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13. 통합평가제도 개선(피평가기관의 평가업무 가중 문제 개선 등)을 위한 종합적인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Value | Label | N | WN |
---|---|---|---|
1 | 중복 평가 간소화 | 12 | 0 |
2 | 평가의 객관성 제고 | 4 | 0 |
3 | 평가의 투명성 제고 | 1 | 0 |
4 | 현실적인 평가 바람 | 1 | 0 |
5 | 평가의 공정성 제고 | 2 | 0 |
6 | 해당 분야의 적절한 지표 마련 | 1 | 0 |
7 | 평가의 일원화 및 통합 필요 | 7 | 0 |
8 | 평가의 신뢰도 제고 | 1 | 0 |
9 | 평가 위원의 역량 강화 | 2 | 0 |
10 | 평가의 정확성 제고 | 0 | 0 |
11 | 현 평가 현황의 정확한 파악 및 점검 | 2 | 0 |
12 | 평가 항목의 축소 | 3 | 0 |
13 | 업무 과중 개선 | 5 | 0 |
14 | 불필요한 행정 지양 | 1 | 0 |
15 | 부처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평가 지표 구성 | 1 | 0 |
16 | 자율성 보장 바람 | 0 | 0 |
17 | 통합평가는 부처 역량 제고의 수단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함 | 1 | 0 |
18 | 인력 보강 | 2 | 0 |
19 | 환류 강화 | 0 | 0 |
20 | 법정화 | 0 | 0 |
21 | 평가를 위한 평가 개선 | 6 | 0 |
22 | 법에 근거한 범위 내에서 업무 추진 바람 | 0 | 0 |
23 | 명확한 평가 목적 설정 | 2 | 0 |
24 | 평가 자료를 위해 전문가 용역을 추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 1 | 0 |
25 | ? | 1 | 0 |
26 | 평가 지표의 단순화 | 0 | 0 |
27 | 평가자에 따라 다른 평가 견해가 있음 | 1 | 0 |
28 | 현행 실적 보고서를 근거로 한 평가는 의미가 없음 | 1 | 0 |
29 | 절대평가 제도 운영 필요 | 1 | 0 |
30 | 평가자에 대한 사전교육 후 평가 바람 | 2 | 0 |
31 | 기관 평가 시 사건사고 없으면 유리함 | 0 | 0 |
32 | 평가로 인한 애로와 고충을 우선적으로 고려 바람 | 1 | 0 |
33 | 사기와 자긍심을 높인다면 평가 없이도 성과가 창출될 수 있음 | 0 | 0 |
34 | 평가의 실효성 점검 | 3 | 0 |
35 | 평가 제도 개선 | 0 | 0 |
36 | 합리적인 지표 개발 | 0 | 0 |
37 | 평가 후 인센티브나 패널티를 확실히 구분해야 함 | 2 | 0 |
38 | 기관별 나누어 먹기식 평가 지양 | 0 | 0 |
39 | 기관에 피드백이 될 수 있는 평가 제도 수립 | 0 | 0 |
40 | 평가 관련 전담 직위제 신설 필요 | 1 | 0 |
41 | 체계적인 지표 개발 | 1 | 0 |
42 | 효율적인 제도 운영 | 1 | 0 |
43 | 각 평가 양식이 달라 매번 동일한 내용을 편집해서 작성함 | 1 | 0 |
44 | 평가 항목의 계량화 및 통일화 | 1 | 0 |
45 | 부처 순위를 매기기 위한 평가 지양 | 1 | 0 |
46 | 평가 자체에 대한 충분한 교육 필요 | 1 | 0 |
47 | 기관의 노력 등 정성적인 부분 평가 시스템 마련 | 1 | 0 |
99 | 없음/무응답 | 175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