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한국인의 행복조사, 2023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3-0039-V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허종호 / 국회미래연구원 삶의질 그룹 부연구위원


연구수행기관

국회미래연구원


초록

「한국인의 행복조사」는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 수준과 불평등의 크기를 측정하고 이의 결정요인을 탐색할 수 있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국회미래연구원이 2021년 처음 시행한 대규모 전국단위 표본조사이다. 국회미래연구원은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한 일관성 있는 설문지 개발과 한국인의 생활양식과 사회적 맥락을 반영할 수 있는 설문문항 개발을 위해 본 조사에 앞서 예비조사 및 인지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행복수준 측정문항은 국제비교가 가능하도록 OECD 주관적 안녕감 측정 가이드라인을 반영하였고, 태도, 신념 및 사회적 가치관과 사회적 활동을 측정하는 문항을 추가하여 행복감의 사회심리적 결정요인을 측정하려 하였다. 또한 실제 행복 경험 형태 측정을 위해서는 일상재구성법을 도입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이 자료는 2023년 시행된 제3차 조사의 결과로, 전국에 거주하는 7,582가구의 만 15세 이상 남녀 16,305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영역별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행복 부문: 전반적 행복감,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도,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
2. 정서 부문: 어제의 감정, 행복감, 미소와 웃음 빈도
3. 삶의 만족도: 캔트릴 사다리 위치, 5년 전후 삶의 만족도, 가족생활 만족도, 주변 환경 만족도, 일에 대한 만족도
4. 인식/가치관 및 사회적 관계: 사회적 가치관, 집단 신뢰도, 단체활동 참여 빈도, 위급상황 발생 시 도움 청할 사람, 자원봉사활동, 기부경험, 개인성향, 시간활용, 자유로운 선택과 통제, 평등 및 불평등 인식 정도, 경제적 풍요 수혜자, 우리사회의 현실
5. 여가 활동: 여가시간 활동, 함께 한 사람, 일과 여가생활 간 균형, SNS 사용
6. 일상 재구성: 어제 기상 및 취침 시간, 어제 중요하다고 생각한 일, 같이한 사람 및 느낀 감정
7. 의료 및 건강: 지난 2주 동안 증상, 흡연 및 음주 여부, 체형 유형, 고/중강도 스포츠 활동 여부, 병의원 진료 받지 못한 경험 여부, 주된 이유, 진료 받기 위한 노력 여부
8. 거주 및 이동: 거주 기간, 현 지역으로 이사(이주)한 이유, 향후 5년 이후 현 시도/시군구 거주 의향, 거주 환경

더 보기



자료시리즈

한국인의 행복조사



자료이용안내

1. 조사 대상은 만 15세 이상 가구원으로 해당 가구 내 2008년 12월 31일까지 태어난 가구원 모두가 조사대상에 해당합니다.
2. 다단계 층화집락추출법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조사 시 요일별 할당을 적용하여 조사 당일의 '어제' 기준으로 ‘월∼목’ 응답을 약 57%, ‘금∼일’ 응답을 약 43% 정도 수집하도록 고려하였습니다.
- 조사완료 표본 총 16,305명 중 월∼목: 9,267명, 금∼일: 7,038명
3. 표본크기를 고려할 때 시도 단위에서의 대표성은 확보 가능하나 시군구 단위에서 대표성 담보가 어렵기 때문에 시군구 단위 구분 변수 활용 시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 가중치 변수의 활용에 대해서는 기초분석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조사 완료된 표본을 바탕으로 설계가중치, 무응답, 조정계수 가중치, 벤치마킹 조정계수 가중치 적용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230039.pdf 설문지 (한글) PDF 732.06 k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kor_report_DescriptiveAnalyticResearch_20230039.pdf 결과보고서 (한글) PDF 29.8 M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kor_report_FourYearTrendAnalyticResearch_20230039.pdf 결과보고서 (한글) PDF 8.57 M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kor_interviewer_instruction_20230039.pdf 조사원지침서 (한글) PDF 1.69 MB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kor_sampling_design_20230039.pdf 표본설계내역서 (한글) PDF 4.13 MB 다운로드
아이디와 가중치
ID_gagu
가구ID
SQ. 가구일반사항
SQ1_3
성별
A. 행복
B. 정서
C. 삶의 만족도
캔트릴 사다리, 5년 전후 삶의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항목별 삶의 만족도
일 만족도
D. 인식/가치관 및 사회적 관계
사회적 가치관
집단 신뢰도
단체활동 참여도
사회구성원에 대한 인식(타인신뢰도)
사회적 지원망
경제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서적 지원
봉사활동 및 기부 경험
개인적 성향
시간활용 및 타인과의 교류 시간
인생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과 통제 여부
사회불평등 인식
수혜대상에 대한 인식
E. 여가 활동
여가
SNS 이용
F. 일상재구성
기상 및 취침시간
어제 가장 중요했던 일
어제 중요했던 일을 함께 한 사람
어제 중요했던 일을 하면서 느낀 감정
시간대 분류
시간대 가장 중요했던 일
시간대 가장 중요했던 일을 함께 한 사람
시간대 가장 중요했던 일을 하면서 느낀 점
G. 의료 및 건강
주관적 건강
감정 빈도
만성질환
장애 유무
담배 경험
음주 경험
체형
운동 경험
진료서비스 경험
MO. 거주 및 이동
DQ. 개인 관련 사항
분류코드
조사원 기록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5,265
관련 파일
1,186
데이터
381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