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59. 향후 시민사회단체의 육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부분이나 평소 생각하셨던 내용이 있으시다면 자유롭게 적어주십시오.
Value | Label | N | WN |
---|---|---|---|
- | null | 1 | 0 |
- | 각 영역별 시민사회의 네트워크 창설 | 1 | 0 |
- | 공공성을 사유할 수 있는 공공장소를 확대해야 한다 | 1 | 0 |
- | 공익생태계 조성을 위한 독립행정기구 필요 | 1 | 0 |
- | 기업의 사회공헌과 시민사회단체의 캠페인 활동 동간의 확대,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의 철폐(사단법인 정관 개정이나 재산 변동 시에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는데 어려움이 많음). 정부나 기업의 시민사회단체 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 | 1 | 0 |
- | 내부인력 전문성 확보/ 정책적지원 | 1 | 0 |
- | 다양한 비영리 사업진출 기회마련 | 1 | 0 |
- | 대학이나 대학원과정 운영을 통해 전문성을 확보해 나갈수있었으면한다 해외연수 지원등 분야를 지정하지 않는 지원사업이었으면함 | 1 | 0 |
- | 미디어 마케팅 전문가 필요, 지속적인 사업비(후원금)필요 | 1 | 0 |
- | null | 1 | 0 |
- | null | 1 | 0 |
- | 사회복지학과 등또는 기타 프로그램들에 석사 레벨에서라도 법학, 경영학, 기타 전문적 경영부분과의 연합전공에 의해, 기타분야를 다를 수 있는 전문가들이 양성되야합니다 | 1 | 0 |
- | 사회적 인식 개선(감정노동으로 인한 Burn Out) | 1 | 0 |
- |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참여한 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 1 | 0 |
- | null | 1 | 0 |
- | 세대통합,전문성강화 | 1 | 0 |
- | 시민단체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연수 및 지원 | 1 | 0 |
- | 시민사회 공익활동가 공제회법제정,시민참여/시민성 강화를 위한 자원봉사 정책 수정보완 | 1 | 0 |
- | 시민사회 단체 활동에 대한 연속적 지원, 인식개선 활동 | 1 | 0 |
- | null | 1 | 0 |
- | null | 1 | 0 |
- | 시민사회 전체의 지형을 시민이 생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그릇과 기회를 마련 | 1 | 0 |
- |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등이 좀 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커뮤니티로 진행되로록 확대해야한다. | 1 | 0 |
- | 시민사회단체 의견반영 프로세스 | 1 | 0 |
- | 시민사회단체 주도의 민관협력 강화 및 사회적 기업과의 협의체 구축 | 1 | 0 |
- | 시민사회단체 활동가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 1 | 0 |
- | 시민사회단체, 사회적기업등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근로자의 평균급여가 현실화되는 것이 시급하다 한국근로자 평균급여보다 덕없이 낮다보니 고용인력유입 및 유지가 상당히 어렵다 | 1 | 0 |
- | 시민사회단체의 인력채용 지원을 통해 우수인력이 시민사회단체에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 1 | 0 |
- | 시민사회단체의 전문성강화를 위한 인적자원을 훈련, 육성하는 (가칭)NPO훈련센터가 정부기업의 공동지원으로 건립,운영되었으면 함 | 1 | 0 |
- | 시민사회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단체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인재가 영입될 수 있어야 함. 재원 지원 필요. | 1 | 0 |
- | 시민사회의 의견과 주장을 정기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정당, 정부, 언론과의 동등한 협력관계 형성 필요. (공론의 장 마련) | 1 | 0 |
- | 시민참여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1의 전향적인 태도가 중요합니다. 4를 반1세력 또는 불필요한 세력으로 규정해온 태도를 바꿔 협력과 협치의 대상으로 바라봐야합니다. | 1 | 0 |
- | 운동성강화 | 1 | 0 |
- | 임금에 비해서 업무가 과다하여 일의 효율이 떨어지고, 이후 열정이 높았던 사람들이 이 세계를 떠나게 됨 | 1 | 0 |
- | 재정상황들이 열악한 상황에서 사회변화를 한 단체가 만들기 쉽지 않음 연대를 통해 해결하기도 하지만 한계가 있음. 강한 결속력, 연대를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시민사회단채 지원 확대 | 1 | 0 |
- | 적극적으로 공익을 위한 활동은 하지만, 이에 비해 급여가 작아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일반 기업과 비교해도 급여가 차이가 많이 나지 않도록 해야겠음. | 1 | 0 |
- | 전문성이 떨어지므로 내부 인력들을 통해 전문적인 부분에 대해 교육 필요 | 1 | 0 |
- | 전문적인 확보를 위한 인식개선, 즉 보수적인 시각에서 인건비를 바라보는 현상으로 고효율 고능력 인원이 확충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 1 | 0 |
- | 정부와시민들의네트워킹구축 | 1 | 0 |
- | 지자체는 NGO를 지원하기 위한 NGO지원센터 등 중간거점 기관, 시설이 필요함 | 1 | 0 |
- | 진정한 시민의 의견을 수용하고 수렴하는 단체가 되었으면 함 | 1 | 0 |
- |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미션이 동일하거나 활동이 동일한 단체들끼리 연대 | 1 | 0 |
- | 협업 및 n/w강화 | 1 | 0 |
- | 활동가의 사회적 지위 확인/인정 및 지원이 필요함. | 1 | 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모든 응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