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Workplace Panel Survey, 2005-2019 [1-8th]

한영
Data Type
Survey data
ID Number
A1-CUM-0054
Title
Workplace Panel Survey, 2005-2019 [1-8th]
Alternative Title
WPS, 2005-2019
DOI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54-V1.0
URI
http://hdl.handle.net/20.500.12236/26023
Series
Workplace Panel Survey
Citation
Jang, In-Song. Workplace Panel Survey, 2005-2019 [1-8th] [Dataset]. Korea Labor Institute [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3-05-19,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54-V1.0.
Project Title
Workplace Panel Survey, 2005-2019
Principal Investigator(s)
Jang, In-Song / Korea Labor Institute
Co-Investigator(s)
Kim, Jung-Woo / Korea Labor Institute
Song, Min-Su / Korea Labor Institute
Kim, Ki-Min / Korea Labor Institute
Producer(s)
Korea Labor Institute
Fundings
Korea Labor Institute
Copyright
Korea Labor Institute
Depositor(s)
Korea Labor Institute
Date of Deposit
2023-05-11
Distributo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ate of Distribution
2023-05-19
Version
V1.0
Date of Version
2023-05-19
Abstract
사업체패널조사(Workplace Panel Survey, WPS)는 한국노동연구원이 기업의 고용구조와 노동수요, 인사관리와 노사관계, 인적자원의 개발과 투자 등 노동시장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을 망라한 전국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종단조사이다.
이 조사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한 이후 2006년부터 2년마다 실시되고 있으며, 자료는 전국의 상용근로자 30인 이상 규모의 사업체와 기획재정부가 선정한 상용근로자 20인 이상 규모의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으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농·임·어업 및 광업 제외). 그러나 패널 사업체의 휴·폐업 및 응답 거절 등으로 표본 탈락이 지속되었고, 연도별 표본의 대표성을 유지하고 패널 이탈을 보완하고자 원패널 구축 당시와 동일하게 2016년 추가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지는 사업체의 근로자 및 재무 현황에 관한 사전문항과 패널 사업체의 인사담당자, 노사관계 담당자, 노동조합 또는 노사협의회 대표자 각각을 대상으로 한 개별문항, 부가조사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2015년부터 개별문항 응답대상 유형을 2명으로 축소하고 기존 설문내용을 조정하는 등 설문지의 구조 및 내용이 일부 변경되었다.
이 자료는 2005년(1차)부터 2019년(8차)까지의 연도별 단일 데이터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8차 누적 데이터로 구성되며, 주요 조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A. 사전문항
근로자 및 재무 현황
B. 인사담당자 응답용 문항
1) 사업장 특성
기업 특성 및 조직 변화, 사업장 특성 및 환경, 성과변수 등
2) 고용현황 및 고용관리
고용관리, 채용 및 이직 관리, 사업장 유연성, 비정규직 근로자 등
3) 보상 및 평가
인사고과 및 근무평정, 임금체계, 성과 배분, 임금수준 및 인상 등
4) 인적자원관리 및 작업조직
인사관리 전반, 작업조직, 휴가 및 근로시간,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공유, 공정한 처우 및 모성보호 등
5) 인적자원개발
교육훈련, 경력개발 등
6) 기업복지와 안전보건
7) 인적자원개발
8) 기업복지 및 산업재해
C. 노사관계 담당자 응답용 문항
1) 유노조 사업장의 노사관계
노무부서 현황, 노동조합 현황, 임금 및 단체 교섭, 노동쟁의, 경영 참여, 노사협의회 및 고충 처리 등
2) 무노조 사업장의 노사관계
노무부서 현황, 노사관계 일반 현황, 노사협의회 현황, 노사협의회 운영 및 임금 결정, 경영 참여, 고충 처리 등
D.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대표자 응답용 문항
1) 유노조 사업장의 노사관계노동조합 현황, 노동조합 선거 및 의사결정구조, 노동조합 일상활동 및 노사관계 현황, 교섭구조 및 교섭과정, 노동조합의 역사 등
2) 무노조 사업장의 노사관계
근로자측 의사결정 구조, 노사협의회 현황 및 운영 등
E. 부가 문항
1) [2005년-2013년] 공공부문 응답용
2) [2011년, 2013년] 유노조 사업장의 노사관계 (제2의 노동조합 대표)
3) [2007년, 2009년] 비정규직법
4) [2007년, 2009년] 작업장 혁신
5) [2019년] 코로나19가 사업체에 미친 영향
6) [2007년, 2009년] 자동화 및 스마트공장 (생산관리자)
Keywords
panel surveyWorkplace Panel Survey (WPS)career developmentmanagement participationparticipation in managementemployment managementemployment conditionemployment discriminationemployment typeform of employmentlabor welfareworker's welfarehours of workworking hoursemployees participationremunerationsalarywagepaypart-time workerpart-time employeecorporate welfarelabor welfareworker's welfareworking timeworkers participationlabor unionslabor relationslabor-management councilfull-time trade union officercollective bargainingcollective agreementsrewardscompensationwelfare benefitsirregular workercontract based workerirregular workindustrial accidents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production managementparental leaveperformance evaluationperformance reviewpersonnel management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human resource developmenthuman resource managementpay (wages)incomewage negotiationswage systemwage negotiationssalary negotiationlabor managementemployment of the disabledjob skillsoccupational abilityvocational competencyjob trainingrecruitmentmaternity leavepensionquality control
Topics
Industry/ Business
Time Periods
2005~2020
Date of Collection
2006-07~2021-01
Countries
South Korea (KOR)
Geographic Coverage
South Korea including Jeju
Unit of Analysis
사업체
Universe
농·임·어업 및 광업을 제외한 전 산업의 상용근로자 30인 이상인 사업체와 20인 이상인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
Time Method
Longitudinal: Panel
Data Source
Population group
Data Collector(s)
Year 2006-2010 Dongseo Research INC.; Year 2012-2017 NICE R&C; Year 2018-2021 Nielsen Korea
Freq. of Data Collection
every 2 years since 2006
Mode of Data Collection
comput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CAPI); mail survey; fax survey; web survey
Sampling Procedure
1. 2004년 12월 말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로 수집된 전국의 사업체 중 농·임·어업 및 광업을 제외한 상용근로자 30인 이상인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 및 규모, 지역별 분포에 비례하도록 사업체 3,916개를 층화표집
2. 기획재정부가 선정한 공공기관 314개 중 예비조사 표본으로 사용된 6개 기관을 제외한 공공기관 308개 및 지방공기업을 51개 대상으로 전수조사
3. 2016년 추가 표본 추출을 위하여 2014년 12월 말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로 수집된 전국의 사업체 중 농·임·어업 및 광업을 제외한 상용근로자 30인 이상인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 및 규모별 분포에 비례하도록 사업체 13,831개를 층화계통표집
Number of Cases
[1차] 2005WPS - 1,905; [2차] 2007WPS - 1,735; [3차] 2009WPS - 1,737; [4차] 2011WPS - 1,770; [5차] 2013WPS - 1,775; [6차] 2015WPS - (원표본) 681 (신규표본) 2,136; [7차] 2017WPS - (원표본) 578 (신규표본) 1,722; [8차] 2019WPS - (원표본) 516 (신규표본) 1,637 (유효사례)
Response Rates
[1차] 2005WPS - 100.0%; [2차] 2007WPS - 80.9%; [3차] 2009WPS - 70.3%; [4차] 2011WPS - 62.4%; [5차] 2013WPS - 54.9%; [6차] 2015WPS - (원표본) 38.9% (신규표본) 100.0%; [7차] 2017WPS - (원표본) 33.0% (신규표본) 80.6%; [8차] 2019WPS - (원표본) 29.5% (신규표본) 76.6%
Weighting
Yes
Data Format
Numeric
Extent of Collection
Data (sav, dta, sas7bdat); Questionnaire (pdf); Codebook (xlsx); Userguide (pdf)
Language
Data-Korean; Questionnaire-Korean; Codebook-Korean; Userguide-Korean
Availability Status
Public Use
Usage
1. 이 자료는 2005년(1차)부터 2019년(8차)까지의 연도별 단일 데이터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8차 누적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도별 단일 데이터의 버전 정보는 데이터 파일명을 참고해 주십시오.
2. 설문지와 코드북, 유저가이드는 2005년(1차)부터 2019년(8차)까지의 통합본입니다.
3. WPS는 원표본에 2015년(6차)에 신규표본을 추가하였으니 자료 분석 시 참고해 주십시오.
4. WPS의 설문구조는 CAPI 방식으로 이뤄져 기존의 paper & pencil 형식의 설문지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문지 이용 시 유저가이드를 참고하여 문항번호와 CAPI 로직 설명에 활용된 기호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이 자료는 사업체 재무현황을 한국신용평가정보의 재무정보로 대체하였으니 자료 이용 시 유저가이드를 참고해 주십시오.
6. 표본 설계 시 근로자 500인 이상의 사업장 추출률이 높으므로 타 사업체 조사보다 대규모 사업장의 비중이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데이터 이용 시 가중치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7. WPS는 조사기준년도 익년 6~12월에 실시되므로 자료명의 연도와 조사기간의 연도가 상이합니다. 예를 들어 2006년 실시된 조사의 자료명은 WPS2005로 표기하고 있음을 참고해 주십시오. 연도별 조사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8차년도 조사(WPS2019) 2020년 7월 ~ 2021년 1월
7차년도 조사(WPS2017) 2018년 6월 ~ 2018년 11월
6차년도 조사(WPS2015) 2016년 7월 ~ 2017년 3월
5차년도 조사(WPS2013) 2014년 6월 ~ 2014년 11월
4차년도 조사(WPS2011) 2012년 7월 ~ 2012년 11월
3차년도 조사(WPS2009) 2010년 7월 ~ 2011년 1월
2차년도 조사(WPS2007) 2008년 6월 ~ 2008년 11월
1차년도 조사(WPS2005) 2006년 7월 ~ 2006년 11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유저가이드를 참고하십시오.
File Information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CUM0054.pdf 설문지 (한글) PDF 15.1 M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kor_codebook_CUM0054.xlsx 코드북 (한글) EXCEL 926.68 kB 다운로드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guide_CUM0054.pdf 유저가이드 (한글) PDF 2.71 MB 다운로드

신동주. 2023. 임금 불평등 원인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서지원. 2023. 재취업 이후 중장년 근로자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및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서아영. 2023. 괜찮은 일자리 취업 확률로 살펴본 지방 대학 졸업장의 한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미년. 2023. 코로나19 이후 음주빈도와 음주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권유림. 2023. 중고령자의 재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자은. 2023. 노동시장 진입 시점 경기상황이 청년층의 임금과 고용에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지은, 정세은. 2023. 부모의 소득 및 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고영근, 안태현. 2023. 코로나19와 생활만족도: 비인지적 특성의 역할.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수현. 2023. 자녀 유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후생 효과.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김이레, 남재현, 김새봄. 2023.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과 삶: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이영호, 심명규. 2023. 경기변동이 실직자 고용, 임금 및 후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KSSL Google

김영아. 2023.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형태 결정요인 -자영업 진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박기홍. 2023. 플랫폼 노동자의 성별 소득격차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주재홍, 홍소정, 송지훈. 2023. 플랫폼 노동자의 직무 인식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석. 한국경영공학회 KSSL Google

정성미. 2023.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유지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정유성, 성상현. 2023. 성과급제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한국 노동패널 2009-2020 자료에 대한 종단 분석. KNU 기업경영연구소 KSSL Google

김윤영, 김수현. 2023. 어떤 청년들이 연금 가입에서 배제되는가?: 청년의 노동과 국민연금. 인문사회 21 KSSL Google

김정우, 김기민. 2023. 노동조합 대표권의 갭 변동과 가입성향 결정요인 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강정구, 김지원, 마강래. 2023. 자산의 세대 간 유사성에 관한 연구 : 순자산과 부동산자산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SSL Google

H. Choi; B. Nam. 2023. Gender Disparities in Childhood Poverty and Employment Quality among Young Adult Workers in South Kore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B.V. KSSL Google

K. B. Bae. 2023. The effect of pay for performance on work attitudes in the private, public, and nonprofit sectors: A panel study from South Korea. SAGE Publications Ltd KSSL Google

원소정, 안지희, 이시은, 임채실. 2023. 주 52시간 근무제가 임금 근로자의 근로시간 및 건강유지를 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장채욱, 서재명. 2023. 노동자의 건강 상태 유형에 따른 영향 요인분석 : 22-23차 노동패널. 대한체육학회 KSSL Google

석준호. 2023. 한국노동패널을 활용한 고용 형태 전환 가능성 분석: 은퇴연령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소 KSSL Google

이종찬. 2023. 시간활용 제약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을 통해.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영호. 2023. 종신보험 해약행태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 KSSL Google

이도협. 2023. 코로나19가 여성 노동자의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오다솜. 2023. MZ세대 맞춤 교육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안해인. 2023. 사회 이동 가능성 인식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나리, 박은서, 신혜민, 장준선, 조영일. 2022. 청년층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범죄심리학회 KSSL Google

이미숙, 진형익, 이예리. 2022.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청년 니트 현황과 경제적 비용 산정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이진영. 2022. 성과급제 축소와 임금분포. 한국재정학회 KSSL Google

박효인, 고혜빈, 김효선. 2022. 배달노동자의 행복에 직무환경과 직무태도가 미치는 영향. HRD정책연구소 KSSL Google

최은영. 2022. 필수노동자의 고용불안정성과 근로소득 간의 상호영향 관계.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신우진. 2022. 저임금 상태이동에 관한 연구 - 2010년 이후 성별․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KSSL Google

김미나, 김성환. 2022. 소득 포트폴리오와 변동성이 가구 부실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관리학회 KSSL Google

조성우, 김민정. 2022. 사회적 자본과 가계의 재무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KSSL Google

정의충, 정의철. 2022. 패널자료를 이용한 밀레니얼 세대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도시연구원 KSSL Google

이도훈, 이수정. 2022. 고등교육 확대와 경제적 불평등:교육수준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KSSL Google

김철성, 한현옥. 2022. 성인학습의 투자수익률 분석: 형식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김영아. 2022. 여성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 가족력과 직업력의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장미경, 박재희, 이영면. 2022. 정부성향에 따른 노조도구성 인식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KSSL Google

이진영. 2022. 한국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의 연도별 추이 분석. 한국제도∙경제학회 KSSL Google

송승익, 김정환, 박세연. 2022. 청년취업에 예측력이 큰 요인과 시대에 따른 변화과정 탐색: 1998년부터 2020년까지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임찬영. 2022. 남편의 지원이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 역할 태도와 가사노동 분담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최인선, 이소영. 2022. 출산 양육기 여성의 일자리 질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불안정 노동과 경력단절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성지미. 2022. 중고령 남성의 취업과 행복도: 상대취업률의 효과.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송윤아. 2022. 보장성보험이 가계의 저축 및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은행 KSSL Google

최민섭, 정세은. 2022. 개인의 이직결정에 대한 요인 분석: 유동성 자산 및 개인의 위험회피성향을 중심으로.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KSSL Google

신혜원, 이준상. 2022. 국민연금이 부채부담수준별 가계의 저축과 자산구성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김지현. 2022. 재택근무제도 사용이 근로자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성별효과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강경주, 이영면. 2022. 노동조합 도구성과 노동조합 가입의사의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전혜영. 2022. 주 52시간 상한제가 직무만족에 가져다준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손연정. 2022.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KSSL Google

전영호, 김지현, 김소연, 최현자. 2022. 한국 중년기 가계의 다중빈곤 연구: 소득, 자산, 시간 빈곤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KSSL Google

성영애. 2022. 가구주 연령대에 따른 저축목적의 변화 분석: 2001년, 2010년, 2020년의 연령효과와 시대효과. 한국FP학회 KSSL Google

정대규. 2022. 여성의 직장유형이 둘째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KSSL Google

신용우, 조영일. 2022. 20대 대졸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 성별과 임금의 종단적 관계 및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은주희. 2022. 패널모형에 의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분석: 내적, 외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KSSL Google

성은영, 남기덕, 최창규. 2022. 전·월세선택 차별화가설에 기반한 소득이 점유형태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SH공사 도시연구원 KSSL Google

이병훈, 김은경, 송리라. 2022. 헤도닉 가중치 및 불안정 강도를 활용한 불안정 노동의 다차원적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김지훈, 강욱모. 2022. <세대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및 에코세대간 삶의 질의 대물림: 사회적 이동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강상준, 이성철. 2022. ‘5포세대’ 청년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격차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KSSL Google

권미영, 조명선. 2022. 코로나19로 인한 남성 흡연 근로자의 흡연시간 증가와 관련된 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KSSL Google

J. Park; T. Koropeckyj-Cox. 2022. Contemporary gendered pathways into adulthood in South Korea. NLM (Medline) KSSL Google

J. Choi; J. Oh; J. Kim. 2022.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eniors’ job change and life satisfaction: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erson–job fit and job satisfaction. John Wiley and Sons Inc KSSL Google

O. K. Chiho.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ACTUAL VOLUNTARY TURNOVER: THE MODERATING ROLE OF LOCUS OF CONTROL BASED ON A LONGITUDINAL ANALYSIS. Conscientia Beam KSSL Google

조석민. 2022. Household's moving pattern and their determinants in Korea.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박사 KSSL Google

임준경. 2022.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진우. 2022. 노동시간 단축제도가 가구시간배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수영. 2022. 자가 거주가 사회적 자본 창출 활동, 결혼 및 이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남. 2022. 직장인 생애주기에 따른 직업가치관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 KSSL Google

오성재. 2022. 한국의 경제 및 교육의 기회불평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양세원. 2022. The Gender Wage Gap in South Korea.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안균섭. 2022. 수도권 거주 직장인의 주거선택 및 주거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신용우. 2022. 20대 청년층의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직업가치관과 조직몰입의 효과 및 기혼 노동자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노동시간의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선우지예. 2022. 공공부문 종사자의 세대별 직무만족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뢰. 방. 2022. 노동조합 가입여부에 따른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지혜. 2022. 근로시간 단축이 직업훈련 참여에 미친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재은. 2022. 가족배경이 청년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홍. 마. 2022. 재취업자 직무만족도 변화에 대한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남기덕. 2022. 임차가구의 부채 및 소득이 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효준. 2022. 출산 여성의 노동 이행유형 분석.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선욱. 2022. 임금근로자의 교육 및 기술적합 수준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미나. 2022. 가구 소득과 포트폴리오가 금융투자 및 부실위험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명희. 2022. 주 52시간제 도입이 근로자의 조직몰입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찬. 2022. 세대별 개인·직무차원 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강동선. 2022. MZ세대의 노동시장 이직과 고용안착을 위한 HRM 과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손정민. 2022. 자동화가 고용, 생산성,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2005년부터 2015년 사이의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KSSL Google

권유빈. 2022. Had the affirmative action in South Korea improved women representation in management?.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석사 KSSL Google

윤미례. 2022. 선택? 강요! : 엄마됨의 대가.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김미년, 이원재. 2022. 코로나19 이후 음주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2018-2020). 대한방사선과학회 KSSL Google

오지혜, 김솔. 2022. 자녀의 결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 효과: 동질혼, 하향혼, 상향혼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KSSL Google

배호중, 양은모. 2022. 중ㆍ장년 임금근로자의 퇴직 후 재취업 양상.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오태희, 이장연. 2022.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의 흙수저 디스카운트 효과. 한국경제학회 KSSL Google

소애림, 신승식. 2022. 물류산업의“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체산업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KSSL Google

유진성. 2022. 소득계층별 출산율 분석과 정책적 함의.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옥현민, 박민경, 조민수. 2022. 근로여건이 임금근로자의 이혼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민인식, 홍경준, 전예지. 2022. 자녀의 분가 사건이 부모가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패널 사건사 분석 활용. 한국노인복지학회 KSSL Google

백명호. 202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임금격차의 학력별 비교 분석: 공공행정부문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KSSL Google

김수현. 2022. 코로나19 발생 전후 가계후생 불평등 변화 -한국의 사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KSSL Google

손병돈. 2022. 한국 가족관계는 모계중심으로 변화했나? -남편 부모와 아내 부모에게 제공한 사적 소득이전액 비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KSSL Google

도화정. 2022. 중고령자의 재취업 일자리 안정성과 영향요인 분석: 주된 일자리 경력특성을 중심으로. (재) 인천연구원 KSSL Google

김명환, 김기승. 2022. 동태적 임금분해를 활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임금격차 변화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정혁, 강창희. 2022. 경험자본-노동 보완성과 노동시장 인구구조 변화가 한국경제 성장과 분배에 미친 효과.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KSSL Google

이수진, 한다혜. 2022. COVID-19 전후 소비지출패턴의 변화에 대한 연구: 소비지출증감에 따른 가계유형화를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KSSL Google

백명호. 2022. 지역 노동시장에서 대기업 고용 변화의 임금 효과.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KSSL Google

윤세정, 석관호. 2022. 장애인과 비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관련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차운아. 2022. 행동중독으로서의 일중독과 성차: 일중독의 사적관계손상 매개 모형에서의 남녀 차이.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최홍철, 유재언. 2022.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 변화의 결정요인. 한국문화융합학회 KSSL Google

신형섭. 2022. 패널자료를 이용한 신혼가구의 주택점유형태와 출산 관계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KSSL Google

소애림, 신승식. 2022. 물류산업의 일자리 평가 및 타산업과의 비교 연구: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로지스틱스학회 KSSL Google

이진영. 2022. 성과급제와 성별 임금격차.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정유성, 나인강, 이영면. 2022. 사회안전망 강화가 소상공업 종사자의 현재 삶의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KSSL Google

곽은혜. 2022. 육아휴직급여 확대가 출산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학회 KSSL Google

유혜림. 2022. 자녀 간 사회경제적 성과의 유사성 및 차이성에 관한 연구: 자녀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정선영. 2022. 지역사회 소득불평등이 아동학대 발생에 미친 영향: 지역사회 빈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이수영, 정의철. 2022. 자가 거주가 기혼 가구주의 이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SSL Google

이병훈, 김은경, 김한나. 2022. 불안정 노동의 양면성에 관한 연구: 객관적·주관적 불안정성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KSSL Google

김재성. 2021. 기업의 노동 유연성과 혁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신현우, 김주일. 2021. 공공부문의 인권경영 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기업법학회 KSSL Google

J. Suh, P. Battaglio. 2021.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An Intersectoral Comparison. SAGE Publications Inc./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KSSL Google

이선민. 2021. 노동조합과 무노조기업 노사협의회의 임금인상률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하은. 2021. Melting Clots 인구통계적 응집도와 성과 간 관계에서 직무순환의 조절효과 사업체패널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희경. 202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근로자의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황은숙. 2021. 성별 다양성과 조직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송기훈. 2021. 임금피크제 도입이 공공기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최영섭. 2021. 2000년대 후반 이후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사)한국직업자격학회 KSSL Google

김재성, 최상옥. 2021. 기업의 노동 유연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김승태, 박서현, 손세호, 오종석. 2021.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고용효과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권인수, 이하은, 김상준. 2021. 인구통계적 응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HR 제도의 역할 탐구: 순환근무와 탄력근무를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KSSL Google

김명환, 김기승. 2021. 비정규직 활용이 분위별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통상학회 KSSL Google

박대엽. 2021.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의 임금 인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경원. 2020. 사업체패널조사(WPS)를 이용한 동일방법편의 영향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희창. 2020. 최저임금 인상이 기업의 고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이철승, 정준호, 전병유. 2020. 세대·계급·위계 Ⅱ: 기업 내 베이비 부머 / 386 세대의 높은 점유율은 비정규직 확대, 청년 고용 축소를 초래하는가?.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권순식. 2020. 종업원 이직 결정요인으로서의 노동조합과 고성과 작업체제의 비교.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최문석. 2020. 인력고령화가 기업의 주요 경영지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남궁원석. 2020. 중소기업의 효율적 임금과 기업성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현실. 2020. 기업의 내부적 CSR의 디커플링(Decoupling)현상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정흥준. 2020.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중적 고용전략의 딜레마. 한국윤리경영학회(구 한국기업윤리학회) KSSL Google

정수빈. 2020. 한국 노동조합의 독점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민철, 권순식. 2020.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조직성과 - 자동화 정도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김유빈, 방형준. 2020. 비정규직 및 간접고용 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성학회 KSSL Google

김희경, 류성민, 김태현. 2020. 노사관계와 인사부문의 역할은 정(+)의 관계인가? 부(-)의 관계인가? 패널분석을 통한 검증.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정도범. 2019. 제조업의 내·외부 환경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 ICT 기업과 비ICT 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KSSL Google

한혜민. 2019. 작업장의 다양한 인적 자원 관리 방식이 작업장 내 정규직과 기간제 근로자 간의 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이희영. 2019. 임금피크제가 고용 규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예원. 2019. 근로시간단축이 개별 기업의 고용과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노우진. 2019. 사업체의 임금피크제 도입 결정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철성. 2019. 한국의 노동조합과 효율적 계약이론.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윤소리. 2019. 공공기관 구성원의 혁신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D. B. Chung, H. J. Jang, B. Kim. 2019. The effects of business environments on innovation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workplace panel survey of South Korea.  2019 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PICMET) KSSL Google

K. B. Bae, S. Skaggs. 2019.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on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industry, alliance network, and family-friendly policies - Evidence from Korea.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KSSL Google

권순식. 2019. 고성과 작업체제는 조직 내 모성보호분위기를 향상하는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수인, 신혜정, 신희정.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 Strikes and Earnings Management from Korean Evidence.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KSSL Google

김정우. 2019. 복수노조 출현의 결정요인과 노조조직률 증감효과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9. 고몰입HRM과 경영성과 변화율간의 관계와 금융위기 전후 기간의 변화율 차이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9. 사업전략과 인사관리의 결합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경영공학회 KSSL Google

김현진, 백정한, 반혜정, 곽영민. 2019. 노동조합의 강성 수준과 하도급 거래. 대한경영학회 KSSL Google

반혜정, 김현진, 곽영민, 백정한. 2019. 파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노동조합의 특성과 노사관계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KSSL Google

송민수, 김동주. 2019.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노조조직률, 사용자의 노사관계전략이 여성의 관리자 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전영준, 남태우. 2019. 모성보호제도가 기업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기업과 비수도권 기업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방행정학회 KSSL Google

최충, 노우진. 2019. 사업체의 임금피크제 도입 결정요인. 한국응용경제학회 KSSL Google

지하령. 2018. 중소기업의 혁신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혜정. 2018. 인력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직률 및 인건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 비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기민. 2018. 사업체 근로자의 연령구성이 생산성과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KSSL Google

김유선. 2018. 비정규직 활용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KSSL Google

김진희. 2018. 작업팀 자율성과 혁신성과에 대한 몰입형 인사제도의 종단효과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KSSL Google

송민수. 2018. 사내하청 노동조합 설립 결정요인 패널분석.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옥지호, 박오원. 2018.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박창규. 2018. 노동조합의 세대 별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석사 KSSL Google

김진희. 2018. 우리나라 기업의 금융위기를 전후한 경영성과 변화율에 대한 종단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노용진. 2018. 초기업단위 교섭의 고용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문승운, 김의준. 2018. 사회재난의 경제적 파급효과 2016년 철도파업으로 인한 물류대란 피해. 한국지역개발학회 KSSL Google

홍종윤, 이준구. 2018. 채용연계형 인턴십 제도 도입 및 활용의 선행요인과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상욱, 권철우, 남윤미. 2018. 기업의 청년층과 고령층 고용결정요인 분석.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KSSL Google

노용진. 2018. 초기업단위 교섭의 임금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정우. 2018. 경영참여가 사업체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송민수. 2018. 정규직과 비정규직 연대 영향 요인 패널 분석.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KSSL Google

박지성, 옥지호, 류성민. 2018. HR 부문의 외부연결성, 환경 역동성, 조직의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제도 활용 간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김동배. 2018. HRM의 변화와 실태: 노사관계에 대한 함의.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J. Suh, J. Harrington, D. Goodman. 2018.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An Examination of Public, Nonprofit, and For-Profi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AGE KSSL Google

박세호. 2018. 평가 및 보상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손선화, 엄영호, 장용석. 2018. 한국 기업의 인권경영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KSSL Google

한만규. 2017. 패널자료의 효율적인 에디팅 방안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박사 KSSL Google

장윤섭, 양준석. 2017. 근로자 고령화가 기업의 신기술 도입과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이선호, 박우성. 2017. 비정규직 활용과 기업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7.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 고용의 기업 재무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익근. 2017. 공공부문 인사적체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신현우. 2017. 공공부문의 노사갈등 결정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손효애. 2017. 비정규직 고용이 산업안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선호. 2017. 비정규직 활용과 기업성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양동훈. 2017. 가족친화제도와 조직성과의 관계: 1인당 매출액과 자발적 이직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김진희. 2017. 고몰입 HRM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혁신변화의 종단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박경원. 2017. 노사관계 분위기의 시간과 노사 관점 차이에 따른 변화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권철우. 2017. 외국인 고용자 고용이 비정규직과 청년 노동자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KSSL Google

이지운, 박오원, 김윤호. 2017. 자발적 이직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박윤희, 이찬. 2017. 중소 제조업체의 경력개발체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상업교육학회 KSSL Google

이동진, 표민호. 2017. 사업장내 전략수준의 경영참여와 교육훈련 및혁신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7. 소기업 내 혁신적 인사관행의 재무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김도윤, 고대유. 2017.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성과관리제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 부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회 KSSL Google

안선민, 이희원. 2017. 성과급이 구성원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구성원의 직급에 따른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KSSL Google

김지영. 2016. 복수노조의 시행이 노사갈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한승희, 정지수. 2016. 공공기관의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6. 노동조합의 고용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한만규, 박희창, 이석훈. 2016. 패널형 사업체 자료에 선택적 에디팅 적용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6. 유노조기업 내 혁신적 작업조직과 근로자ㆍ노동조합의 보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김정우, 김기민. 2016. 인천지역 사업체들의 고용의 질 변화 분석.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KSSL Google

옥지호. 2016. 차등적 임금인상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D. U. Kang, G. J. Yu, S. J. Lee. 2016. Disentangling the effects of the employee benefits on employee productivity.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Western Academic Publishers KSSL Google

신희연, 한보영. 2016. 장시간 근로와 조직: 초과근로시간이 여성 관리직 비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정우. 2016. 고용의 질은 개선되고 있는가?.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노용진. 2015. 복수노조 형성의 영향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류성민. 2015. 한국에서 비정규직 고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중아시아경상학회 KSSL Google

장용선, 장망, 조윤형. 2015. 노동조합의 활성화 정도와 노사협력이 고령자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원인성. 2015. 국내 기업 성과배분제의 운영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패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KSSL Google

J. Heung-Jun, N. Sung-Chul. 2015. Triangular Relationships in the Internationalized Market:the Mediating Role in Functional Labor Flexibility.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KSSL Google

김휘경. 2015. 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수행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선옥. 2015. 성과기반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공공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양은석. 2015. 모성보호제도가 조직내 여성인력비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윤주. 2015. 기업의 크기별·산업별 퇴직연금 도입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채석영. 2015. 공공기관의 인력고령화가 생산성 및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임정철. 2015. 공공기관의 승진소요기간과 조직성과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원인성. 2015. 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기업 성과배분제도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KSSL Google

김정우, 송민수. 2015. 파업발생 결정요인 패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강은미, 안종태. 2015. 작업장 혁신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 노조지원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구 한국동림경영학회) KSSL Google

노세리, 김미희, 이상민. 2015. 비정규직 고용과 기업성과의 비선형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KSSL Google

주민경. 2014. 적합성 관점에 따른 고용조정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박경원, 김동배. 2014. 인적자원관리는 노동조합을 대체하는가? 2005-2011 사업체패널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석진홍, 박우성. 2014. 인력 고령화가 기업의 생산성과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오유, 김기승. 2014. 국내외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따른 경영성과 및 노사관계 분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윤명수, 부가청. 2014. 사업체의 모성보호제도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김정우. 2014. 노동조합이 직접 및 간접고용비정규직의 고용에 미친 영향에 관한 패널분석.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정지수, 한승희. 2014. 공공기관장의 출신배경이 혁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행정학회 KSSL Google

강은미, 안종태. 2014. 사용자 관점에서의 노조 경영참가와 조직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인사관리부문 역할의 조절효과. 한국생산성학회 KSSL Google

김윤호, 김영상, 박오원. 2014. 비정규직 활용수준의 변화와 기업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장민혜. 2014. 모성보호제도의 활용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보람. 2014. 기업의 여성 교육훈련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종숙, 조문경. 2014.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여성고용효과.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우광호. 2014. 하도급활용의 원인, 기업성과 및 위험분담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박경원. 2014. 노동조합이 가족친화제도의 도입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KSSL Google

K. S. Bae. 2014. Employment relations in South Korea: Evidence from workplace panel surveys. Springer Nature KSSL Google

K. B. Bae, D. Goodman. 2014.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urnover and performance in South Korea.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AGE KSSL Google

허훈, 김현식, 송두한. 2014. 내부 CSR 수행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노동조합 의사결정 행태를 매개로 한 실증 연구.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4. 주40시간제의 고용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4. 자동화와 근로시간 관행.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노용진. 2013. 초과근로시간의 결정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박세호, 나인강. 2013. 기업시민행동이 인적자원성과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류성민, 박미혜. 2013. 기간제 고용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이영면, 나인강, 이주형. 2013. 기간제 근로자와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김성환, 김종운. 2013.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이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김건식. 2013. 고성과작업시스템, 고용불안정성, 그리고 조직성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동하. 2013. 저성과자관리전략이 기업의 매출액과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동배. 2013.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민소라. 2013. 중고령자 고용비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B. H. Lee, J. M. Nam. 2013. What drives Korean firms to downsize und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Taylor & Francis KSSL Google

정진화, 성효용, 김현숙. 2013. 적극적 고용개선조치가 여성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조강윤. 2013. 직무순환이 이직과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동진, 이영면, 성상현. 2013. 노동조합의 전략적 참여와 사업장내 노사협의회 활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이왕원, 김문조. 2013. 인적자원개발과 의사소통 양식이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 창조경제 및 기업양극화 담론의 경험적 진단.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KSSL Google

이동진. 2013. 재무성과 및 노동조합의 전략적 참여와 사업장내 노사협의회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KSSL Google

박세호, 나인강. 2013. 기업의 훈련이 인적자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KSSL Google

고영우, 남준우. 2013. 노동조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학회 KSSL Google

노세리, 이상민. 2013. 왜 어떠한 조직은 제도를 유지하고, 어떠한 조직은 제도를 폐지하는가?.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장상일. 2013. 중소기업의 기업복지제도 도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이승환. 2013. 한국기업의 사내하도급 활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이병희. 2012. 노동시장과 인적자원개발: 사내하도급의 활용 원인과 고용 성과. 한국산업노동학회 KSSL Google

황선웅, 장희은. 2012. 비정규직 이용이 정규직 임금에 미치는 효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임두빈. 2012. 퇴직연금제도 선택에 관한 기업의 결정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유재민. 2012. 조직구성원의 다양성 관리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정흥준.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정책에의 참여가 고용관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전인, 오선희. 2012.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김두희. 2012. 기업의 기술유형에 따른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장일현. 2012. 기업의 고령 인력 비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김대환, 류건식. 2012. 기업의 퇴직연금 전환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KSSL Google

임두빈, 전용일. 2012. 퇴직연금제도 선택에 관한 기업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연금학회 KSSL Google

노용진. 2012. 중소기업의 비공식적 인사 관행 영향 요인에 관하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노용진, 김미란. 2012. 임금 프리미엄과 노동조합의 약화.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SSL Google

윤명수, 김정우, 김기민. 2012. 상위관리직에서의 여성의 지위. 한국여성경제학회 KSSL Google

윤윤규, 김유선, 김정우, 노용진, 박경원, 한치록, 홍민기 . 2012. 사업체패널조사(WPS)를 활용한 사업체의 동학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현동, 이동진. 2012. 작업장 혁신프로그램 토착화에서 인사부서 및 노동조합의 역할과 활동 탐색.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SSL Google

배규식. 2012. 한국 고용관계의 현상 : 2005~2009년 사업체패널조사 분석 결과.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김대환, 류건식. 2011. 순차로짓(Sequential Logit) 모형을 활용한 기업의 퇴직연금 선호 형태 분석. 보험연구원 KSSL Google

박소영, 이상민, 노세리. 2011. 경쟁형 및 몰입형 인사제도가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KSSL Google

장홍근. 2011. 사회적기업과 인적자원전략.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원인성. 2008. 집단성과급제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KSSL Google

김혜원, 김정우, 김기민, 권정현. 2008. WPS 2005 한국의 사업체와 노동 : 사업체패널 기초분석보고서 . 한국노동연구원 KSSL Google

Hit33 Download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