | 우수 자체평가 기관을 선정하고 시상하는 등 인센티브 부여 필요 | 1 | 0 |
17 | 자체평가를 통해 조직의 자생력 확보할 수 있음 | 1 | 0 |
18 | 지자체 자체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고 제도화 필요 | 0 | 0 |
19 | 지자체별로 시행여부, 시행범위, 시행내용 등의 편차 큼 | 0 | 0 |
20 | 지자체장, 행정부수반의 관심사항에 역량이 집중되는 경향이 부작용 발생 | 0 | 0 |
21 | 자체평가, 합동평가 지표는 시민이 원하는 지표중심으로 선정해야 함 | 0 | 0 |
22 | 합동평가 지표 등은 제외하여 선택과 집중의 효율적인 평가 필요 | 0 | 0 |
23 | 평가해선 안 될 사업이 있는데, 모두 획일화하려는 무지 | 0 | 0 |
26 | 지자체의 자체평가에 대한 공통된 가이드라인 제시 필요 | 0 | 0 |
27 | 지표 풀 개발하여 지자체 보급 | 0 | 0 |
28 | 지표개발의 전문성 | 0 | 0 |
29 | 통합 평가 툴 제작 배부 | 0 | 0 |
30 | 통합된 평가 관련 전산시스템 구축 및 운영 | 0 | 0 |
31 | 통합성과관리에 대한 총체적 매뉴얼 제공 | 0 | 0 |
32 | 객관화된 지자체 자체평가 표준성과지표를 개발하여 배포 | 0 | 0 |
34 | 신중한 접근 필요 | 0 | 0 |
35 | 전자적 성과시스템 개발 보급 | 0 | 0 |
36 | 자체평가 결과에 대한 구체적 환류 방안 마련 | 0 | 0 |
38 | 공공행정사무는 객관적 평가(수치화,등급화)가 어려움 | 0 | 0 |
39 | 끊임없는 지표 및 평가방법 개발 | 0 | 0 |
40 | 온나라 시스템상의 협업포인트를 지자체평가 업무관련 연계방안 | 0 | 0 |
41 | 외부전문가에 위탁, 컨설팅 등을 통한 역량강화와 평가실시 | 0 | 0 |
43 | 자체평가 자체를 전문용역기관에 의뢰 실행 | 0 | 0 |
44 |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 제고 필요 | 0 | 0 |
46 | 정보공유 제공 | 0 | 0 |
47 | 중앙정부의 다양한 지원 확대 | 0 | 0 |
48 | 중앙정부의 간섭최소화 | 2 | 0 |
49 | 중앙부처는 지자체 자체평가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원 | 0 | 0 |
50 | 중앙부처의 지속적인 관심 필요 | 0 | 0 |
51 | 중앙부처에서 표준모델 제시 | 0 | 0 |
52 | 우수사례 공유를 위한 중앙부처 주관 워크숍, 교육실시 | 0 | 0 |
53 | 자치단체의 인구, 면적, 예산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룹 세분 | 0 | 0 |
56 | 지자체는 평가하여 스스로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평가제도를 활용 | 0 | 0 |
57 | 지자체의 평가역량이 낮다는 중앙부처의 인식 개선 | 0 | 0 |
58 | 중앙부처는 여러가지 지방을 통제하기 위한 평가에 대해 민감함 | 0 | 0 |
59 | 지자체는 폐지 | 0 | 0 |
60 | 지자체별 공통지표 개발 필요 | 0 | 0 |
61 | 자치단체의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지표가 많아 이를 개선해야 함 | 0 | 0 |
62 | 부서별 평가에서 행정,환경복지,해양관광,지역개발 등 평가방식 | 0 | 0 |
63 | 자체평가 전담 조직 및 인원 충원을 행자부 차원에서 지원 | 0 | 0 |
64 | 시군 조직 및 정원 추가를 공문으로 시달 | 0 | 0 |
65 | 중앙기관에서 총액인건비제를 도입해 운영하기 때문에 인원충원이 어려움 | 0 | 0 |
67 | 평가 예산지원 확대 | 0 | 0 |
68 | 평가의 책무성 확보 | 0 | 0 |
69 | 평가는 안하는게 가장 바람직함 | 0 | 0 |
70 | 평가가 없으면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짐 | 1 | 0 |
71 | 평가결과의 과도한 활용보다 성과결과의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 | 0 | 0 |
72 | 평가인력의 전문성 확보 | 0 | 0 |
73 | 평가지표설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교육 필요 | 0 | 0 |
74 | 자체평가비중을 높이는것은 실적이 나타나지 않는 공무원에겐 비 | 0 | 0 |
75 | 자체평가가 공정하기가 어렵다는 여론이 많음 | 0 | 0 |
77 | 성과관리 평가에 대한 교육필요 | 0 | 0 |
78 | 성과연봉제관련 교육 필요 | 0 | 0 |
79 | 소속 직원의 관심도 제고 필요 | 0 | 0 |
80 | 투명성 제고 | 1 | 0 |
81 | 전문성 강화 | 0 | 0 |
82 | 전문적인 교육 | 0 | 0 |
83 | 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필요 | 0 | 0 |
84 | 전국 지자체 합동교육 실시 | 0 | 0 |
87 | 합동평가는 필요한 부분에 제한적으로 실시 | 1 | 0 |
88 | 성과관리 도입은 종합민원 행정인 지자체에 맞지 않음 | 0 | 0 |
89 | 중앙, 지자체 담당자 업무교육 및 워크숍을 해서 노하우를 공유 | 0 | 0 |
90 | 중앙부처 지표개발 및 설정시 보다 면밀한 조사와 의견수렴 필요 | 0 | 0 |
91 | 전국 공통의 평가지표가 마련되었으나 자체적으로 하기 어려움 | 0 | 0 |
92 | 평가의 지표가 공정하고 지역의 행정여건에 맞아야 함 | 0 | 0 |
93 | 중앙부처의 줄 세우기식 평가는 지양 | 0 | 0 |
94 | 지표가 수치화,계량화되어 직원의 업무량을 측정하는데 애로가 있음 | 0 | 0 |
998 | 없음 | 0 | 0 |
999 | 무응답 | 32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