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문2-2. 문2-1에서 1)~13) 통합평가로의 운영이 불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Answer
Value Label N WN
1 연계성 부족 1 0
2 평가를 위한 평가임 2 0
3 업무 효율 저하 2 0
4 공정성 결여 2 0
5 중복 평가 4 0
6 자체 평가로 가능함 9 0
7 실질적인 평가가 불가능함 2 0
8 행정력 낭비임 2 0
9 업무 과중 5 0
10 전문성 결여 0 0
11 불공정한 기준임 1 0
12 효과가 미비함 5 0
13 실적 위주의 평가임 1 0
14 특정평가와 자체평가의 통합 운영 필요 1 0
15 지자체 특성이 무시된 일률적인 지표로 측정하기 곤란함 3 0
16 지자체 정책 추진에 제한 우려 1 0
17 지자체 개별성 훼손 우려 2 0
18 평가의 주관성 우려 1 0
19 평가의 자의성 우려 0 0
20 평가 방법의 복잡성 1 0
21 평가를 위한 실적 쌓기에 해당 1 0
22 인사혁신처의 운영 미숙 1 0
23 신뢰성 부족 0 0
24 인재개발은 중요도를 고려하여 별도 평가가 타당함 1 0
25 관련 법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 1 0
26 지자체 합동평가 대상 중 불필요한 평가들이 있음 1 0
27 지자체 과열 현상으로 예산 확보 경쟁 우려 1 0
28 객관적인 성과 평가가 곤란함 1 0
29 정보공개제도를 위한 평가임 1 0
30 자체 계획 수립 후 평가의 의미 없음 1 0
31 공무원 인재개발평가와 인적자원개발사업 평가 통합 1 0
32 상위 평가를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이 있음 0 0
33 필요성 결여 1 0
34 중요 부처 순위 등에 따라 평가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음 1 0
35 시행 부처는 평가에 상당히 불리함 0 0
36 유지 보수 등은 정량적인 평가가 불가능함 1 0
37 손해가 된 대민 정책은 평가가 갈릴 수 있음 0 0
38 정보공개의 취지나 의도와 거리가 있음 1 0
39 지자체 재정 자립도의 차이로 법률 강제 사항을 이행하는 수준의 1 0
40 분야별 평가가 너무 많아 관심도 부족 1 0
41 ? 1 0
42 불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개선이 요구됨 0 0
43 ? 1 0
44 사업 실적 평가 시 평가에 나타나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함 1 0
45 전문적인 부분은 전문적인 곳에서 하는 것이 효율적임 0 0
99 없음/무응답 33 0
-1 비해당 153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97
  • Missing cases153
  • Standard deviation0
  • Minimun0
  • Maximun0
  • Mean0

This variable is numeric

Universe

통합평가로의 운영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도가 있는 응답자 (문2-1의 1-13번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