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Answer
Value Label N WN
1 지표 개발에 대한 교육 필요 4 0
2 담당 직원 의견 반영 2 0
3 전문가 의견 수렴 4 0
4 과제 추진 과정 중심 평가 0 0
5 정부의 역할 변화 등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 0 0
6 BSC는 기획조정 담당 중앙부처에는 맞지 않음 0 0
7 부처 부서의 특성 반영 0 0
8 사업에 대한 중장기적인 시각으로 명확한 이해 필요 0 0
9 데이터 관리 방식의 체계화 필요 0 0
10 평가지표 개발에 상당히 소극적임 0 0
11 수행하는 모든 일을 평가받아야 한다는 의식이 있음 0 0
12 지표의 타당성 확보가 어려움 0 0
13 평가지표 기초자료 공개 0 0
14 공통 적용이 불가능한 지표로 공정한 평가가 어려움 0 0
15 상대평가 중심의 정량 평가가 증가 0 0
16 내부 전문가 양성 필요 0 0
17 전문가들 중 실제 평가 경험이 있는 사람을 적극 활용 0 0
18 MBO 적인 자세 필요 0 0
19 목표 혹은 목적이 무엇인지 반복적 생각할 필요 있음 0 0
20 정책 및 사업 목표에 부합하는 지표 개발 0 0
21 지표의 연속성 또는 지속성으로 성과의 변화 파악 필요 0 0
22 기업 및 경제 활동을 정부 부처의 성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음 0 0
23 평가의 정당성, 공정성 등을 위한 투명성 제고 0 0
24 정부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게 기초하여 작성해야 함 0 0
25 실제 성과가 아닌 쉽게 측정 가능한 형식 지표 선정 최소화 0 0
26 평가 활용을 염두에 두는 지표 개발이 어려움 0 0
27 반복 측정되는 자료에 대한 시스템화 필요 0 0
28 시대적 변화 절절히 반영 0 0
29 집권당의 정당 이념 반영 최소화 0 0
30 ? 0 0
31 개발을 위해서는 중간 관리층 이상이 관여해야 함 0 0
32 순환보직으로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이 낮음 0 0
33 통계지표 및 시스템을 통한 평가로 업무 부담 경감 필요 1 0
34 사업평가, 예산평가, 성과평가를 동시 추진 0 0
35 과단위의 지표수준을 최소 국단위로 개선 0 0
36 ? 0 0
37 민원에 대처하는 부서는 높은 평가를 받기 어려움 0 0
38 개발 시간이 짧고 다른 업무로 개발하기 어려움 3 0
39 표준화된 평가지표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공유 1 0
40 평가를 위한 평가가 되는 경향이 있음 1 0
41 목표 달성 위한 노력을 인정해 주는 시스템 필요 2 0
42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야 함 1 0
43 평가 담당자의 일정 기간 근무 보장 0 0
44 정량적 지표의 과학적 개발 1 0
45 다양한 정성지표 마련 0 0
46 실적 위주보다는 업무 내실 평가 바람 1 0
47 연례적인 업무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음 1 0
48 국회와의 협의로 성과지표를 정하고 보고하도록 함 1 0
49 성과계획서 공개를 통한 시민 참여 0 0
50 무리하게 정량지표를 개발하도록 할 필요가 없음 1 0
51 부서의 자율성 인정해주기 바람 1 0
52 사업 건마다 다름 1 0
53 국조실 차원의 전문가 조력 바람 1 0
54 외부 용역 실적을 업무 실적으로 하지 말기 바람 0 0
55 실제 업무과정 등 현실적인 부분을 반영한 평가 개발 필요 1 0
99 없음/무응답 128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156
  • Missing cases0
  • Standard deviation0
  • Minimun0
  • Maximun0
  • Mean0

This variable is nume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