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2013 : Parents, 2nd Wave
한영
- Data Type
- Survey data
- ID Number
- A1-2013-0115
- Title
-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2013 : Parents, 2nd Wave
- DOI
-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3-0115-V1.0
- URI
- http://hdl.handle.net/20.500.12236/25828
- Series
-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 Citation
- Kim, Hyunju.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2013 : Parents, 2nd Wave [Dataset].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Distributors], 2023-02-01,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3-0115-V1.0.
- Project Title
- Forms of Exchange Across a Child's Life Course and the Behavioral Effect of Reward Power and Coercive Power on the Parent-Child Relations
- Principal Investigator(s)
- Kim, Hyunju / School of Social Welfare, Chung-Ang University
- Fundings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Copyright
- Kim, Hyunju
- Depositor(s)
- Kim, Hyunju
- Date of Deposit
- 2016-04-27
- Distributor(s)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 Date of Distribution
- 2023-02-01
- Version
- V1.0
- Date of Version
- 2023-02-01
- Abstract
-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교환형태와 보상적 권력과 강압적 권력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를 서로 자원을 주고 받는 교환형태로 정의함으로써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부모와 자녀 간 교환관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보상적 권력과 강압적 권력이 상대방의 교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한 연구사업이다. 이 조사는 중학생과 만 24세 미만 대학생을 포함한 자녀 집단과 그 자녀를 둔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단, 2차 조사는 1차 조사대상 중 100쌍을 교환유형별로 추출하여 진행하였다.
이 자료는 2차 조사에서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수집한 것이며, 주요 조사내용은 어머니 대상 자녀의 보상적 행동, 자녀 대상 어머니의 보상적 행동, 자녀에게 가장 받고 싶은 자원, 자녀에게 받고 싶은 것을 위해 포기 가능한 자원, 가족 자원 분배 및 사용처 결정 기준, 가족 구성원의 공동체 의식 수준, 어머니 대상 자녀의 보복적 행동, 어머니의 자녀 훈육 시 자녀 반응 행동, 어머니의 과거 행동에 대한 자녀 반응 행동, 부모와 자녀 간 자원 교환 방식, 자녀 요구 불응 시 자녀 예상 행동, 가족 및 자녀에 대한 인식, 부모와 자녀 간 관계 정도, 자녀 대체 가능한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등이다.
- Keywords
- family, family relations, family structure, family inequality, inequality within the family, role within the family, family type, type of family, family form, parents, parental role,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ren, leader-member exchange, equity
- Topics
- Family/ Gender
- Date of Collection
- 2013-06-27~2013-07-24
- Countries
- South Korea (KOR)
- Geographic Coverage
-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 Unit of Analysis
- Individual
- Universe
- 수도권의 중학생과 만 24세 미만 대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 Time Method
- One Time Cross-sectional
- Data Source
- Population group
- Data Collector(s)
- Truis
- Mode of Data Collection
- face-to-face interview
- Sampling Procedure
- 1차 조사대상 199쌍을 교환방식에 따라 3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교환유형별로 100쌍 추출
- Number of Cases
- 100 (valid cases)
- Weighting
- No
- Data Format
- Numeric
- Extent of Collection
- Questionnaire (pdf); Data (sav, dta)
- Language
- Questionnaire-Korean; Data-Korean
- Availability Status
- Public Use
- Usage
- 「부모와 자녀 관계에 관한 조사」는 1차 어머니 및 자녀 자료와 2차 어머니 및 자녀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File Information
File Type |
File Name |
File Description |
File Format |
File Size |
Download |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
kor_que_20130115.pdf |
설문지 (한글) |
PDF |
305.79 kB |
다운로드 |
-
김현주; 이여봉. 2015. 보상적 자원과 강압적 자원의 교환 증감에 따른 모-자녀간 관계만족도의 변화.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
김현주. 2014.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교환형태와 보상적 권력과 강압적 권력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KSSL
Google
-
이여봉; 김현주. 2014. 가족 내 분배정의 원칙의 적용과 모-자녀 관계의 질: 중학생 및 대학생과 그들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
-
김현주; 이여봉. 2013. 중학생 및 대학생 자녀와 어머니의 교환관계 유형과 예측요인: 상호적 유형과 협상적 유형. 한국사회학회
KSSL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