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6-2021
한영
- Data Type
- Survey data
- ID Number
- A1-CUM-0052
- Title
-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6-2021
- Alternative Title
- PSED
- DOI
-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52-V1.0
- URI
- http://hdl.handle.net/20.500.12236/25954
- Series
-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Citation
- Lim, Yejik.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6-2021 [Dataset].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Producers].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3-04-06, https://doi.org/10.22687/KOSSDA-A1-CUM-0052-V1.0.
- Project Title
-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6-2021
- Principal Investigator(s)
- Lim, Yejik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Co-Investigator(s)
- Kim, Ho-jin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Jo, Sinyeong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Byeon, Hyemi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Lee, Yunji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Jeon, Yeonghwan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Gim, Eona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Park, Seunghwan /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Information Statistics
- Producer(s)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Fundings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Copyright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Depositor(s)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Date of Deposit
- 2022-11-25
- Distributor(s)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 Date of Distribution
- 2023-04-06
- Version
- V1.0
- Date of Version
- 2023-04-06
- Abstract
- 「장애인고용패널조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공동으로 장애인의 근로생애 추적을 위한 종단자료를 수집하고자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연차적 조사이다. 이 조사는 전국의 등록장애인으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매년 동일 반복 문항을 포함하여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사망, 장애등록취소로 패널 탈락이 누적되고 연령의 자연 증가로 청년층이 소실되어 조사 결과가 전체 장애인을 대표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1차웨이브(2008년~2015년)를 종료하고, 2016년에 새롭게 표본을 추출하여 2차웨이브를 구축 및 실시하였다. 이 자료는 2차웨이브 표본 및 신규 조사표로 조사된 내용으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1~6차 누적자료이다. 설문지는 패널 기본 정보, 경제활동상태 판별,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미취업자, 취업을 위한 노력과 지원, 직업적 능력, 취업 태도 및 환경, 일상생활과 삶의 질, 가구 등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아래와 같다.
A. 패널 기본 정보
인적 특성 및 장애 특성
B. 경제활동상태 판별
경제활동상태 판별, 취업자 기본 특성, 미취업자 기본 특성, 최근 1년 월별 경제활동상태
Ca. 임금근로자
일자리 기본 정보, 취업 과정, 일자리 특성, 근로조건 및 실태, 업무특성, 근로환경, 직장생활 및 이직, 일자리 만족, 코로나19 영향 등
Cb. 비임금근로자
일자리 기본 정보, 창업(취업) 과정, 일자리 특성, 근로실태, 업무특성, 근로환경, 사업체 운영 및 애로사항, 일자리 만족, 코로나19 영향 등
Cc. 미취업자
향후 취업 희망 및 희망하는 일자리 정보, 구직활동 경험, , 코로나19 영향 등
D. 취업을 위한 노력과 지원
취업 관련 활동 경험 및 성과, 취업 관련 필요한 지원사항, 일자리에서 근무 시 필요한 지원사항 등
E. 직업적 능력
근로능력, 경력, 기술(자격증), 학력, 인적 네트워크, 대인관계 유지 등
F. 취업 태도 및 환경
취업에 대한 생각, 가족의 지지, 심리 환경, 정책 환경 등
G. 일상생활과 삶의 질
전반적 건강상태, 생활습관, 일상생활 도움, 일과, 여가, 사회참여, 차별경험 및 만족 등
H. 가구 일반사항
가구 기본 정보, 소득/소비, 경제생활, 거주환경, 노후준비 등
JOB. 직업력
일자리 특성, 일자리 종류 등 일자리 주요 현황, 업무 및 일자리 만족도, 코로나19 영향 등
- Keywords
- disabled persons, employment of the disabled,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of the disabled,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policy, employment statistics, economic activity, employment history, job transfer, employment type, form of employment,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unemployment, job search, seeking work, working conditions,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level, employment services, job skills, occupational ability, vocational competency, job training, vocational education, job training, disability discrimination,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retirement, preparation for old age, panel survey,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economic activity, work and life balance, work-life balance, self-esteem, self-efficacy, good job
- Topics
- Employment/ Labor
- Date of Collection
- 2016-05-23~2021-08-31
- Countries
- South Korea (KOR)
- Geographic Coverage
- South Korea including Jeju
- Unit of Analysis
- individual
- Universe
- disabled persons ages 15 to 64
- Time Method
- Longitudinal: Panel
- Data Source
- Population group
- Data Collector(s)
- NielsenIQ Korea
- Freq. of Data Collection
- every year since 2016
- Mode of Data Collection
- TAPI (Tablet PC-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 Sampling Procedure
- 1. 표본추출틀은 2015년 12월 31일 기준 보건복지부의 등록장애인 명부를 사용
2. 읍면동별 장애인수 비례확률로 전국 총 3,442개를 1상 표본으로 추출
3. 2상 표본추출을 위해 장애유형, 장애등급, 연령을 고려하여 총 44개의 층으로 층화
4. 2상에서는 1상에서 추출된 읍면동에 거주하는 모든 장애인의 리스트를 표집틀로 정의하여 표본을 추출
5. 전국 약 4,400명 내외의 장애인을 목표로 각 장애유형별, 장애정도별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최종 조사대상자는 4,577명으로 확정해 패널로 구축
- Number of Cases
- 3,763 (valid cases)
- Response Rates
- 82.2%
- Weighting
- yes
- Data Format
- Numeric
- Extent of Collection
- Questionnaire (pdf); Codebook (xlsx); Data (sav, dta, sas7bdat, csv); User guide (pdf)
- Language
- Questionnaire-Korean; Codebook-Korean; Data-Korean; User guide-Korean; Notification-Korean
- Availability Status
- Public Use
- Usage
- 1. 이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22년 6월 10일, 6월 13일에 최초 공개한 버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파일의 안내문을 참조해 주세요.
2. 「장애인고용패널조사」는 반드시 최신 배포 데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이전 통계자료의 오류를 수정하여 지속 반영하고 있으며, 파일 배포 시 수정된 이전 자료도 함께 제공합니다. 기존에 이미 다운받은 파일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최근 데이터를 활용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3. 데이터는 조사표 전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1-6차년도 각각의 '메인데이터'와 메인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가공한 '통합데이터' 그리고 일자리 정보를 통합 구성한 '직업력 데이터' 등 총 10개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메인데이터: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년 단년도 데이터
- 통합데이터: 2016~2021년 메인데이터의 통합본으로 데이터에 따라 long type과 wide type으로 분류
- 직업력데이터: 패널이 경험한 일자리의 누적정보를 아래로 생성한 'work1', 옆으로 구성한 'work2'로 분류
4. 1차웨이브(2008-2015)의 패널 소실 및 고령화 등으로 신규로 표본을 재추출하여 2차웨이브를 구축하였습니다. 따라서 두 웨이브간의 조사대상 및 표본설계틀, 조사내용이 모두 차이가 있으므로 자료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2021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6차조사) 보고서를 참조하십시오.
File Information
File Type |
File Name |
File Description |
File Format |
File Size |
Download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
kor_que_cum0052.pdf |
설문지 (한글) |
PDF |
3.33 MB |
다운로드 |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
kor_codebook_cum0052.xlsx |
코드북 (한글) |
EXCEL |
7.48 MB |
다운로드 |
Related Documents-Other |
kor_userguide_cum0052.pdf |
유저가이드 (한글) |
PDF |
2.02 MB |
다운로드 |
Related Documents-Other |
kor_notification_cum0052.pdf |
안내문 (한글) |
PDF |
204.48 kB |
다운로드 |
-
박지연. 2022. 장애인 고용에 미치는 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이보라. 2022. 장애청소년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가족의 취업관련지지.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오지원. 2022. 근로장애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J. Y. Kim, C. K. Han. 2022. Asset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Routledge/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KSSL
Google
-
유예린. 2022.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오유라. 2022.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개입의 중요성 : 사회참여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정. 인문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신동희, 김여주, 김기연. 2022. 고령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고용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정시몬, 현다경, 임옥희. 2022. 장애인 고용형태가 소득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
전근성. 2022.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의 관계: COVID-19 전후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김필호, 노충래. 2022. 신체장애여성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주영하, 정익중. 2022. 장애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상호적 영향 관계.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
고정환. 2022. 장애인 취업결정 영향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금성철. 2022. 정신적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임예직, 김호진, 조신영, 변혜미, 이윤지, 전영환, 김언아. 2022. 2021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6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원준. 2022. 장애인의 자원봉사 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남혜령. 2022.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취업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박병오. 2022. 중년기 경증장애인의 경제적 어려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 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황상현. 2022.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도희. 2022. 통합된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근로자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 모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SSL
Google
-
이지민. 2021. 중도장애인 근로자의 개인-직무적합성이 장애수용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하수명. 2021. 장애수용과 직무만족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함승인. 2021.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S. J. Eissenstat, Y. Lee, S. Hong. 2021. An Examination of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Tenure Among Persons With Disability in South Korea. SAGE Publications Inc./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KSSL
Google
-
S. W. Jung, J. H. Yoon, W. Lee. 2021. Predi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by four types of disability. Nature Research/ Scientific Reports
KSSL
Google
-
J. Y. Kim. 2021. The effect of experiencing discrimin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he mediating role of disability acceptance. Routledge/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KSSL
Google
-
이진향. 2021.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대한 대인관계의 영향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공공사회학회
KSSL
Google
-
김종용. 2021.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도지혜. 2021.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신은혜. 2021.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직무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 창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유종석. 2021. 취업장애인의 장애유형과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직무만족 및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J. Y. Moon, J. H. Kim. 2021.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efficacy and mental health in people with disabilities.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ONE
KSSL
Google
-
J. Y. Park, E. Y. Park. 2021. Factors affecting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employment among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aylor and Francis Ltd./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KSSL
Google
-
S. J. Yi, Y. M. Jeong, J. H. Kim. 2021.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trajectories and self-rated depressive symptoms in south korea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DPI AG/ Healthcare (Switzerland)
KSSL
Google
-
민지식, 유현주, 박자경. 2021. 지역별 임금근로 장애인의 괜찮은 일자리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영수, 김수진, 김기진, 정영미, 윤승태, 이홍직. 2021. 장애인의 교육수준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임금수준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
KSSL
Google
-
이형렬, 신용석. 2021. 청각장애인의 실업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박종은, 강상경. 2021.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
임예직, 김호진, 장수빈, 김언아, 최종철. 2021.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5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조재환, 이진혁. 2021.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임금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오성은, 김서희, 김아란, 최지원, 신성만. 2021. 근로장애인의 다차원적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Korman의 일치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전혜영. 2021. 미취업 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변화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오욱찬, 김수완. 2021. 장애인 고용의 직무 불일치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신재민, 김범중. 2021. 고령장애인의 취업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지은, 이미지. 2021. 2030 미취업 청년장애인의 구직역량 및 사회적 지지기반 유형별 특성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이승연, 장유진, 홍세희. 2021. 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차별경험과 장애수용도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송진영. 2021.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
이영미, 유창민. 2021.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일상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김석건, 고정훈. 2021.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이달엽. 2021. 발달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재활 이슈, 발전을 위한 전략과 세부 프로그램 필요성 연구: 장애인고용패널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연은모, 최효식. 2021. 성인 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변화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역량 차이.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
김도희. 2021.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를 가진 취업희망자의 차별경험,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직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희철, 김혜리, 김영미. 2021. 임금 근로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발달궤적과 직무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곽의현. 2021. 누가 언제 목소리를 내는가?: 장애인의 직장 내 조직 발언 결정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함승인, 정소연. 2021.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자기효능감 및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이계승, 김동하. 2021. 지체장애인의 음주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장애 및 건강특성.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이계승. 2021. 장애여성의 음주행태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 및 심리 특성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이기정, 김영식. 2021.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장애근로자의 고용유지 예측 요인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KSSL
Google
-
문영민, 임예직. 2021.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한 청년 장애인의 취업 선호도 유형 및 영향요인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
김도희, 정주리. 2021. 미취업 신체 장애인의 장애 정도, 직무기술 효능감, 진로행동의 관계: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 한국재활심리학회
KSSL
Google
-
윤혜림, 배영미. 2021. 임금 근로 발달장애인의 직무환경과 직무적합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
오지원, 여영훈. 2021. 근로장애인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김은혜, 이민희, 원미순. 2021. 중고령 취업장애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웰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노후준비 매개효과. 한국장애인개발원
KSSL
Google
-
류승아. 2021. 장애인 고용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인문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서유경, 안성우. 2021. 청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KSSL
Google
-
최희철, 김영미, 김혜리. 2021.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김미경, 고정훈. 2021. 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김형민. 2021.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관련 태도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KSSL
Google
-
최서현, 이미지, 한은혜, 이경원. 2021.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 및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영운, 선우정옥. 2021.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대한산업경영학회
KSSL
Google
-
연은모, 최효식. 2021. 성인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탐색: 장애수용, 삶의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
부경희, 이성규, 박선혜. 2021. 장애인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 연구: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노동시장 진입 가능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이홍직. 2021. 지체장애인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이연재, 조은정, 전유라, 이미지. 2021. 상황적 자기이해 및 정책인식이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정임, 조신범. 2021. 여성장애인의 직업유지에 관한 연구: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임예직, 문영민. 2021.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유형이 노동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박주영. 2021. 성인 뇌병변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1인 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이계승. 2021. 장애인의 음주행동 변화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KSSL
Google
-
최희철. 2021. 지체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성장 궤적의 잠재계층과 영향요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김영미. 2021. 여성 지체장애인의 우울, 자존감, 장애수용, 대인관계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김민수, 고민석. 2021.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KSSL
Google
-
김형민. 2021. 지체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중심으로.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KSSL
Google
-
최희철, 김혜리, 김영미. 2021.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상호순환효과 검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진웅. 2021.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조예진, 현명호. 2021. 장애인의 자존감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장애수용도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자영. 2021.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연구 : 중분류 장애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박영, 이재완. 2021. 근로장애인의 심리적 작업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
박중석, 이성규, 신용석. 2021.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희철, 박희정, 신혜정. 2021.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김자경, 김하나, 김현아. 2021. 미취업 장애인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권충훈, 이형하, 김정오. 2021.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와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 분석: 스트레스와 여가사회생활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임종호. 2021.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장애수용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SSL
Google
-
한미란, 최인화. 2021. 근로 장애인의 스트레스와 직무적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도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
KSSL
Google
-
강혜인. 2021. 1인가구 장애인의 장애 및 건강요인과 사회적 자본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경민. 2021.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민아. 2021.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job search inten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석사
KSSL
Google
-
김지홍. 2021. 지체장애 근로자의 업무특성과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김진웅. 2021.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와 장애정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김필호. 2021. 장애여성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김혜령. 2021.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자기효능감,대인관계능력,직무만족도와의 구조적관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노호현. 2021. 뇌병변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문영임. 2021. 고령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박선혜. 2021. 고령 장애인 고용유지가능성 영향요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박승아. 2021.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박중석. 2021.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신유선. 2021. 신체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윤이정. 2021. 취업여성장애인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이승민. 2021.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와 소득수준이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임예직, 문영민. 2020.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장애인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
임예직, 김호진, 박혜원, 조경민, 전영환, 김언아. 2020.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4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Y. J. Um, Y. J. Choi. 2020.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people with a mental disability and on daily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Springer/ Current Psychology
KSSL
Google
-
J. Y. Kim. 2020. Factors for Employ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Bellwether Publishing, Ltd./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United States)
KSSL
Google
-
E. J. Kim, I. Kim, M. J. Kim. 2020. The impact of workplace disability facilities on job retention wishes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MDPI AG/ Sustainability (Switzerland)
KSSL
Google
-
H. C. Choi. 2020. Cross-lagged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socio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orim/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KSSL
Google
-
권태웅. 2020. 근로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이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박영. 2020. 근로장애인의 직무능력, 직무몰입, 직무성과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전혜영. 2020. 지체장애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차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심리요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도지혜, 유은영. 2020.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요구조건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KSSL
Google
-
최희철. 2020. 지체장애인의 자존감과 사회경제적 지위 간의 교차지연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김자영. 2020.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김영수, 이홍직, 윤승태, 김수연, 윤수인, 김기진. 2020. 지체장애 근로자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노법래, 문영민. 2020. 장애인 노동시장 참여의 종단적 패턴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 노동시장 참여 시퀀스의 코호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KSSL
Google
-
김원호, 이주영. 2020. 장애인의 공무원 직종 종사 여부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이수현, 정혜은. 2020. 발달장애 여부가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타인 의존도, 차별 경험, 여가·사회활동의 병렬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SSL
Google
-
김미옥, 정은혜, 박지혜, 신탁연구센터). 2020.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수준과 사회참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KSSL
Google
-
박주영. 2020.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의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 거주환경과 심리의 융복합적 접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SSL
Google
-
오정화. 2020. 임금근로자 지체장애인의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전영환. 2020. 비례헤저드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한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KSSL
Google
-
현다경, 임옥희. 2020. 장애인 직업 유지 기간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KSSL
Google
-
오수경, 장숙. 2020. 근로연령층 시각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KSSL
Google
-
김필호, 정규형. 2020. 장애인의 직업능력 유형화 및 취업 간의 관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정원, 오현정, 홍세희. 2020.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 행복,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효과와 장애로 인한 업무 지장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황현각, 김주일. 2020.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
조영희, 박재국. 2020. 잠재계층성장모형을 활용한 지적장애인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KSSL
Google
-
노승현, 김영기. 2020. 장애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취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활동학회
KSSL
Google
-
노승현. 2020.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청장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양성욱. 2020. 장애인활동지원과 사회참여의 관계: 매칭이중차이의 적용.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KSSL
Google
-
문영임, 이성규, 김수정. 2020.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SSL
Google
-
박영, 이채식. 2020. 근로장애인의 일자리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
김미혜, 이영임, 김권일. 2020. 체육활동 참여 정도와 장애수용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 지체, 청각, 시각장애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KSSL
Google
-
도지혜, 유은영. 2020. 근로환경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 편의시설과 편의제공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KSSL
Google
-
이선우, 한성민. 2020. 비경제활동 발달장애인의 문화․ 여가활동 경험, 자기효능감, 취업의사와의 관계-사회인지 진로이론의 적용. 한국문화융합학회
KSSL
Google
-
김영미. 2020.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존감, 우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강창민, 이건창. 2020.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위생요인과 지역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SSL
Google
-
김영수, 김수연, 김기진, 정영미, 윤동경, 윤승태, 이홍직. 2020. 정신적 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KSSL
Google
-
김미혜, 박상현, 김권일. 2020. 장애수용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운동참여 및 여가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
KSSL
Google
-
박주영. 2020. 가구유형에 따른 여성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조재환. 2020. 정신적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서경주, 박수경. 2020.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적 장애와 신체적 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김소리. 2020. 장애인 취업 영향요인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은주. 2020.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재천. 2020. 지체장애 근로자의 장애수용 정도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박윤근. 2020. 임금근로 중도장애인의 근로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방정수. 2020. 임금근로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이가연. 2020.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정연구. 2020. 취업과 미취업에 따른 발달장애인 삶의 만족도 비교 연구.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허경화. 2020. 성인발달장애인의 소득수준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이홍직. 2020. 장애인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강수연, 주란. 2020.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취업 여부의 관계 : 여가 및 사회활동 참여와 취업 관련 조력자 여부의 인과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자영. 2020. 발달장애인의 취업여부와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한상현. 2020. 임금장애인 직무만족이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Y. M. Kim. 2020. Longitudinal effec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orim/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KSSL
Google
-
연은모, 최효식. 2019.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생활만족도,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SSL
Google
-
신현욱. 2019. 장애인 구직행동 패턴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사회연결망 분석의 적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박주영. 2019. 뇌병변장애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박주영. 2019. 장애노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SSL
Google
-
박윤근, 김재근. 2019. Examination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disabled person’s Social Participation from the Universalistic Perspectives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
김자영. 2019. 여성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SSL
Google
-
김영미, 최희철, 김혜리. 2019. 지체장애인의 자기존중감과 장애수용 간의 교호적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김상원, 이양희, 조준동, 유한별, 엄문설, 오혜민. 2019. 근로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여가 참여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김경화. 2019.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취업자와 미취업자간의 인적 및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KSSL
Google
-
권오형. 2019.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KSSL
Google
-
권성현. 2019. 장애임금근로자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KSSL
Google
-
정다찬, 도유미, 나운환. 2019. 장애인 근로자의 정당한 편의제공이 직무만족과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복지공학회
KSSL
Google
-
최희철, 이재호, 최인묵. 2019. 장애인의 여가활동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용탁, 전미리. 2019.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장애 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성헌, 허준수. 2019. 경제활동 참여 고령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 장애수용 및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희철, 오승진, 김경은. 2019. 지체장애인의 자기존중감의 발달 궤적과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KSSL
Google
-
오수경. 2019.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
박주영. 2019.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과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KSSL
Google
-
김자영. 2019. 중고령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
이홍직. 2019. 장애인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이웅, 신은경. 2019. 지체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연구 : 자기결정이론의 적용 및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이영란, 김윤정. 2019. 고령 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SSL
Google
-
이영란, 김윤정. 2019. 성인 장애인의 사회인구학적특성, 건강특성, 장애특성에 따른 차별 경험의 차이.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KSSL
Google
-
이선우, 박소리, 이지민. 2019.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오수경. 2019. 청각장애로 인한 직장 내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KSSL
Google
-
신현욱. 2019.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김자영. 2019. 장애인 근로자의 직장 내 차별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직업재활학회
KSSL
Google
-
김영수, 윤수인. 2019.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학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요인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김미연. 2019.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실직위험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
김가희, 이종남, 한상미. 2019.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KSSL
Google
-
권태웅, 이채식. 2019. 근로장애인의 개인적, 직업적, 심리적 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
J. Y. Park, E. Y. Park. 2019. Factors affecting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employment among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aylor & Francis
KSSL
Google
-
Y. M. Kim, H. R. Kim, H. C. Choi. 2019.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f physic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Seorim
KSSL
Google
-
H. C. Choi, S. J. Oh, K. E. Kim. 2019.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trajectories and job satisfaction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Seorim
KSSL
Google
-
한수민. 2019. 청년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최성헌. 2019. 경제활동 참여 고령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정다찬. 2019. 장애인근로자의 정당한편의제공이 직무만족과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이달엽. 2019. 장애인고용패널에 나타난 청각장애인의 직업특성과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유광수. 2019. 임금근로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KSSL
Google
-
이채식, 김명식. 2019. 임금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주관적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장수빈. 2019.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이영란. 2019. 고령 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에서 자아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유은총. 2019. 임금근로지체장애인의 직무적합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신재민. 2019. 고령장애인의 취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백지은. 2019.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선화. 2019. 임금근로 지체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김재희. 2019. 비경제활동 청년 장애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이행 및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KSSL
Google
-
이기정, 김영식. 2019.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장애인 취업 예측 모형 : 취업 여부 및 정규직 취업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한규, 염동문. 2019. 임금근로장애인의 직장차별경험 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영향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임예직, 김호진, 박혜원, 주아영, 전영환, 김언아. 2019. 2018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3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2018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3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전혜영. 2019. 장애 및 비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윤상용, 김태완. 2019. 장애인 고용의 다차원적 성과 및 장애인 근로자의 노동시장내 역동.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윤미리, 남예지, 홍세희. 2019.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구조관계 검증 : 직무몰입과 일자리 만족도의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이삼희, 정지웅. 2018. 변형지체장애인의 장애정체감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학회
KSSL
Google
-
고광명. 2018. 청각장애인 직업유지 영향요인 분석. 한신대학교 대학원 박사
KSSL
Google
-
황현각. 2018.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
KSSL
Google
-
송지연. 2018.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취업의 관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허아름. 2018. 중증장애인 취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함대건. 2018. 중·고령 장애인의 주관적 사회계층의식과 생활만족도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최서경. 2018.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주영하, 정익중, 이화조. 2018. 취업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SSL
Google
-
김삼섭. 2018. 지체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이형렬, 신용석. 2018. 기업체 주요 취업직종별 장애근로자의 상대적 빈곤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전명숙. 2018. 장애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전혜영, 박재국. 2018. 장애인의 객관적·주관적 삶의 질에 따른 잠재계층분석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임예직, 박혜원, 이기영, 정광진, 김언아. 2018. 2017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2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편집부. 2018. 2017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2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최진혁, 신별해. 2018.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특성과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정성배, 이지우. 2018. 장애인 취업 영향 요인에 대한 지역 비교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KSSL
Google
-
이채식, 김명식. 2018. 임금근로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이 일자리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이계승, 김동하. 2018.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염동문, 장유미, 이재경. 2018.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KSSL
Google
-
설경란, 송진영, 장재웅, 송보근. 2018. 임금근로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백수진, 안성우. 2018. 직업능력이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박주영. 2018. 청년층 여성장애인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박종빈. 2018. 장애인근로자 고용안정 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항구, 이수용. 2018.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근로자 괜찮은 일자리 결정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김한솔, 장영희, 염동문. 2018.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발달장애인의 경제활동 변화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영향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자영. 2018.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SSL
Google
-
김영애, 유은주. 2018. 장애인의 미취업 기간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민경, 박재국, 진태우. 2018. 직업 안정기 지체장애인의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권일, 서은철, 김미혜. 2018. 지체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와 생활만족의 인과모형 : 건강만족, 여가만족, 장애수용의 다중매개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KSSL
Google
-
서지혜, 이수용. 2018. 좋은일자리 서열화를 통한 장애인근로자 고용의 질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이의빈, 신성만, 이다슬, 조의혁, 주현주. 2018.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KSSL
Google
-
백수진, 안성우, 신창숙, 강명순. 2018. 청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박수경, 김소민, 이선우. 2018.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이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김영애, 임유진. 2018. 장애수용이 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SSL
Google
-
김상원, 엄문설, 안새미, 이양희, 조준동. 2018.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 여가생활,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SSL
Google
-
권오형, 문재우. 2018.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KSSL
Google
-
최진혁, 신별해. 2018. 발달장애인 취업의 성공 및 저해 요인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KSSL
Google
-
오수경. 2018. 청각장애를 지닌 임금근로자의 고용특성 및 장애수용이 일자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KSSL
Google
-
최윤정. 2018.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KSSL
Google
-
이홍직. 2018.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불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KSSL
Google
-
이채식, 김명식. 2017. 근로장애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연구원
KSSL
Google
-
김호진. 2017. 장애인 통계조사 설계와 실행.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양혜린, 고윤정, 박연미, 이혜란. 2017. 차별경험과 자기효능감이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미경. 2017.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체장애인과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KSSL
Google
-
임혜경, 김자경, 장성욱. 2017.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임금근로 장애인의 고용유지 의사 결정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김기태, 김해성, 송진영, 정종화. 2017. 임금근로 고령 장애인의 공적 연금과 노후준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KSSL
Google
-
이계승, 김동하. 2017. 지체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대한 종단적 변화유형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SSL
Google
-
신승배. 2017. 한국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아시아문화학술원
KSSL
Google
-
김호진, 구연진, 고제훈, 민준영, 강혜승, 유완식, 김언아. 2017. 2016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1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KSSL
Google
-
송승민. 2017.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KSSL
Google
-
Seo, H. Ji, Na, H. Woon, Jeong, C. Da. 2017.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Lif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한국장애인재활협회
KSSL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