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검색결과

Literal Question

Answer
Value Label N WN
1 지표의 가중치 조정할 필요가 있음 0 0
2 쉬운 목표치 설정하는 경향 회피 2 0
3 사업의 성숙도와 외부 환경 변화를 반영한 목표치 설정 0 0
4 기계적인 과거 추세의 목표치 설정은 피해야 함 0 0
5 정량지표의 과도한 목표치 증대 요구 지양 0 0
6 정성지표의 구체적 기준 제시 필요 0 0
7 부처의 역량을 고려한 목표치 설정이 어려움 0 0
8 정책 목표와 성과지표의 일관성 필요 0 0
9 시대적 변화를 적절히 반영 0 0
10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경영 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 0 0
11 목표 상향 설정에 대한 인센티브 필요 0 0
12 보수적인지 도전적인지 지속 체크 필요 0 0
13 쉽게 측정 가능한 형식적 지표 선정 제외되어야 함 0 0
14 습관적 증대 지양 0 0
15 공공업무의 성과를 수치화하기 어려움 3 0
16 목표치 설정 기준을 세우기 어려움 3 0
17 객관적인 수치 설정 필요 1 0
18 평가를 위한 목표치 설정 지양 1 0
19 매년 목표치의 상향 조정이 어려움 7 0
20 사업 건마다 상이함 1 0
21 전문성 부족에 따른 현실성 떨어지는 목표치가 설정되면 성과 관 1 0
22 사업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음 1 0
23 특정 연도에 부정적인 평가 요인이 발생해도 이를 반영해 공정히 1 0
24 일선 담당자의 정보 불균형에 의한 도덕적 해이가 작용함 0 0
25 ? 1 0
26 목표치 설정에 대한 근거 부족 0 0
27 ? 0 0
28 과거 실적의 무조건 반영보다는 담당 인력, 예산 변경에 따라 절 0 0
29 목표치의 지속적 증대는 부처나 사업에 따라 필요하지 않은 경우 0 0
30 지속 관리되어야 할 지표라면 바람직한 목표치를 설정하고 유지 0 0
31 ? 0 0
32 부처의 노력과 성과의 객관화 필요 0 0
33 ? 1 0
34 목표치를 유지하면서 관련 개선사항을 발굴하는 것도 성과평가의 1 0
35 일률적으로 수치화 지표를 강요하는 것 개선 1 0
36 감소 수준의 설정에 원인과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1 0
37 업무의 내실보다 성과 달성을 위한 정책 추진이 되면 안 됨 1 0
38 연도별 지속 과제의 경우 현실적으로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기 어 1 0
39 국민과의 상호 지속적 토론과 정보 공개가 어려움 1 0
40 단기간 내 성과를 보여줄 만한 성과지표를 다양하게 선정하기 어 1 0
41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기가 부담스러움 1 0
42 해당 부서 직원과 총괄부서 기대치의 불일치 2 0
43 목표치 달성에 대한 점수 비율을 낮게 잡는 것을 검토 바람 0 0
44 지표 개발이 어려움 1 0
99 없음/무응답 122 0
Summary Statistics
  • Valid cases156
  • Missing cases0
  • Standard deviation0
  • Minimun0
  • Maximun0
  • Mean0

This variable is nume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