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선교 활동가 인터뷰 조사, 2002-2005
https://doi.org/10.22687/KOSSDA-B3-2003-0003-V2
이종구 /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이 연구는 한국 산업화 시대 산업노동자의 형성 과정과 생활세계에 관한 자료 수집,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 및 보존 목적의 노동사 관련 DB구축 사업을 포함한다. 동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노동사 관련 기록문서의 수집과 노동자 및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이 자료는 1960~80년대 산업선교 활동가와 관련 노동 운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구술사 인터뷰로 구성된다.
인터뷰 대상자는 1970년대 산업선교운동의 중심지였던 인천산업선교회와 영등포산업선교회 소속 대표 지도자와 실무자들, 그리고 산업선교와 연관된 당대 주요 노동 운동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 여성 노동자들이다. 인터뷰는 조승혁, 조지송, 인명진, 조화순 등으로 구성된 산업선교 지도자 집단과 2세대 실무자 그리고 노동운동에 참여했던 여성 노동자 집단으로 구분되어 실시되었다.
세 집단의 인터뷰 내용은 산업선교 및 노동운동 참여 계기, 노동자 교육, 주요 투쟁사건, 산업선교 및 노동운동 이후의 생활, 산업선교 및 노동운동에 대한 평가 등을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다. 이 외 산업선교 지도자의 경우 산업선교 활동과 교회와의 관계, 기독교 노동운동 내 입장 차이, 영등포와 인천 산업선교 활동의 차이, 지식인과의 연대 및 정치적 참여에 대한 입장 등이, 2세대 실무자의 경우 1세대 지도자들과의 입장 및 활동 차이, 1세대 지도자들에 대한 평가 등이, 그리고 여성 노동자의 경우 생애사, 노동환경(입사경로, 근무일수 및 근로시간, 직급 및 임금차이, 기술습득 과정, 산업재해 경험, 폭행 및 성폭력 경험, 기숙사 환경, 동료관계, 여가생활 등), 노동운동 및 노동조합 활동 경험, JOC 활동, 야학 경험 등의 내용을 각각 포함한다.
특히 이 자료는 구술사 방법론에 기초하여 동일방직, 원풍모방, 반도상사, YH 사건, 콘트롤데이타 등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주도한 노동 운동의 맥락을 조명하며, 이를 이끈 인물들의 생애사와 주관적 경험을 드러낸다. 또한, 당대 산업선교와 노동 운동사에서 권력 기관, 기업, 목회자, 지식인, 노동자 등 다양한 사회 계층 간 관계 역동, 젠더 규범과 권력 관계, 지식인 담론과 노동자 경험 세계의 이질성 등 여러 사회 구조적 측면을 보여준다.
산업노동자 산업선교 노동운동 노동환경 근로환경 노동조건 근로조건 노동조합 여성노동자 여성의사회참여 여성참여 성불평등 성사회화 구술사 생애사 교회 기독교 노동운동사 인천산업선교회 영등포산업선교회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인터뷰리스트(국문) | interviewlist_b320030003_v2.0.xlsx | 인터뷰리스트 | EXCEL | 18.04 kB | 다운로드 |
관련파일-인터뷰리스트(국문) | interviewlist_b320030003_v2.0.pdf | Interviewlist | 170.66 kB | 다운로드 |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