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1 |
현재 직장의 여성 직원 비율
C1. 현재 직장의 여성 직원 비율은 어느 정도입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2 |
현재 직장의 여성 관리자 비율
C2. 현재 직장에 종사하는 관리자(과장급 중간관리자 이상; 약 9~13년차 이상 경력) 중, 여성의 비율은?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3_1 |
현재 직장의 관리자 성별1: 최고경영자(CEO, 사장, 대표이사)
C3. 귀사의 최고경영자, 부서, 직속상관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 최고경영자 (CEO, 사장, 대표이사)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3_2 |
현재 직장의 관리자 성별2: 현재 일하는 부서 관리자
C3. 귀사의 최고경영자, 부서, 직속상관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2) 현재 일하는 부서 관리자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3_3 |
현재 직장의 관리자 성별3: 현재 직장 사수
C3. 귀사의 최고경영자, 부서, 직속상관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3) 현재 직장 사수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3_4 |
현재 직장의 관리자 성별4: 현재 직속 상관
C3. 귀사의 최고경영자, 부서, 직속상관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4) 현재 직속 상관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4 |
현 직장에서 부서관리자/직속상관의 성별이 바뀐 경험
C4. 현 직장에서 근무하면서 부서관리자나 직속상관의 성별이 바뀐 적이 있습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4_1 |
(경험 있는 경우) 부서관리자/직속상관 성별이 바뀐 경우 조직문화 변화 정도
C4_1. 직속상관이나 관리자 성별이 바뀐 경우 조직문화가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5 |
직장내 임금차별/남녀임금체계 분리 발생에 대한 인지 여부
C5. 현재 직장에 임금차별 혹은 남녀임금체계 분리가 발생한 경우를 알고 있습니까? (본인 및 사내 소문으로 들은 경우 포함) * 임금차별 혹은 남녀임금체계분리: 동일 직급, 동일가치 노동, 동일 연차의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 사이에 연봉 차이가 있는 경우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5_1 |
(인지하는 경우) 직장내 임금차별/남녀임금체계 분리에 대한 문제 제기 여부
C5-1. (C5번에서 '1) 예'라고 응답한 경우에만) 이러한 임금차별 혹은 남녀임금체계 분리에 대해서 회사나 조직 차원에서 문제제기가 이루어진 적이 있습니까? * 임금차별 혹은 남녀임금체계분리: 동일 직급, 동일가치 노동, 동일 연차의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 사이에 연봉 차이가 있는 경우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5_2 |
(문제 제기한 경우) 직원들의 문제 제기 시 본인 입장
C5-2. (C5-1번에서 '예'라고 응답한 경우에만) 직원들이 문제를 제기했다면 거기에 대한 본인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5_3 |
(동의하는 경우) 임금차별/남녀임금체계 분리가 존재하는 경우 근로 의욕 변화
C5-3. (C5번에서 '1) 예'라고 응답한 경우에만) 임금차별 혹은 남녀임금체계 분리가 존재한다면, 이것으로 인해서 근로 의욕이 떨어집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C5_4 |
(동의하는 경우) 임금차별/남녀임금체계 분리가 관리되는 경우 근로 의욕 변화
C5-4. (C5번에서 '1) 예'라고 응답한 경우에만) 임금차별 혹은 남녀임금체계 분리 없이 투명하게 관리되고, 이 부분이 개정된다면, 지금보다 근로의욕과 회사 일에 전념도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1 |
현재 직장에서 경력단절의 불안감 유무
D1. 현재 직장에서 경력단절의 불안감을 느끼십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2 |
본인이 속한 팀/부서에서 경력단절된 선후배 및 동기 유무
D2. 본인이 속한 팀/ 부서에서 경력이 단절된 선후배 및 동기가 있습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2_1 |
(있는 경우) 가장 큰 경력단절 이유
D2-1. (D2에서 '1) 있다'로 응답한 경우에만 질문) 있었다면, 전해 듣거나 본인이 판단하기에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2_1x |
(있는 경우) 가장 큰 경력단절 이유: 기타내용
D2-1. (D2에서 '1) 있다'로 응답한 경우에만 질문) 있었다면, 전해 듣거나 본인이 판단하기에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 기타내용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3 |
직장 내에 임신, 출산, 육아기를 거치고 중간관리자로 진급한 선배 유무
D3. 회사 내에 임신, 출산, 육아기를 거치고 중간관리자로 진급한 경우의 선배를 본 적이 있습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3_1 |
(있는 경우) 본인의 커리어 계획에 롤모델이 되는지 여부
D3-1. (D3에서 '1) 있다'로 응답한 경우에만 질문) 있다면, 본인이 커리어를 계획하는 데 롤모델이 됩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
|
D3_2 |
(있는 경우) 향후 진급한 선배로부터 직장생활 조언 받을 의향
D3-2. (D3에서 '1) 있다'로 응답한 경우에만 질문) 향후 해당 선배로부터 일·가족 양립과 결혼 후 직장 생활 등에 대해서 조언을 받을 의향이 있습니까?
서울시 이공계 재직 청년여성의 취업현황 및 정책지원 수요조사,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