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조사, 2017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7-0064-V1.0
윤종설 /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한국행정연구원은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갈등관리 관련 공무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공갈등 영향분석제도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개선 방안에 대해 델파이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는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갈등관리 담당 공무원과 갈등관리 분야에 종사하는 학계 및 NGO 전문가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갈등영향분석 사업 선정 경험과 선정 기준, 갈등영향분석 관련 내부 규정 유무, 갈등영향분석 실시 목적 및 대상, 갈등영향분석 수행 조직 및 개인의 전문성 판단 기준, 갈등영향분석 실시 시기, 갈등영향분석 초기 계획 단계의 주요 사항 및 요인, 갈등영향분석 진행 경험, 갈등영향분석 수행기간, 갈등영향분석 결과 만족도 및 평가 요소, 갈등영향분석 진행 한계, 보고서 공개 여부, 갈등해결 협의체 구성 유무, 갈등영향분석의 영향 정도, 갈등영향분석 수행 및 활용이 낮은 이유 등이다.
더 보기파일유형 | 파일명 | 파일내용 | 파일형식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170064.pdf | 설문지 (한글) | 207.87 kB | 다운로드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공무원 | 48 | 0 |
59.3%
|
2 | 교수 | 19 | 0 |
23.5%
|
3 | 연구원 | 6 | 0 |
7.4%
|
4 | 기타 | 8 | 0 |
9.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박사 취득 이상 | 18 | 0 |
22.2%
|
2 | 석사 취득 | 15 | 0 |
18.5%
|
3 | (전문) 학사 취득 | 33 | 0 |
40.7%
|
4 | 기타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15 | 0 |
18.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만 30세 미만 | 2 | 0 |
2.5%
|
2 | 만 30세 이상~만 40세 미만 | 17 | 0 |
21%
|
3 | 만 40세 이상~만 50세 미만 | 27 | 0 |
33.3%
|
4 | 만 50세 이상 | 21 | 0 |
25.9%
|
9 | 모름/무응답 | 14 | 0 |
17.3%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6개월 미만 | 24 | 0 |
29.6%
|
2 | 6개월 이상~1년 미만 | 13 | 0 |
16%
|
3 | 1년 이상~2년 미만 | 10 | 0 |
12.3%
|
4 | 2년 이상~3년 미만 | 0 | 0 |
0%
|
5 | 3년 이상~4년 미만 | 2 | 0 |
2.5%
|
6 | 4년 이상 | 32 | 0 |
39.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있다 | 28 | 0 |
34.6%
|
2 | 없다 | 53 | 0 |
65.4%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갈등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 | 13 | 0 |
46.4%
|
2 | 사업 진행으로 갈등이 최고조를 넘어 교착상태인 경우 | 1 | 0 |
3.6%
|
3 | 사업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일 경우 | 1 | 0 |
3.6%
|
4 | 사업 진행으로 심각한 갈등이 이미 유발된 경우 | 5 | 0 |
17.9%
|
5 | 유사한 갈등이 반복되거나 유사 갈등이 예견된 경우 | 5 | 0 |
17.9%
|
6 | 사업집행자와 이해관계자의 대립으로 대화가 어려운 경우 | 2 | 0 |
7.1%
|
7 | 사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 | 0 | 0 |
0%
|
8 | 중앙, 지역 언론 등에 갈등관련 보도가 나오게 되는 경우 | 0 | 0 |
0%
|
9 | 사업으로 인한 보상이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드는 경우 | 1 | 0 |
3.6%
|
10 | 사업 시행 기관장의 의지 및 시범사업 취지로 진행할 경우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53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갈등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 | 3 | 0 |
10.7%
|
2 | 사업 진행으로 갈등이 최고조를 넘어 교착상태인 경우 | 2 | 0 |
7.1%
|
3 | 사업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일 경우 | 1 | 0 |
3.6%
|
4 | 사업 진행으로 심각한 갈등이 이미 유발된 경우 | 5 | 0 |
17.9%
|
5 | 유사한 갈등이 반복되거나 유사 갈등이 예견된 경우 | 4 | 0 |
14.3%
|
6 | 사업집행자와 이해관계자의 대립으로 대화가 어려운 경우 | 6 | 0 |
21.4%
|
7 | 사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 | 6 | 0 |
21.4%
|
8 | 중앙, 지역 언론 등에 갈등관련 보도가 나오게 되는 경우 | 0 | 0 |
0%
|
9 | 사업으로 인한 보상이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드는 경우 | 1 | 0 |
3.6%
|
10 | 사업 시행 기관장의 의지 및 시범사업 취지로 진행할 경우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53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갈등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 | 2 | 0 |
7.1%
|
2 | 사업 진행으로 갈등이 최고조를 넘어 교착상태인 경우 | 1 | 0 |
3.6%
|
3 | 사업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일 경우 | 4 | 0 |
14.3%
|
4 | 사업 진행으로 심각한 갈등이 이미 유발된 경우 | 5 | 0 |
17.9%
|
5 | 유사한 갈등이 반복되거나 유사 갈등이 예견된 경우 | 4 | 0 |
14.3%
|
6 | 사업집행자와 이해관계자의 대립으로 대화가 어려운 경우 | 7 | 0 |
25%
|
7 | 사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 | 1 | 0 |
3.6%
|
8 | 중앙, 지역 언론 등에 갈등관련 보도가 나오게 되는 경우 | 1 | 0 |
3.6%
|
9 | 사업으로 인한 보상이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드는 경우 | 1 | 0 |
3.6%
|
10 | 사업 시행 기관장의 의지 및 시범사업 취지로 진행할 경우 | 1 | 0 |
3.6%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1 | 0 |
3.6%
|
-1 | 비해당 | 53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적합하다 | 7 | 0 |
25%
|
2 | 적합하다 | 10 | 0 |
35.7%
|
3 | 보통이다 | 9 | 0 |
32.1%
|
4 | 적합하지 않다 | 2 | 0 |
7.1%
|
5 | 전혀 적합하지 않다 | 0 | 0 |
0%
|
-1 | 비해당 | 53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갈등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 | 31 | 0 |
58.5%
|
2 | 사업 진행으로 갈등이 최고조를 넘어 교착상태인 경우 | 4 | 0 |
7.5%
|
3 | 사업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일 경우 | 1 | 0 |
1.9%
|
4 | 사업 진행으로 심각한 갈등이 이미 유발된 경우 | 2 | 0 |
3.8%
|
5 | 유사한 갈등이 반복되거나 유사 갈등이 예견된 경우 | 6 | 0 |
11.3%
|
6 | 사업집행자와 이해관계자의 대립으로 대화가 어려운 경우 | 5 | 0 |
9.4%
|
7 | 사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 | 3 | 0 |
5.7%
|
8 | 중앙, 지역 언론 등에 갈등관련 보도가 나오게 되는 경우 | 0 | 0 |
0%
|
9 | 사업으로 인한 보상이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드는 경우 | 1 | 0 |
1.9%
|
10 | 사업 시행 기관장의 의지 및 시범사업 취지로 진행할 경우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28 | 0 |
5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갈등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 | 4 | 0 |
7.5%
|
2 | 사업 진행으로 갈등이 최고조를 넘어 교착상태인 경우 | 3 | 0 |
5.7%
|
3 | 사업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일 경우 | 3 | 0 |
5.7%
|
4 | 사업 진행으로 심각한 갈등이 이미 유발된 경우 | 6 | 0 |
11.3%
|
5 | 유사한 갈등이 반복되거나 유사 갈등이 예견된 경우 | 22 | 0 |
41.5%
|
6 | 사업집행자와 이해관계자의 대립으로 대화가 어려운 경우 | 3 | 0 |
5.7%
|
7 | 사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 | 5 | 0 |
9.4%
|
8 | 중앙, 지역 언론 등에 갈등관련 보도가 나오게 되는 경우 | 1 | 0 |
1.9%
|
9 | 사업으로 인한 보상이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드는 경우 | 6 | 0 |
11.3%
|
10 | 사업 시행 기관장의 의지 및 시범사업 취지로 진행할 경우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28 | 0 |
5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갈등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 | 3 | 0 |
5.7%
|
2 | 사업 진행으로 갈등이 최고조를 넘어 교착상태인 경우 | 5 | 0 |
9.4%
|
3 | 사업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일 경우 | 2 | 0 |
3.8%
|
4 | 사업 진행으로 심각한 갈등이 이미 유발된 경우 | 7 | 0 |
13.2%
|
5 | 유사한 갈등이 반복되거나 유사 갈등이 예견된 경우 | 8 | 0 |
15.1%
|
6 | 사업집행자와 이해관계자의 대립으로 대화가 어려운 경우 | 10 | 0 |
18.9%
|
7 | 사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집단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 | 12 | 0 |
22.6%
|
8 | 중앙, 지역 언론 등에 갈등관련 보도가 나오게 되는 경우 | 2 | 0 |
3.8%
|
9 | 사업으로 인한 보상이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드는 경우 | 4 | 0 |
7.5%
|
10 | 사업 시행 기관장의 의지 및 시범사업 취지로 진행할 경우 | 0 | 0 |
0%
|
11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28 | 0 |
52.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원인 진단 및 해결대안 마련 | 22 | 0 |
27.2%
|
2 | 갈등의 사전 예방 및 대비 전략 수립 | 31 | 0 |
38.3%
|
3 | 갈등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이해 | 13 | 0 |
16%
|
4 | 갈등당사자 및 갈등원인 탐색 | 0 | 0 |
0%
|
5 | 합의를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 타진 | 5 | 0 |
6.2%
|
6 | 이해관계자와의 신뢰기반 구축 및 형성 | 6 | 0 |
7.4%
|
7 | 갈등관리를 위한 해결방향 등의 제안 | 3 | 0 |
3.7%
|
8 |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기회 제공 | 1 | 0 |
1.2%
|
9 | 발생된 갈등의 성공적 관리 | 0 | 0 |
0%
|
10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원인 진단 및 해결대안 마련 | 27 | 0 |
33.3%
|
2 | 갈등의 사전 예방 및 대비 전략 수립 | 16 | 0 |
19.8%
|
3 | 갈등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이해 | 7 | 0 |
8.6%
|
4 | 갈등당사자 및 갈등원인 탐색 | 11 | 0 |
13.6%
|
5 | 합의를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 타진 | 10 | 0 |
12.3%
|
6 | 이해관계자와의 신뢰기반 구축 및 형성 | 5 | 0 |
6.2%
|
7 | 갈등관리를 위한 해결방향 등의 제안 | 5 | 0 |
6.2%
|
8 |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기회 제공 | 0 | 0 |
0%
|
9 | 발생된 갈등의 성공적 관리 | 0 | 0 |
0%
|
10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원인 진단 및 해결대안 마련 | 12 | 0 |
14.8%
|
2 | 갈등의 사전 예방 및 대비 전략 수립 | 3 | 0 |
3.7%
|
3 | 갈등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이해 | 13 | 0 |
16%
|
4 | 갈등당사자 및 갈등원인 탐색 | 9 | 0 |
11.1%
|
5 | 합의를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 타진 | 12 | 0 |
14.8%
|
6 | 이해관계자와의 신뢰기반 구축 및 형성 | 7 | 0 |
8.6%
|
7 | 갈등관리를 위한 해결방향 등의 제안 | 17 | 0 |
21%
|
8 |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기회 제공 | 5 | 0 |
6.2%
|
9 | 발생된 갈등의 성공적 관리 | 2 | 0 |
2.5%
|
10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1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전문적이다 | 4 | 0 |
4.9%
|
2 | 전문적이다 | 24 | 0 |
29.6%
|
3 | 보통이다 | 29 | 0 |
35.8%
|
4 | 전문적이지 않다 | 18 | 0 |
22.2%
|
5 | 전혀 전문적이지 않다 | 5 | 0 |
6.2%
|
9 | 모름/무응답 | 1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 관련 유사 경험 및 실적 여부 | 26 | 0 |
32.1%
|
2 | 관련 분야 학위 및 관련 분야 종사 기간 | 7 | 0 |
8.6%
|
3 | 의사소통 및 대화 등 면담 조사 능력 | 7 | 0 |
8.6%
|
4 | 이해당사자의 추천 | 0 | 0 |
0%
|
5 | 갈등영향분석의 목적 및 수행절차에 대한 이해도 | 15 | 0 |
18.5%
|
6 | 중립자, 조정자로의 역할과 역량 | 10 | 0 |
12.3%
|
7 | 입장/이해관계/대안모색 등에 대한 분석능력 | 15 | 0 |
18.5%
|
8 | 갈등과 한국 및 지역사회에 대한 폭넓은 이해 | 1 | 0 |
1.2%
|
9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 관련 유사 경험 및 실적 여부 | 13 | 0 |
16%
|
2 | 관련 분야 학위 및 관련 분야 종사 기간 | 4 | 0 |
4.9%
|
3 | 의사소통 및 대화 등 면담 조사 능력 | 13 | 0 |
16%
|
4 | 이해당사자의 추천 | 0 | 0 |
0%
|
5 | 갈등영향분석의 목적 및 수행절차에 대한 이해도 | 9 | 0 |
11.1%
|
6 | 중립자, 조정자로의 역할과 역량 | 18 | 0 |
22.2%
|
7 | 입장/이해관계/대안모색 등에 대한 분석능력 | 18 | 0 |
22.2%
|
8 | 갈등과 한국 및 지역사회에 대한 폭넓은 이해 | 6 | 0 |
7.4%
|
9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 관련 유사 경험 및 실적 여부 | 16 | 0 |
19.8%
|
2 | 관련 분야 학위 및 관련 분야 종사 기간 | 4 | 0 |
4.9%
|
3 | 의사소통 및 대화 등 면담 조사 능력 | 15 | 0 |
18.5%
|
4 | 이해당사자의 추천 | 0 | 0 |
0%
|
5 | 갈등영향분석의 목적 및 수행절차에 대한 이해도 | 9 | 0 |
11.1%
|
6 | 중립자, 조정자로의 역할과 역량 | 12 | 0 |
14.8%
|
7 | 입장/이해관계/대안모색 등에 대한 분석능력 | 19 | 0 |
23.5%
|
8 | 갈등과 한국 및 지역사회에 대한 폭넓은 이해 | 6 | 0 |
7.4%
|
9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있다 | 21 | 0 |
43.8%
|
2 | 없다 | 27 | 0 |
56.2%
|
-1 | 비해당 | 33 | 0 |
68.8%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그렇다 | 3 | 0 |
3.7%
|
2 | 그렇다 | 31 | 0 |
38.3%
|
3 | 보통이다 | 33 | 0 |
40.7%
|
4 | 그렇지 않다 | 14 | 0 |
17.3%
|
5 | 전혀 그렇지 않다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사업 계획 단계에서 | 64 | 0 |
79%
|
2 | 사업 진행하는 과정 중에 | 12 | 0 |
14.8%
|
3 | 사업이 진행된 후 | 1 | 0 |
1.2%
|
4 | 기타 | 4 | 0 |
4.9%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수행 예산편성 및 지속가능한 지원 | 12 | 0 |
14.8%
|
2 | 갈등영향분석을 위한 역량 있는 분석기관 섭외 및 선정 | 8 | 0 |
9.9%
|
3 | 전문적인 연구진의 구성 | 2 | 0 |
2.5%
|
4 | 분석 대상 사안에 대한 정확한 이해 | 25 | 0 |
30.9%
|
5 | 갈등영향분석 목적 및 여건 | 9 | 0 |
11.1%
|
6 | 발주처(담당자)의지 | 8 | 0 |
9.9%
|
7 | 이해관계자의 범위 | 1 | 0 |
1.2%
|
8 | 갈등영향분석 필요성 | 10 | 0 |
12.3%
|
9 | 관련 법령 및 제도 | 0 | 0 |
0%
|
10 | 갈등영향분석 수행자의 독립성/중립성 보장에 대한 약속 | 1 | 0 |
1.2%
|
11 | 발주처와의 커뮤니케이션 수준 | 0 | 0 |
0%
|
12 | 추진주체의 해결 의지 | 5 | 0 |
6.2%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수행 예산편성 및 지속가능한 지원 | 9 | 0 |
11.1%
|
2 | 갈등영향분석을 위한 역량 있는 분석기관 섭외 및 선정 | 14 | 0 |
17.3%
|
3 | 전문적인 연구진의 구성 | 4 | 0 |
4.9%
|
4 | 분석 대상 사안에 대한 정확한 이해 | 12 | 0 |
14.8%
|
5 | 갈등영향분석 목적 및 여건 | 16 | 0 |
19.8%
|
6 | 발주처(담당자)의지 | 0 | 0 |
0%
|
7 | 이해관계자의 범위 | 8 | 0 |
9.9%
|
8 | 갈등영향분석 필요성 | 3 | 0 |
3.7%
|
9 | 관련 법령 및 제도 | 2 | 0 |
2.5%
|
10 | 갈등영향분석 수행자의 독립성/중립성 보장에 대한 약속 | 8 | 0 |
9.9%
|
11 | 발주처와의 커뮤니케이션 수준 | 0 | 0 |
0%
|
12 | 추진주체의 해결 의지 | 5 | 0 |
6.2%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수행 예산편성 및 지속가능한 지원 | 6 | 0 |
7.4%
|
2 | 갈등영향분석을 위한 역량 있는 분석기관 섭외 및 선정 | 11 | 0 |
13.6%
|
3 | 전문적인 연구진의 구성 | 9 | 0 |
11.1%
|
4 | 분석 대상 사안에 대한 정확한 이해 | 8 | 0 |
9.9%
|
5 | 갈등영향분석 목적 및 여건 | 4 | 0 |
4.9%
|
6 | 발주처(담당자)의지 | 2 | 0 |
2.5%
|
7 | 이해관계자의 범위 | 3 | 0 |
3.7%
|
8 | 갈등영향분석 필요성 | 5 | 0 |
6.2%
|
9 | 관련 법령 및 제도 | 3 | 0 |
3.7%
|
10 | 갈등영향분석 수행자의 독립성/중립성 보장에 대한 약속 | 15 | 0 |
18.5%
|
11 | 발주처와의 커뮤니케이션 수준 | 2 | 0 |
2.5%
|
12 | 추진주체의 해결 의지 | 12 | 0 |
14.8%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1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예 | 32 | 0 |
39.5%
|
2 | 아니오 | 48 | 0 |
59.3%
|
9 | 모름/무응답 | 1 | 0 |
1.2%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예 | 32 | 0 |
39.5%
|
2 | 아니오 | 49 | 0 |
60.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1개월 미만 | 2 | 0 |
6.2%
|
2 | 2개월~3개월 | 10 | 0 |
31.2%
|
3 | 4개월~5개월 | 17 | 0 |
53.1%
|
4 | 6개월 이상 | 3 | 0 |
9.4%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6 | 0 |
18.8%
|
1 | 그렇다 | 12 | 0 |
37.5%
|
9 | 무응답 | 14 | 0 |
43.8%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1 | 0 |
3.1%
|
1 | 그렇다 | 17 | 0 |
53.1%
|
9 | 무응답 | 14 | 0 |
43.8%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11 | 0 |
34.4%
|
1 | 그렇다 | 7 | 0 |
21.9%
|
9 | 무응답 | 14 | 0 |
43.8%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9 | 0 |
28.1%
|
1 | 그렇다 | 9 | 0 |
28.1%
|
9 | 무응답 | 14 | 0 |
43.8%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16 | 0 |
50%
|
1 | 그렇다 | 2 | 0 |
6.2%
|
9 | 무응답 | 14 | 0 |
43.8%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만족한다 | 3 | 0 |
9.4%
|
2 | 만족한다 | 20 | 0 |
62.5%
|
3 | 보통이다 | 6 | 0 |
18.8%
|
4 | 불만족스럽다 | 2 | 0 |
6.2%
|
5 | 매우 불만족스럽다 | 0 | 0 |
0%
|
6 | 분석내용이 없었음 | 0 | 0 |
0%
|
9 | 모름/무응답 | 1 | 0 |
3.1%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원인의 정확한 진단 | 10 | 0 |
31.2%
|
2 | 실행가능한 갈등해결 대안 제시 | 7 | 0 |
21.9%
|
3 | 갈등요소 분석의 충실성 (갈등상황, 근원, 이해관계자 등) | 2 | 0 |
6.2%
|
4 | 갈등 쟁점에 대한 정확한 이해 | 3 | 0 |
9.4%
|
5 | 예상 갈등전개양상의 적절성 | 0 | 0 |
0%
|
6 | 대화가능성 분석의 논리성 | 2 | 0 |
6.2%
|
7 | 갈등상황, 당사자 간 쟁점분석 객관성/종합성 | 5 | 0 |
15.6%
|
8 | 이해관계자 선정의 적합성 | 1 | 0 |
3.1%
|
9 | 이해당사자에 대한 공정성 | 0 | 0 |
0%
|
10 | 실제 갈등해결에 어느 정도나 도움이 되었는가 여부 | 1 | 0 |
3.1%
|
11 | 합의형성절차 이행관련 활용성 | 1 | 0 |
3.1%
|
12 | 평가는 현 정책 혹은 사업 추진에 따른 갈등확산가능성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원인의 정확한 진단 | 2 | 0 |
6.2%
|
2 | 실행가능한 갈등해결 대안 제시 | 5 | 0 |
15.6%
|
3 | 갈등요소 분석의 충실성 (갈등상황, 근원, 이해관계자 등) | 7 | 0 |
21.9%
|
4 | 갈등 쟁점에 대한 정확한 이해 | 4 | 0 |
12.5%
|
5 | 예상 갈등전개양상의 적절성 | 2 | 0 |
6.2%
|
6 | 대화가능성 분석의 논리성 | 1 | 0 |
3.1%
|
7 | 갈등상황, 당사자 간 쟁점분석 객관성/종합성 | 5 | 0 |
15.6%
|
8 | 이해관계자 선정의 적합성 | 2 | 0 |
6.2%
|
9 | 이해당사자에 대한 공정성 | 1 | 0 |
3.1%
|
10 | 실제 갈등해결에 어느 정도나 도움이 되었는가 여부 | 2 | 0 |
6.2%
|
11 | 합의형성절차 이행관련 활용성 | 1 | 0 |
3.1%
|
12 | 평가는 현 정책 혹은 사업 추진에 따른 갈등확산가능성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원인의 정확한 진단 | 4 | 0 |
12.5%
|
2 | 실행가능한 갈등해결 대안 제시 | 2 | 0 |
6.2%
|
3 | 갈등요소 분석의 충실성 (갈등상황, 근원, 이해관계자 등) | 1 | 0 |
3.1%
|
4 | 갈등 쟁점에 대한 정확한 이해 | 2 | 0 |
6.2%
|
5 | 예상 갈등전개양상의 적절성 | 1 | 0 |
3.1%
|
6 | 대화가능성 분석의 논리성 | 6 | 0 |
18.8%
|
7 | 갈등상황, 당사자 간 쟁점분석 객관성/종합성 | 4 | 0 |
12.5%
|
8 | 이해관계자 선정의 적합성 | 1 | 0 |
3.1%
|
9 | 이해당사자에 대한 공정성 | 1 | 0 |
3.1%
|
10 | 실제 갈등해결에 어느 정도나 도움이 되었는가 여부 | 3 | 0 |
9.4%
|
11 | 합의형성절차 이행관련 활용성 | 5 | 0 |
15.6%
|
12 | 평가는 현 정책 혹은 사업 추진에 따른 갈등확산가능성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2 | 0 |
6.2%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예 | 26 | 0 |
81.2%
|
2 | 아니오 | 6 | 0 |
18.8%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연구비 부담의 주체 | 1 | 0 |
3.1%
|
2 | 갈등영향분석 수행시기 또는 시점 | 7 | 0 |
21.9%
|
3 | 갈등당사자간 쟁점분석 | 6 | 0 |
18.8%
|
4 | 합의형성절차 이행여부 및 설계 | 1 | 0 |
3.1%
|
5 | 적극적인 면담 활동 (다양한 당사자 만남) | 11 | 0 |
34.4%
|
6 | 갈등영향분석 추진에 대한 공개 여부 | 0 | 0 |
0%
|
7 | 분석결과(보고서)에 대한 공유 여부 | 0 | 0 |
0%
|
8 | 용역비용의 공정성 | 1 | 0 |
3.1%
|
9 | 연구자의 객관/중립성 | 5 | 0 |
15.6%
|
10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연구비 부담의 주체 | 0 | 0 |
0%
|
2 | 갈등영향분석 수행시기 또는 시점 | 2 | 0 |
6.2%
|
3 | 갈등당사자간 쟁점분석 | 11 | 0 |
34.4%
|
4 | 합의형성절차 이행여부 및 설계 | 8 | 0 |
25%
|
5 | 적극적인 면담 활동 (다양한 당사자 만남) | 5 | 0 |
15.6%
|
6 | 갈등영향분석 추진에 대한 공개 여부 | 1 | 0 |
3.1%
|
7 | 분석결과(보고서)에 대한 공유 여부 | 1 | 0 |
3.1%
|
8 | 용역비용의 공정성 | 0 | 0 |
0%
|
9 | 연구자의 객관/중립성 | 4 | 0 |
12.5%
|
10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연구비 부담의 주체 | 0 | 0 |
0%
|
2 | 갈등영향분석 수행시기 또는 시점 | 1 | 0 |
3.1%
|
3 | 갈등당사자간 쟁점분석 | 5 | 0 |
15.6%
|
4 | 합의형성절차 이행여부 및 설계 | 10 | 0 |
31.2%
|
5 | 적극적인 면담 활동 (다양한 당사자 만남) | 5 | 0 |
15.6%
|
6 | 갈등영향분석 추진에 대한 공개 여부 | 2 | 0 |
6.2%
|
7 | 분석결과(보고서)에 대한 공유 여부 | 2 | 0 |
6.2%
|
8 | 용역비용의 공정성 | 1 | 0 |
3.1%
|
9 | 연구자의 객관/중립성 | 6 | 0 |
18.8%
|
10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부, 공공기관, 이해관계자 모두 갈등영향분석에 대한 낮은 이해도 | 14 | 0 |
43.8%
|
2 | 합의 가능성 모색 및 합의형성절차 설계의 한계 | 1 | 0 |
3.1%
|
3 | 일부 당사자들의 면담거부 | 5 | 0 |
15.6%
|
4 | 갈등영향분석 수행으로 소요되는 비용적, 시간적 한계 | 1 | 0 |
3.1%
|
5 | 발주처가 원하는 방향을 미리 전제하고 있는 경우 | 2 | 0 |
6.2%
|
6 | 갈등영향분석 수행 연구진에 대한 부정적 시각 | 0 | 0 |
0%
|
7 | 갈등영향분석과 협의체 구성을 함께 요구하는 경우 | 1 | 0 |
3.1%
|
8 | 이해관계의 충돌이 첨예한 경우 | 0 | 0 |
0%
|
9 | 기관장(담당자)의지 또는 요식행위 등 | 2 | 0 |
6.2%
|
10 | 분석가에 대한 자율성(독립성)보장 | 1 | 0 |
3.1%
|
11 | 분석 결과의 객관성과 공정성 | 3 | 0 |
9.4%
|
12 | 갈등해결방안을 찾을 수 없는 경우 | 2 | 0 |
6.2%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부, 공공기관, 이해관계자 모두 갈등영향분석에 대한 낮은 이해도 | 3 | 0 |
9.4%
|
2 | 합의 가능성 모색 및 합의형성절차 설계의 한계 | 8 | 0 |
25%
|
3 | 일부 당사자들의 면담거부 | 1 | 0 |
3.1%
|
4 | 갈등영향분석 수행으로 소요되는 비용적, 시간적 한계 | 3 | 0 |
9.4%
|
5 | 발주처가 원하는 방향을 미리 전제하고 있는 경우 | 6 | 0 |
18.8%
|
6 | 갈등영향분석 수행 연구진에 대한 부정적 시각 | 2 | 0 |
6.2%
|
7 | 갈등영향분석과 협의체 구성을 함께 요구하는 경우 | 4 | 0 |
12.5%
|
8 | 이해관계의 충돌이 첨예한 경우 | 1 | 0 |
3.1%
|
9 | 기관장(담당자)의지 또는 요식행위 등 | 1 | 0 |
3.1%
|
10 | 분석가에 대한 자율성(독립성)보장 | 0 | 0 |
0%
|
11 | 분석 결과의 객관성과 공정성 | 1 | 0 |
3.1%
|
12 | 갈등해결방안을 찾을 수 없는 경우 | 2 | 0 |
6.2%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정부, 공공기관, 이해관계자 모두 갈등영향분석에 대한 낮은 이해도 | 0 | 0 |
0%
|
2 | 합의 가능성 모색 및 합의형성절차 설계의 한계 | 4 | 0 |
12.5%
|
3 | 일부 당사자들의 면담거부 | 1 | 0 |
3.1%
|
4 | 갈등영향분석 수행으로 소요되는 비용적, 시간적 한계 | 2 | 0 |
6.2%
|
5 | 발주처가 원하는 방향을 미리 전제하고 있는 경우 | 3 | 0 |
9.4%
|
6 | 갈등영향분석 수행 연구진에 대한 부정적 시각 | 4 | 0 |
12.5%
|
7 | 갈등영향분석과 협의체 구성을 함께 요구하는 경우 | 2 | 0 |
6.2%
|
8 | 이해관계의 충돌이 첨예한 경우 | 2 | 0 |
6.2%
|
9 | 기관장(담당자)의지 또는 요식행위 등 | 4 | 0 |
12.5%
|
10 | 분석가에 대한 자율성(독립성)보장 | 6 | 0 |
18.8%
|
11 | 분석 결과의 객관성과 공정성 | 3 | 0 |
9.4%
|
12 | 갈등해결방안을 찾을 수 없는 경우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1 | 0 |
3.1%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30 | 0 |
93.8%
|
1 | 그렇다 | 2 | 0 |
6.2%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29 | 0 |
90.6%
|
1 | 그렇다 | 3 | 0 |
9.4%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32 | 0 |
100%
|
1 | 그렇다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32 | 0 |
100%
|
1 | 그렇다 | 0 | 0 |
0%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25 | 0 |
78.1%
|
1 | 그렇다 | 7 | 0 |
21.9%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0 | 아니다 | 11 | 0 |
34.4%
|
1 | 그렇다 | 21 | 0 |
65.6%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예 | 19 | 0 |
59.4%
|
2 | 아니오 | 13 | 0 |
40.6%
|
-1 | 비해당 | 49 | 0 |
10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협의체 참여자의 대표성 | 33 | 0 |
40.7%
|
2 | 갈등의 민감도 | 0 | 0 |
0%
|
3 | 전문가의 조정 역량 | 8 | 0 |
9.9%
|
4 | 면담 수행자에 대한 신뢰 | 2 | 0 |
2.5%
|
5 | 추진주체와 해당 이해당사자의 참여 | 13 | 0 |
16%
|
6 | 관련 예산, 관리 등 지원가능성 | 4 | 0 |
4.9%
|
7 | 협의체 구성 규칙 합의 | 4 | 0 |
4.9%
|
8 | 대화의 방법과 절차 | 0 | 0 |
0%
|
9 | 관련 당사자들의 해결 의지 | 12 | 0 |
14.8%
|
10 | 당사자 기관의 진정성 | 4 | 0 |
4.9%
|
11 | 중립성과 현장성 | 1 | 0 |
1.2%
|
12 | 주민대표 선출방법과 추천인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협의체 참여자의 대표성 | 7 | 0 |
8.6%
|
2 | 갈등의 민감도 | 1 | 0 |
1.2%
|
3 | 전문가의 조정 역량 | 13 | 0 |
16%
|
4 | 면담 수행자에 대한 신뢰 | 2 | 0 |
2.5%
|
5 | 추진주체와 해당 이해당사자의 참여 | 17 | 0 |
21%
|
6 | 관련 예산, 관리 등 지원가능성 | 5 | 0 |
6.2%
|
7 | 협의체 구성 규칙 합의 | 6 | 0 |
7.4%
|
8 | 대화의 방법과 절차 | 8 | 0 |
9.9%
|
9 | 관련 당사자들의 해결 의지 | 18 | 0 |
22.2%
|
10 | 당사자 기관의 진정성 | 2 | 0 |
2.5%
|
11 | 중립성과 현장성 | 2 | 0 |
2.5%
|
12 | 주민대표 선출방법과 추천인 | 0 | 0 |
0%
|
13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협의체 참여자의 대표성 | 7 | 0 |
8.6%
|
2 | 갈등의 민감도 | 1 | 0 |
1.2%
|
3 | 전문가의 조정 역량 | 19 | 0 |
23.5%
|
4 | 면담 수행자에 대한 신뢰 | 3 | 0 |
3.7%
|
5 | 추진주체와 해당 이해당사자의 참여 | 5 | 0 |
6.2%
|
6 | 관련 예산, 관리 등 지원가능성 | 5 | 0 |
6.2%
|
7 | 협의체 구성 규칙 합의 | 5 | 0 |
6.2%
|
8 | 대화의 방법과 절차 | 11 | 0 |
13.6%
|
9 | 관련 당사자들의 해결 의지 | 13 | 0 |
16%
|
10 | 당사자 기관의 진정성 | 8 | 0 |
9.9%
|
11 | 중립성과 현장성 | 3 | 0 |
3.7%
|
12 | 주민대표 선출방법과 추천인 | 1 | 0 |
1.2%
|
13 | 기타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매우 도움 된다 | 14 | 0 |
17.3%
|
2 | 도움 된다 | 46 | 0 |
56.8%
|
3 | 보통이다 | 17 | 0 |
21%
|
4 | 도움 되지 않는다 | 2 | 0 |
2.5%
|
5 |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 | 2 | 0 |
2.5%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 | 78 | 0 |
96.3%
|
2 |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 | 3 | 0 |
3.7%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필요성 인식부족 | 34 | 0 |
42%
|
2 | 갈등 예방을 위한 갈등분석은 필요 없다는 인식 | 5 | 0 |
6.2%
|
3 | 분석이후 갈등발생(심화, 확산) 우려 | 4 | 0 |
4.9%
|
4 | 분석과 갈등해소 간의 연관성 미흡 | 10 | 0 |
12.3%
|
5 | 갈등발생시 추진주체 내 책임소재 문제 | 1 | 0 |
1.2%
|
6 | 책임자의 회피 목적을 위한 방안으로 이용 | 3 | 0 |
3.7%
|
7 | 비용 및 시간적 한계 | 7 | 0 |
8.6%
|
8 | 수행할 기관 등 인력부족 | 4 | 0 |
4.9%
|
9 | 실제로는 대부분의 갈등사안이 정치적, 감정적 문제로 비화 | 1 | 0 |
1.2%
|
10 | 합의형성절차 제시 부족 | 1 | 0 |
1.2%
|
11 | 실효성에 대한 홍보미흡 | 3 | 0 |
3.7%
|
12 | 갈등영향분석과정과 동시에 부지매입 등의 행위가 이루어질 경우 | 0 | 0 |
0%
|
13 | 갈등영향분석은 분석이 목적인데, 이를 통해 갈등이 해소되기를 | 8 | 0 |
9.9%
|
14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필요성 인식부족 | 15 | 0 |
18.5%
|
2 | 갈등 예방을 위한 갈등분석은 필요 없다는 인식 | 10 | 0 |
12.3%
|
3 | 분석이후 갈등발생(심화, 확산) 우려 | 9 | 0 |
11.1%
|
4 | 분석과 갈등해소 간의 연관성 미흡 | 6 | 0 |
7.4%
|
5 | 갈등발생시 추진주체 내 책임소재 문제 | 2 | 0 |
2.5%
|
6 | 책임자의 회피 목적을 위한 방안으로 이용 | 5 | 0 |
6.2%
|
7 | 비용 및 시간적 한계 | 9 | 0 |
11.1%
|
8 | 수행할 기관 등 인력부족 | 3 | 0 |
3.7%
|
9 | 실제로는 대부분의 갈등사안이 정치적, 감정적 문제로 비화 | 10 | 0 |
12.3%
|
10 | 합의형성절차 제시 부족 | 2 | 0 |
2.5%
|
11 | 실효성에 대한 홍보미흡 | 3 | 0 |
3.7%
|
12 | 갈등영향분석과정과 동시에 부지매입 등의 행위가 이루어질 경우 | 0 | 0 |
0%
|
13 | 갈등영향분석은 분석이 목적인데, 이를 통해 갈등이 해소되기를 | 7 | 0 |
8.6%
|
14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0 | 0 |
0%
|
This variable is numeric
Value | Label | N | WN | |
---|---|---|---|---|
1 | 갈등영향분석 필요성 인식부족 | 4 | 0 |
4.9%
|
2 | 갈등 예방을 위한 갈등분석은 필요 없다는 인식 | 3 | 0 |
3.7%
|
3 | 분석이후 갈등발생(심화, 확산) 우려 | 6 | 0 |
7.4%
|
4 | 분석과 갈등해소 간의 연관성 미흡 | 9 | 0 |
11.1%
|
5 | 갈등발생시 추진주체 내 책임소재 문제 | 7 | 0 |
8.6%
|
6 | 책임자의 회피 목적을 위한 방안으로 이용 | 7 | 0 |
8.6%
|
7 | 비용 및 시간적 한계 | 8 | 0 |
9.9%
|
8 | 수행할 기관 등 인력부족 | 1 | 0 |
1.2%
|
9 | 실제로는 대부분의 갈등사안이 정치적, 감정적 문제로 비화 | 11 | 0 |
13.6%
|
10 | 합의형성절차 제시 부족 | 3 | 0 |
3.7%
|
11 | 실효성에 대한 홍보미흡 | 5 | 0 |
6.2%
|
12 | 갈등영향분석과정과 동시에 부지매입 등의 행위가 이루어질 경우 | 2 | 0 |
2.5%
|
13 | 갈등영향분석은 분석이 목적인데, 이를 통해 갈등이 해소되기를 | 9 | 0 |
11.1%
|
14 | 기타 | 0 | 0 |
0%
|
99 | 모름/무응답 | 6 | 0 |
7.4%
|
This variable is numeric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101동 250호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
TEL 02-880-2111 FAX 02-883-2694 Email kossda@snu.ac.kr
Copyright ⓒ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