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공공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설문조사, 2022 : 아동학대예방경찰관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2-0018-V1.0
김민주 /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
이 조사는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이 부산지역 공공 아동보호체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공 아동보호체계 개편 이후 업무에 대한 인식과 관련 기관 간 연계·협력 변화 등을 파악함으로써 부산지역 공공 아동보호체계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아동보호체계 업무담당자, 아동학대예방경찰관, 아동보호관련시설 종사자들이며, 설문은 공통문항과 각 업무별 특성을 반영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료는 부산지역의 아동학대예방경찰관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공공 아동보호체계 개편에 대한 인식, 업무에 대한 인식, 기관 간 연계·협력, 부산시 아동보호센터의 기능, 부산지역 공공 아동보호체계의 발전방향 등이다.
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220018.pdf | 설문지 (한글) | 705.2 k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여성 | 5 | 0 |
41.7%
|
2 | 남성 | 7 | 0 |
5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20~29세 | 0 | 0 |
0%
|
2 | 30~39세 | 8 | 0 |
66.7%
|
3 | 40~49세 | 3 | 0 |
25%
|
4 | 50~59세 | 1 | 0 |
8.3%
|
5 | 60세 이상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순경 | 0 | 0 |
0%
|
2 | 경위 | 4 | 0 |
33.3%
|
3 | 경장 | 7 | 0 |
58.3%
|
4 | 경감 | 0 | 0 |
0%
|
5 | 경사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중구 | 1 | 0 |
8.3%
|
2 | 서구 | 1 | 0 |
8.3%
|
3 | 동구 | 0 | 0 |
0%
|
4 | 영도구 | 1 | 0 |
8.3%
|
5 | 부산진구 | 1 | 0 |
8.3%
|
6 | 동래구 | 1 | 0 |
8.3%
|
7 | 남구 | 1 | 0 |
8.3%
|
8 | 북구 | 1 | 0 |
8.3%
|
9 | 해운대구 | 1 | 0 |
8.3%
|
10 | 사하구 | 0 | 0 |
0%
|
11 | 금정구 | 1 | 0 |
8.3%
|
12 | 강서구 | 1 | 0 |
8.3%
|
13 | 연제구 | 1 | 0 |
8.3%
|
14 | 수영구 | 0 | 0 |
0%
|
15 | 사상구 | 0 | 0 |
0%
|
16 | 기장군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1 | 1 | 0 |
8.3%
|
- | 4 | 2 | 0 |
16.7%
|
- | 6 | 4 | 0 |
33.3%
|
- | 7 | 1 | 0 |
8.3%
|
- | 8 | 1 | 0 |
8.3%
|
- | 16 | 2 | 0 |
16.7%
|
- | 23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3 | 0 |
25%
|
- | 1 | 1 | 0 |
8.3%
|
- | 2 | 1 | 0 |
8.3%
|
- | 3 | 1 | 0 |
8.3%
|
- | 4 | 2 | 0 |
16.7%
|
- | 5 | 1 | 0 |
8.3%
|
- | 8 | 1 | 0 |
8.3%
|
- | 9 | 1 | 0 |
8.3%
|
- | 11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6 | 0 |
50%
|
- | 1 | 3 | 0 |
25%
|
- | 2 | 2 | 0 |
16.7%
|
- | 3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0 | 2 | 0 |
16.7%
|
- | 3 | 2 | 0 |
16.7%
|
- | 4 | 3 | 0 |
25%
|
- | 5 | 4 | 0 |
33.3%
|
- | 6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3 | 큰 변화가 없음 | 1 | 0 |
8.3%
|
4 | 긍정적으로 변화 | 9 | 0 |
75%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2 | 0 |
16.7%
|
9 | 잘 모르겠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3 | 큰 변화가 없음 | 1 | 0 |
8.3%
|
4 | 긍정적으로 변화 | 8 | 0 |
66.7%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3 | 0 |
25%
|
9 | 잘 모르겠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3 | 큰 변화가 없음 | 2 | 0 |
16.7%
|
4 | 긍정적으로 변화 | 6 | 0 |
50%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4 | 0 |
33.3%
|
9 | 잘 모르겠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3 | 큰 변화가 없음 | 0 | 0 |
0%
|
4 | 긍정적으로 변화 | 9 | 0 |
75%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3 | 0 |
25%
|
9 | 잘 모르겠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1 | 0 |
8.3%
|
3 | 큰 변화가 없음 | 1 | 0 |
8.3%
|
4 | 긍정적으로 변화 | 6 | 0 |
50%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3 | 0 |
25%
|
9 | 잘 모르겠다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2 | 0 |
16.7%
|
3 | 큰 변화가 없음 | 5 | 0 |
41.7%
|
4 | 긍정적으로 변화 | 2 | 0 |
16.7%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2 | 0 |
16.7%
|
9 | 잘 모르겠다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3 | 큰 변화가 없음 | 0 | 0 |
0%
|
4 | 긍정적으로 변화 | 10 | 0 |
83.3%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2 | 0 |
16.7%
|
9 | 잘 모르겠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부정적으로 변화 | 0 | 0 |
0%
|
2 | 부정적으로 변화 | 1 | 0 |
8.3%
|
3 | 큰 변화가 없음 | 0 | 0 |
0%
|
4 | 긍정적으로 변화 | 9 | 0 |
75%
|
5 |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 | 2 | 0 |
16.7%
|
9 | 잘 모르겠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1 | 0 |
8.3%
|
3 | 문제 약간 있음 | 3 | 0 |
25%
|
4 | 문제 심각 | 6 | 0 |
50%
|
5 | 문제 매우 심각 | 2 | 0 |
16.7%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2 | 0 |
16.7%
|
3 | 문제 약간 있음 | 2 | 0 |
16.7%
|
4 | 문제 심각 | 6 | 0 |
50%
|
5 | 문제 매우 심각 | 2 | 0 |
16.7%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4 | 0 |
33.3%
|
3 | 문제 약간 있음 | 4 | 0 |
33.3%
|
4 | 문제 심각 | 2 | 0 |
16.7%
|
5 | 문제 매우 심각 | 2 | 0 |
16.7%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3 | 0 |
25%
|
3 | 문제 약간 있음 | 5 | 0 |
41.7%
|
4 | 문제 심각 | 2 | 0 |
16.7%
|
5 | 문제 매우 심각 | 2 | 0 |
16.7%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4 | 0 |
33.3%
|
3 | 문제 약간 있음 | 5 | 0 |
41.7%
|
4 | 문제 심각 | 2 | 0 |
16.7%
|
5 | 문제 매우 심각 | 1 | 0 |
8.3%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7 | 0 |
58.3%
|
3 | 문제 약간 있음 | 4 | 0 |
33.3%
|
4 | 문제 심각 | 1 | 0 |
8.3%
|
5 | 문제 매우 심각 | 0 | 0 |
0%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1 | 0 |
8.3%
|
3 | 문제 약간 있음 | 9 | 0 |
75%
|
4 | 문제 심각 | 2 | 0 |
16.7%
|
5 | 문제 매우 심각 | 0 | 0 |
0%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3 | 0 |
25%
|
3 | 문제 약간 있음 | 7 | 0 |
58.3%
|
4 | 문제 심각 | 2 | 0 |
16.7%
|
5 | 문제 매우 심각 | 0 | 0 |
0%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1 | 0 |
8.3%
|
3 | 문제 약간 있음 | 4 | 0 |
33.3%
|
4 | 문제 심각 | 4 | 0 |
33.3%
|
5 | 문제 매우 심각 | 3 | 0 |
25%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3 | 0 |
25%
|
3 | 문제 약간 있음 | 8 | 0 |
66.7%
|
4 | 문제 심각 | 0 | 0 |
0%
|
5 | 문제 매우 심각 | 1 | 0 |
8.3%
|
9 | 잘 모르겠음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문제 없음 | 0 | 0 |
0%
|
2 | 문제 없는 편 | 0 | 0 |
0%
|
3 | 문제 약간 있음 | 0 | 0 |
0%
|
4 | 문제 심각 | 0 | 0 |
0%
|
5 | 문제 매우 심각 | 1 | 0 |
8.3%
|
9 | 잘 모르겠음 | 11 | 0 |
91.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지자체의 업무 매뉴얼 및 법령숙지 미숙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다 | 0 | 0 |
0%
|
2 | 적은 편이다 | 0 | 0 |
0%
|
3 | 보통이다 | 5 | 0 |
41.7%
|
4 | 많은 편이다 | 6 | 0 |
50%
|
5 | 매우 많다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업무이해와 숙련도 부족 | 0 | 0 |
0%
|
2 | 불합리한 업무분장 | 0 | 0 |
0%
|
3 | 인력의 부족 | 5 | 0 |
71.4%
|
4 | 비효율적인 업무 처리 절차 | 1 | 0 |
14.3%
|
5 | 비합리적인 업무의 마감 기한 | 1 | 0 |
14.3%
|
6 | 기타 | 0 | 0 |
0%
|
-1 | 비해당 | 5 | 0 |
71.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보호아동 접수 | 0 | 0 |
0%
|
2 | 현장 출동 및 조사 | 1 | 0 |
8.3%
|
3 | 타 기관 연락 및 연계·협력 | 1 | 0 |
8.3%
|
4 | 보호아동 관련 서류 작업(시스템 입력, 공문발송 등) | 6 | 0 |
50%
|
5 | 보호아동 사례 관련 회의(사례결정위원회, 종결회의 등) 운영(준비, 참석 등) | 0 | 0 |
0%
|
6 | 보호, 치료 등의 계획 수립 | 0 | 0 |
0%
|
7 | 보호아동 양육, 생활지도 및 관찰 | 0 | 0 |
0%
|
8 | 가정 방문 | 0 | 0 |
0%
|
9 | 사례 모니터링 | 3 | 0 |
25%
|
10 | 직원교육 및 내·외부 슈퍼비전 | 0 | 0 |
0%
|
11 | 상담(치료) 관련 업무(보호아동, 가족 등) | 0 | 0 |
0%
|
12 | 타 행정 관련 업무(업무 관련 일반회의, 예산작업 등) | 1 | 0 |
8.3%
|
13 | 민원 업무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보호아동 접수 | 0 | 0 |
0%
|
2 | 현장 출동 및 조사 | 2 | 0 |
16.7%
|
3 | 타 기관 연락 및 연계·협력 | 3 | 0 |
25%
|
4 | 보호아동 관련 서류 작업(시스템 입력, 공문발송 등) | 1 | 0 |
8.3%
|
5 | 보호아동 사례 관련 회의(사례결정위원회, 종결회의 등) 운영(준비, 참석 등) | 0 | 0 |
0%
|
6 | 보호, 치료 등의 계획 수립 | 0 | 0 |
0%
|
7 | 보호아동 양육, 생활지도 및 관찰 | 0 | 0 |
0%
|
8 | 가정 방문 | 5 | 0 |
41.7%
|
9 | 사례 모니터링 | 1 | 0 |
8.3%
|
10 | 직원교육 및 내·외부 슈퍼비전 | 0 | 0 |
0%
|
11 | 상담(치료) 관련 업무(보호아동, 가족 등) | 0 | 0 |
0%
|
12 | 타 행정 관련 업무(업무 관련 일반회의, 예산작업 등) | 0 | 0 |
0%
|
13 | 민원 업무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보호아동 접수 | 1 | 0 |
8.3%
|
2 | 현장 출동 및 조사 | 1 | 0 |
8.3%
|
3 | 타 기관 연락 및 연계·협력 | 2 | 0 |
16.7%
|
4 | 보호아동 관련 서류 작업(시스템 입력, 공문발송 등) | 2 | 0 |
16.7%
|
5 | 보호아동 사례 관련 회의(사례결정위원회, 종결회의 등) 운영(준비, 참석 등) | 1 | 0 |
8.3%
|
6 | 보호, 치료 등의 계획 수립 | 0 | 0 |
0%
|
7 | 보호아동 양육, 생활지도 및 관찰 | 0 | 0 |
0%
|
8 | 가정 방문 | 1 | 0 |
8.3%
|
9 | 사례 모니터링 | 1 | 0 |
8.3%
|
10 | 직원교육 및 내·외부 슈퍼비전 | 0 | 0 |
0%
|
11 | 상담(치료) 관련 업무(보호아동, 가족 등) | 0 | 0 |
0%
|
12 | 타 행정 관련 업무(업무 관련 일반회의, 예산작업 등) | 3 | 0 |
25%
|
13 | 민원 업무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수요에 비해 적은 예산과 인력 | 5 | 0 |
41.7%
|
2 | 전달체계 간의 소통의 부재/부족 | 0 | 0 |
0%
|
3 | 스스로 전문성을 키울 기회 부족 | 1 | 0 |
8.3%
|
4 | 아동보호 업무를 수행하는 타 인력들의 전문성 부족 | 2 | 0 |
16.7%
|
5 | 업무시간 부족 | 0 | 0 |
0%
|
6 | 연계할 자원(인프라)의 부족 | 1 | 0 |
8.3%
|
7 | 아동보호 업무 이외의 다른 업무수행으로 인한 부담 | 3 | 0 |
25%
|
8 | 민원 대응 | 0 | 0 |
0%
|
9 | 숙직 및 시간외근무 | 0 | 0 |
0%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수요에 비해 적은 예산과 인력 | 0 | 0 |
0%
|
2 | 전달체계 간의 소통의 부재/부족 | 1 | 0 |
8.3%
|
3 | 스스로 전문성을 키울 기회 부족 | 5 | 0 |
41.7%
|
4 | 아동보호 업무를 수행하는 타 인력들의 전문성 부족 | 1 | 0 |
8.3%
|
5 | 업무시간 부족 | 0 | 0 |
0%
|
6 | 연계할 자원(인프라)의 부족 | 1 | 0 |
8.3%
|
7 | 아동보호 업무 이외의 다른 업무수행으로 인한 부담 | 4 | 0 |
33.3%
|
8 | 민원 대응 | 0 | 0 |
0%
|
9 | 숙직 및 시간외근무 | 0 | 0 |
0%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수요에 비해 적은 예산과 인력 | 3 | 0 |
25%
|
2 | 전달체계 간의 소통의 부재/부족 | 0 | 0 |
0%
|
3 | 스스로 전문성을 키울 기회 부족 | 0 | 0 |
0%
|
4 | 아동보호 업무를 수행하는 타 인력들의 전문성 부족 | 0 | 0 |
0%
|
5 | 업무시간 부족 | 0 | 0 |
0%
|
6 | 연계할 자원(인프라)의 부족 | 3 | 0 |
25%
|
7 | 아동보호 업무 이외의 다른 업무수행으로 인한 부담 | 4 | 0 |
33.3%
|
8 | 민원 대응 | 2 | 0 |
16.7%
|
9 | 숙직 및 시간외근무 | 0 | 0 |
0%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12 | 0 |
100%
|
2 | 비연계 | 0 | 0 |
0%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0 | 0 |
0%
|
2 | 비연계 | 0 | 0 |
0%
|
3 | 본인 소속 기관 | 12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11 | 0 |
91.7%
|
2 | 비연계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12 | 0 |
100%
|
2 | 비연계 | 0 | 0 |
0%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7 | 0 |
58.3%
|
2 | 비연계 | 5 | 0 |
41.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8 | 0 |
66.7%
|
2 | 비연계 | 4 | 0 |
33.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3 | 0 |
25%
|
2 | 비연계 | 9 | 0 |
7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3 | 0 |
25%
|
2 | 비연계 | 9 | 0 |
7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2 | 0 |
16.7%
|
2 | 비연계 | 10 | 0 |
83.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5 | 0 |
41.7%
|
2 | 비연계 | 7 | 0 |
5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5 | 0 |
41.7%
|
2 | 비연계 | 7 | 0 |
5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4 | 0 |
33.3%
|
2 | 비연계 | 8 | 0 |
66.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9 | 0 |
75%
|
2 | 비연계 | 3 | 0 |
2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6 | 0 |
50%
|
2 | 비연계 | 6 | 0 |
50%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3 | 0 |
25%
|
2 | 비연계 | 9 | 0 |
7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8 | 0 |
66.7%
|
2 | 비연계 | 4 | 0 |
33.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4 | 0 |
33.3%
|
2 | 비연계 | 8 | 0 |
66.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연계 | 2 | 0 |
16.7%
|
2 | 비연계 | 10 | 0 |
83.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0 | 0 |
0%
|
2 | 불필요 | 0 | 0 |
0%
|
3 | 본인 소속 기관 | 12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0 | 0 |
83.3%
|
2 | 불필요 | 2 | 0 |
16.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0 | 0 |
83.3%
|
2 | 불필요 | 2 | 0 |
16.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9 | 0 |
75%
|
2 | 불필요 | 3 | 0 |
2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9 | 0 |
75%
|
2 | 불필요 | 3 | 0 |
2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9 | 0 |
75%
|
2 | 불필요 | 3 | 0 |
2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0 | 0 |
83.3%
|
2 | 불필요 | 2 | 0 |
16.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0 | 0 |
83.3%
|
2 | 불필요 | 2 | 0 |
16.7%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9 | 0 |
75%
|
2 | 불필요 | 3 | 0 |
25%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2 | 0 |
100%
|
2 | 불필요 | 0 | 0 |
0%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필요 | 11 | 0 |
91.7%
|
2 | 불필요 | 1 | 0 |
8.3%
|
3 | 본인 소속 기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알콜중독통합관리센터 | 1 | 0 |
100%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 | 연계할 케이스가 나타나지 않은것으로 추후 필요시 연계 예정 | 1 | 0 |
25%
|
- | 정보의 부족 | 2 | 0 |
50%
|
- | 정보의 부족 및 타기관의 협조 부족 | 1 | 0 |
25%
|
This variable is character
Value | Label | N | WN | |
---|---|---|---|---|
1 | 신고 및 현장 조사의 원활한 진행 | 2 | 0 |
16.7%
|
2 | 요보호 아동 및 가족에게 전문적 치료 서비스 제공 | 7 | 0 |
58.3%
|
3 | 인력 부족에 따른 일부 업무수행의 어려움 | 0 | 0 |
0%
|
4 | 예산의 부족 | 1 | 0 |
8.3%
|
5 | 정보교류 | 1 | 0 |
8.3%
|
6 | 사례관리/사례회의 | 1 | 0 |
8.3%
|
7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신고 및 현장 조사의 원활한 진행 | 4 | 0 |
33.3%
|
2 | 요보호 아동 및 가족에게 전문적 치료 서비스 제공 | 2 | 0 |
16.7%
|
3 | 인력 부족에 따른 일부 업무수행의 어려움 | 0 | 0 |
0%
|
4 | 예산의 부족 | 0 | 0 |
0%
|
5 | 정보교류 | 3 | 0 |
25%
|
6 | 사례관리/사례회의 | 3 | 0 |
25%
|
7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상대 기관의 조직간 협력에 대한 인식 부족 | 2 | 0 |
16.7%
|
2 | 대상자의 서비스 참여 동의 여부 확인 | 3 | 0 |
25%
|
3 | 어떤 기관에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부족 | 0 | 0 |
0%
|
4 | 서비스 내용과 지원의 미비 | 1 | 0 |
8.3%
|
5 | 기관별 업무 및 입장의 차이 | 4 | 0 |
33.3%
|
6 | 지리적 접근성 부족 | 0 | 0 |
0%
|
7 | 지역 내 기관의 자원 부족 | 0 | 0 |
0%
|
8 | 예산 부족 | 0 | 0 |
0%
|
9 | 협력을 담당할 인력의 부족 | 2 | 0 |
16.7%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상대 기관의 조직간 협력에 대한 인식 부족 | 1 | 0 |
8.3%
|
2 | 대상자의 서비스 참여 동의 여부 확인 | 1 | 0 |
8.3%
|
3 | 어떤 기관에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부족 | 2 | 0 |
16.7%
|
4 | 서비스 내용과 지원의 미비 | 2 | 0 |
16.7%
|
5 | 기관별 업무 및 입장의 차이 | 3 | 0 |
25%
|
6 | 지리적 접근성 부족 | 1 | 0 |
8.3%
|
7 | 지역 내 기관의 자원 부족 | 2 | 0 |
16.7%
|
8 | 예산 부족 | 0 | 0 |
0%
|
9 | 협력을 담당할 인력의 부족 | 0 | 0 |
0%
|
10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1 | 0 |
8.3%
|
3 | 보통이다 | 4 | 0 |
33.3%
|
4 | 그렇다 | 7 | 0 |
58.3%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1 | 0 |
8.3%
|
3 | 보통이다 | 4 | 0 |
33.3%
|
4 | 그렇다 | 7 | 0 |
58.3%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4 | 0 |
33.3%
|
3 | 보통이다 | 3 | 0 |
25%
|
4 | 그렇다 | 4 | 0 |
33.3%
|
5 | 매우 그렇다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2 | 0 |
16.7%
|
2 | 그렇지 않다 | 2 | 0 |
16.7%
|
3 | 보통이다 | 6 | 0 |
50%
|
4 | 그렇다 | 2 | 0 |
16.7%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3 | 0 |
25%
|
3 | 보통이다 | 6 | 0 |
50%
|
4 | 그렇다 | 3 | 0 |
25%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4 | 0 |
33.3%
|
3 | 보통이다 | 4 | 0 |
33.3%
|
4 | 그렇다 | 4 | 0 |
33.3%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1 | 0 |
8.3%
|
2 | 그렇지 않다 | 6 | 0 |
50%
|
3 | 보통이다 | 3 | 0 |
25%
|
4 | 그렇다 | 2 | 0 |
16.7%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1 | 0 |
8.3%
|
3 | 보통이다 | 7 | 0 |
58.3%
|
4 | 그렇다 | 3 | 0 |
25%
|
5 | 매우 그렇다 | 1 | 0 |
8.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2 | 0 |
16.7%
|
2 | 그렇지 않다 | 3 | 0 |
25%
|
3 | 보통이다 | 3 | 0 |
25%
|
4 | 그렇다 | 4 | 0 |
33.3%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1 | 0 |
8.3%
|
3 | 보통이다 | 3 | 0 |
25%
|
4 | 그렇다 | 8 | 0 |
66.7%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2 | 그렇지 않다 | 1 | 0 |
8.3%
|
3 | 보통이다 | 7 | 0 |
58.3%
|
4 | 그렇다 | 4 | 0 |
33.3%
|
5 | 매우 그렇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학대피해아동 대상 심리상담 및 치료 사업: 찾아가는 심리치료실 | 8 | 0 |
66.7%
|
2 | 가족기능 강화사업: 부모 양육 코칭,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양육 | 1 | 0 |
8.3%
|
3 | 아이사랑콜 상담: 아동 발달, 양육, 문제행동 대처법 등 종합상담 | 1 | 0 |
8.3%
|
4 | 종사자(구군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쉼터 등) 대상 역량 강화 교육 | 0 | 0 |
0%
|
5 | 일반인 대상 교육사업: 신고의무자 교육, 부모교육 등 | 0 | 0 |
0%
|
6 | 학대피해아동 원가정 복귀 프로그램, 주거청결지원사업 | 1 | 0 |
8.3%
|
7 | 입양사업: 입양 상담 및 결연, 입양가정 사후관리, 예비 입양부모교육 | 0 | 0 |
0%
|
8 | 아동학대 예방 세미나 개최 및 사례회의 | 0 | 0 |
0%
|
9 | 네트워크 구축사업: 아동학대 예방 관련 기관 협약 체결 | 1 | 0 |
8.3%
|
10 | 아동권리교육 관련 사업: 인형극, 관련 콘텐츠 개발 등 | 0 | 0 |
0%
|
11 | 홍보사업 | 0 | 0 |
0%
|
12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학대피해아동 대상 심리상담 및 치료 사업: 찾아가는 심리치료실 | 3 | 0 |
25%
|
2 | 가족기능 강화사업: 부모 양육 코칭,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양육 | 3 | 0 |
25%
|
3 | 아이사랑콜 상담: 아동 발달, 양육, 문제행동 대처법 등 종합상담 | 2 | 0 |
16.7%
|
4 | 종사자(구군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쉼터 등) 대상 역량 강화 교육 | 0 | 0 |
0%
|
5 | 일반인 대상 교육사업: 신고의무자 교육, 부모교육 등 | 1 | 0 |
8.3%
|
6 | 학대피해아동 원가정 복귀 프로그램, 주거청결지원사업 | 3 | 0 |
25%
|
7 | 입양사업: 입양 상담 및 결연, 입양가정 사후관리, 예비 입양부모교육 | 0 | 0 |
0%
|
8 | 아동학대 예방 세미나 개최 및 사례회의 | 0 | 0 |
0%
|
9 | 네트워크 구축사업: 아동학대 예방 관련 기관 협약 체결 | 0 | 0 |
0%
|
10 | 아동권리교육 관련 사업: 인형극, 관련 콘텐츠 개발 등 | 0 | 0 |
0%
|
11 | 홍보사업 | 0 | 0 |
0%
|
12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학대피해아동 대상 심리상담 및 치료 사업: 찾아가는 심리치료실 | 0 | 0 |
0%
|
2 | 가족기능 강화사업: 부모 양육 코칭,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양육 | 4 | 0 |
33.3%
|
3 | 아이사랑콜 상담: 아동 발달, 양육, 문제행동 대처법 등 종합상담 | 4 | 0 |
33.3%
|
4 | 종사자(구군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쉼터 등) 대상 역량 강화 교육 | 0 | 0 |
0%
|
5 | 일반인 대상 교육사업: 신고의무자 교육, 부모교육 등 | 1 | 0 |
8.3%
|
6 | 학대피해아동 원가정 복귀 프로그램, 주거청결지원사업 | 1 | 0 |
8.3%
|
7 | 입양사업: 입양 상담 및 결연, 입양가정 사후관리, 예비 입양부모교육 | 2 | 0 |
16.7%
|
8 | 아동학대 예방 세미나 개최 및 사례회의 | 0 | 0 |
0%
|
9 | 네트워크 구축사업: 아동학대 예방 관련 기관 협약 체결 | 0 | 0 |
0%
|
10 | 아동권리교육 관련 사업: 인형극, 관련 콘텐츠 개발 등 | 0 | 0 |
0%
|
11 | 홍보사업 | 0 | 0 |
0%
|
12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현재의 기능(역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 8 | 0 |
66.7%
|
2 | 현재의 기능(역할)을 전환하는 것이 적절하다 | 4 | 0 |
33.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현재 입양 관련 업무를 버리고 아동학대 관련 사업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 0 | 0 |
0%
|
2 | 현재의 학대아동 뿐만 아니라, 비학대 사유로 의뢰된 보호아동 전체에 대한 심리치료 관련 업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 1 | 0 |
25%
|
3 | 가정외보호아동에 특화시켜 입양, 양육시설, 가정위탁, 공동생활가정 등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것이 좋다 | 1 | 0 |
25%
|
4 | 현재 중앙의 아동권리보장원처럼 아동보호전문기관 뿐만 아니라 | 2 | 0 |
50%
|
5 | 기타 | 0 | 0 |
0%
|
-1 | 비해당 | 8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학대전담공무원 | 2 | 0 |
16.7%
|
2 | 아동보호전담요원 | 0 | 0 |
0%
|
3 | 학대전담경찰관(APO) | 6 | 0 |
50%
|
4 |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 | 0 | 0 |
0%
|
5 | 보호아동 상담(심리치료) 관련 전문인력 | 0 | 0 |
0%
|
6 | 가족 상담(심리치료) 관련 전문인력 | 0 | 0 |
0%
|
7 |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치료사 | 0 | 0 |
0%
|
8 | 특수아동 돌봄 전문인력 | 2 | 0 |
16.7%
|
9 | 보호아동 돌봄 전문인력 | 1 | 0 |
8.3%
|
10 | 사례관리 관련 전문인력 | 1 | 0 |
8.3%
|
11 | 가족 혹은 보호아동의 경제적 자립 준비를 위한 전문 상담인력(직업상담 및 연계) | 0 | 0 |
0%
|
12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학대전담공무원 | 4 | 0 |
33.3%
|
2 | 아동보호전담요원 | 0 | 0 |
0%
|
3 | 학대전담경찰관(APO) | 1 | 0 |
8.3%
|
4 |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 | 2 | 0 |
16.7%
|
5 | 보호아동 상담(심리치료) 관련 전문인력 | 0 | 0 |
0%
|
6 | 가족 상담(심리치료) 관련 전문인력 | 1 | 0 |
8.3%
|
7 |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치료사 | 1 | 0 |
8.3%
|
8 | 특수아동 돌봄 전문인력 | 0 | 0 |
0%
|
9 | 보호아동 돌봄 전문인력 | 1 | 0 |
8.3%
|
10 | 사례관리 관련 전문인력 | 1 | 0 |
8.3%
|
11 | 가족 혹은 보호아동의 경제적 자립 준비를 위한 전문 상담인력(직업상담 및 연계) | 1 | 0 |
8.3%
|
12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아동학대전담공무원 | 0 | 0 |
0%
|
2 | 아동보호전담요원 | 0 | 0 |
0%
|
3 | 학대전담경찰관(APO) | 0 | 0 |
0%
|
4 |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 | 2 | 0 |
16.7%
|
5 | 보호아동 상담(심리치료) 관련 전문인력 | 2 | 0 |
16.7%
|
6 | 가족 상담(심리치료) 관련 전문인력 | 3 | 0 |
25%
|
7 |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치료사 | 2 | 0 |
16.7%
|
8 | 특수아동 돌봄 전문인력 | 1 | 0 |
8.3%
|
9 | 보호아동 돌봄 전문인력 | 1 | 0 |
8.3%
|
10 | 사례관리 관련 전문인력 | 1 | 0 |
8.3%
|
11 | 가족 혹은 보호아동의 경제적 자립 준비를 위한 전문 상담인력(직업상담 및 연계) | 0 | 0 |
0%
|
12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학대 피해아동 쉼터 | 6 | 0 |
50%
|
2 | 아동보호전문기관 | 0 | 0 |
0%
|
3 | 보호아동의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한 공동생활가정(그룹홈) 시설 | 1 | 0 |
8.3%
|
4 | 아동일시보호소 | 3 | 0 |
25%
|
5 | 아동양육시설 | 0 | 0 |
0%
|
6 | 장애아 관련 특수교육 지원 시설 | 1 | 0 |
8.3%
|
7 | 장애아동보호시설 | 1 | 0 |
8.3%
|
8 | 가정폭력, 성폭력 등 범죄 피해 아동 지원(치료 등) 시설 | 0 | 0 |
0%
|
9 | 보호아동 전담 심리상담센터 | 0 | 0 |
0%
|
10 | 가정위탁지원센터(위탁가정 등) | 0 | 0 |
0%
|
11 | 입양기관 | 0 | 0 |
0%
|
12 | 자립지원기관 | 0 | 0 |
0%
|
13 | 보호아동 사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관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학대 피해아동 쉼터 | 4 | 0 |
33.3%
|
2 | 아동보호전문기관 | 0 | 0 |
0%
|
3 | 보호아동의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한 공동생활가정(그룹홈) 시설 | 3 | 0 |
25%
|
4 | 아동일시보호소 | 1 | 0 |
8.3%
|
5 | 아동양육시설 | 1 | 0 |
8.3%
|
6 | 장애아 관련 특수교육 지원 시설 | 1 | 0 |
8.3%
|
7 | 장애아동보호시설 | 1 | 0 |
8.3%
|
8 | 가정폭력, 성폭력 등 범죄 피해 아동 지원(치료 등) 시설 | 0 | 0 |
0%
|
9 | 보호아동 전담 심리상담센터 | 0 | 0 |
0%
|
10 | 가정위탁지원센터(위탁가정 등) | 1 | 0 |
8.3%
|
11 | 입양기관 | 0 | 0 |
0%
|
12 | 자립지원기관 | 0 | 0 |
0%
|
13 | 보호아동 사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관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학대 피해아동 쉼터 | 1 | 0 |
8.3%
|
2 | 아동보호전문기관 | 1 | 0 |
8.3%
|
3 | 보호아동의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한 공동생활가정(그룹홈) 시설 | 1 | 0 |
8.3%
|
4 | 아동일시보호소 | 3 | 0 |
25%
|
5 | 아동양육시설 | 0 | 0 |
0%
|
6 | 장애아 관련 특수교육 지원 시설 | 1 | 0 |
8.3%
|
7 | 장애아동보호시설 | 2 | 0 |
16.7%
|
8 | 가정폭력, 성폭력 등 범죄 피해 아동 지원(치료 등) 시설 | 2 | 0 |
16.7%
|
9 | 보호아동 전담 심리상담센터 | 0 | 0 |
0%
|
10 | 가정위탁지원센터(위탁가정 등) | 0 | 0 |
0%
|
11 | 입양기관 | 0 | 0 |
0%
|
12 | 자립지원기관 | 1 | 0 |
8.3%
|
13 | 보호아동 사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관 | 0 | 0 |
0%
|
14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인센티브 등 금전적 보상 | 3 | 0 |
25%
|
2 | 포상휴가 | 0 | 0 |
0%
|
3 | 평가(승진) 시 가점 | 2 | 0 |
16.7%
|
4 | 관련 종사자들이 한 공간에서 협업할 수 있는 인력·공간 배치 | 1 | 0 |
8.3%
|
5 | 업무수행 시 필요한 물적 자원 지원 | 2 | 0 |
16.7%
|
6 | 업무수행 인력 확충 | 4 | 0 |
33.3%
|
7 | 관련 인력들의 안전을 위한 지원 | 0 | 0 |
0%
|
8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인센티브 등 금전적 보상 | 2 | 0 |
16.7%
|
2 | 포상휴가 | 0 | 0 |
0%
|
3 | 평가(승진) 시 가점 | 0 | 0 |
0%
|
4 | 관련 종사자들이 한 공간에서 협업할 수 있는 인력·공간 배치 | 4 | 0 |
33.3%
|
5 | 업무수행 시 필요한 물적 자원 지원 | 4 | 0 |
33.3%
|
6 | 업무수행 인력 확충 | 2 | 0 |
16.7%
|
7 | 관련 인력들의 안전을 위한 지원 | 0 | 0 |
0%
|
8 | 기타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업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심리상담 지원 프로그램 | 2 | 0 |
16.7%
|
2 | 업무 전문성 강화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 8 | 0 |
66.7%
|
3 | 업무 관련 법률상담 지원 프로그램 | 1 | 0 |
8.3%
|
4 | 사례에 대한 슈퍼비전 제공 프로그램 | 0 | 0 |
0%
|
5 | 보호아동의 심리, 발달 등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 | 1 | 0 |
8.3%
|
6 | 종사자들 간의 자조모임 | 0 | 0 |
0%
|
7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업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심리상담 지원 프로그램 | 4 | 0 |
33.3%
|
2 | 업무 전문성 강화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 2 | 0 |
16.7%
|
3 | 업무 관련 법률상담 지원 프로그램 | 1 | 0 |
8.3%
|
4 | 사례에 대한 슈퍼비전 제공 프로그램 | 2 | 0 |
16.7%
|
5 | 보호아동의 심리, 발달 등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 | 3 | 0 |
25%
|
6 | 종사자들 간의 자조모임 | 0 | 0 |
0%
|
7 | 기타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보호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한 치료적 지원 | 6 | 0 |
50%
|
2 | 교육 관련 지원 | 0 | 0 |
0%
|
3 | 보호종료 이후의 경제적 자립 지원 | 2 | 0 |
16.7%
|
4 | 보호종료 이후의 심리적 지원 | 1 | 0 |
8.3%
|
5 | 보호종료 이후의 주거 지원 | 0 | 0 |
0%
|
6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경제적 지원 | 3 | 0 |
25%
|
7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심리적 지원 | 0 | 0 |
0%
|
8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주거 지원 | 0 | 0 |
0%
|
9 | 지역사회 내 사회적 관계망 형성 | 0 | 0 |
0%
|
10 | 보호아동의 의견을 청취하는 기회 마련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보호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한 치료적 지원 | 0 | 0 |
0%
|
2 | 교육 관련 지원 | 1 | 0 |
8.3%
|
3 | 보호종료 이후의 경제적 자립 지원 | 3 | 0 |
25%
|
4 | 보호종료 이후의 심리적 지원 | 1 | 0 |
8.3%
|
5 | 보호종료 이후의 주거 지원 | 0 | 0 |
0%
|
6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경제적 지원 | 1 | 0 |
8.3%
|
7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심리적 지원 | 4 | 0 |
33.3%
|
8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주거 지원 | 1 | 0 |
8.3%
|
9 | 지역사회 내 사회적 관계망 형성 | 1 | 0 |
8.3%
|
10 | 보호아동의 의견을 청취하는 기회 마련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보호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한 치료적 지원 | 1 | 0 |
8.3%
|
2 | 교육 관련 지원 | 1 | 0 |
8.3%
|
3 | 보호종료 이후의 경제적 자립 지원 | 1 | 0 |
8.3%
|
4 | 보호종료 이후의 심리적 지원 | 1 | 0 |
8.3%
|
5 | 보호종료 이후의 주거 지원 | 3 | 0 |
25%
|
6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경제적 지원 | 4 | 0 |
33.3%
|
7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심리적 지원 | 0 | 0 |
0%
|
8 | 원가정 회복을 위한 가족 대상 주거 지원 | 0 | 0 |
0%
|
9 | 지역사회 내 사회적 관계망 형성 | 1 | 0 |
8.3%
|
10 | 보호아동의 의견을 청취하는 기회 마련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부모-아동 관계 개선 프로그램 | 6 | 0 |
50%
|
2 | 보호아동 상담(심리치료) 프로그램 | 1 | 0 |
8.3%
|
3 | 보호아동 놀이 지원 프로그램 | 1 | 0 |
8.3%
|
4 | 문화체험/문화교육 프로그램 | 1 | 0 |
8.3%
|
5 | 학습지원 프로그램 | 0 | 0 |
0%
|
6 | 체육활동 프로그램 | 0 | 0 |
0%
|
7 | 부모교육 및 양육 코칭 프로그램 | 1 | 0 |
8.3%
|
8 | 부모의 정신건강 및 심리상담 치료 프로그램 | 1 | 0 |
8.3%
|
9 | 가족 상담 프로그램 | 1 | 0 |
8.3%
|
10 | 취업 알선 프로그램 | 0 | 0 |
0%
|
11 | 경제교육 프로그램 | 0 | 0 |
0%
|
12 |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부모-아동 관계 개선 프로그램 | 2 | 0 |
16.7%
|
2 | 보호아동 상담(심리치료) 프로그램 | 4 | 0 |
33.3%
|
3 | 보호아동 놀이 지원 프로그램 | 0 | 0 |
0%
|
4 | 문화체험/문화교육 프로그램 | 0 | 0 |
0%
|
5 | 학습지원 프로그램 | 0 | 0 |
0%
|
6 | 체육활동 프로그램 | 0 | 0 |
0%
|
7 | 부모교육 및 양육 코칭 프로그램 | 2 | 0 |
16.7%
|
8 | 부모의 정신건강 및 심리상담 치료 프로그램 | 2 | 0 |
16.7%
|
9 | 가족 상담 프로그램 | 0 | 0 |
0%
|
10 | 취업 알선 프로그램 | 1 | 0 |
8.3%
|
11 | 경제교육 프로그램 | 1 | 0 |
8.3%
|
12 |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부모-아동 관계 개선 프로그램 | 3 | 0 |
25%
|
2 | 보호아동 상담(심리치료) 프로그램 | 0 | 0 |
0%
|
3 | 보호아동 놀이 지원 프로그램 | 0 | 0 |
0%
|
4 | 문화체험/문화교육 프로그램 | 2 | 0 |
16.7%
|
5 | 학습지원 프로그램 | 1 | 0 |
8.3%
|
6 | 체육활동 프로그램 | 0 | 0 |
0%
|
7 | 부모교육 및 양육 코칭 프로그램 | 2 | 0 |
16.7%
|
8 | 부모의 정신건강 및 심리상담 치료 프로그램 | 3 | 0 |
25%
|
9 | 가족 상담 프로그램 | 0 | 0 |
0%
|
10 | 취업 알선 프로그램 | 0 | 0 |
0%
|
11 | 경제교육 프로그램 | 1 | 0 |
8.3%
|
12 |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 | 장애아동 및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쉼터가 확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1 | 0 |
25%
|
- | 조금 더 선제적, 적극적으로 할수 있도록 업무환경조성이 필요함 | 1 | 0 |
25%
|
- | 하나의 기관에서의 관심으로는 부족한 업무이므로 관계기관들이 같이 공유하고 협의할수 있는 경제적, 심리적 지원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1 | 0 |
25%
|
- | 학대 신고가 들어온 가정에 일반 아동과 장애 아동이 함께 있을 경우, 아동의 분리가 필요할때 아동을 일반, 장애시설로 각각 분리할것이 아니라 함께 지낼만한 시설 마련 필요 | 1 | 0 |
25%
|
This variable is character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