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Q2_2 |
응답자 활동 부문2: 지자체 자체평가에 미참여, 지자체 성과관리 및 자체평가 관련 연구 수행
SQ2. 귀하께서 활동하신 부문을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2) 지자체 자체평가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지자체 성과관리 혹은 자체평가 관련 연구를 수행함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6_3 |
자체평가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의견3: 수탁기관의 전문성 및 객관성
문6. 자체평가위원회 구성과 운영 관련 다음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3. 자체평가를 외부에 위탁할 경우 수탁기관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10_5 |
수탁기관 역할5: 집필
문10. 자체평가를 외부에 위탁할 경우 수탁기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⑤ 자문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9_3 |
외부민간위원 역할3: 지표설정
문9. 자체평가위원회의 외부 민간위원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③ 지표 설정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SQ2_3 |
응답자 활동 부문3: 성과관리 및 자체평가 관련 연구 수행
SQ2. 귀하께서 활동하신 부문을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3) 성과관리 혹은 자체평가 관련 연구를 수행함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32_4x |
(어려운 경우) 자체평가 및 성과관리 업무가 어려운 이유
문32. 담당 부서와 평가역량과 관련한 다음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4-1. 자체평가 관련 업무가 어렵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36_2 |
자체평가에 대한 지자체 및 중앙부처 개선방향2
문36. 자체평가 관련 지자체 및 중앙부처 관련 개선할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23_3 |
방법별 자체평가결과 공개 수준3: 내 고장 알리미 사이트에 공개
문23. 다음 방법별 자체평가결과 공개 수준을 말씀해 주십시오.3. 내 고장 알리미 사이트에 공개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19 |
평가업무 부담에 대한 의견
문19. 자체평가 및 기타 성과관리 등 평가업무의 부담에 대한 의견은 어떠합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3_3 |
자체평가 인식3: 자체평가를 통해 정책 품질 및 사업 효과성 제고
문3. 자체평가 관련 다음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3. 자체평가를 통하여 정책 품질이나 사업의 효과성(혹은 서비스 질)이 제고되었다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28 |
소속단체 차기 사업 예산배정에 자체평가 결과 반영 필요성
문28. 소속 지방자치단체는 자체평가 결과를 차기 사업 예산배정에 반영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SQ2_4 |
응답자 활동 부문4: 자체평가와 성과관리 관련 중앙부처 업무 담당
SQ2. 귀하께서 활동하신 부문을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4) 자체평가와 성과관리 관련 중앙부처 업무를 담당함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23_4 |
방법별 자체평가결과 공개 수준4: 언론 보도자료로 공개
문23. 다음 방법별 자체평가결과 공개 수준을 말씀해 주십시오.4. 언론 보도자료로 공개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3_4 |
자체평가 인식4: 자체평가 및 합동평가의 성과목표 및 지표 이외 사업 추진 약화
문3. 자체평가 관련 다음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4. 자체평가나 합동평가에서 제시한 성과목표와 지표 이외의 사업에 대한 추진이 약화되었다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20 |
자체평가를 위한 자원 및 시간 소요에 대한 의견
문20. 자체평가를 위해 소요되는 자원과 시간(비용)에 대한 의견은 어떠합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29 |
소속단체 차기 사업 내용에 자체평가 결과 반영 필요성
문29. 소속 지방자치단체는 자체평가 결과를 차기 사업 내용에 반영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33 |
성과관리 담당자의 성과관리 전문성 수준
문33. 지자체의 평가부서의 평가담당자의 평가업무에 대한 전문성(평가역량) 수준은 평균적으로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9_4 |
외부민간위원 역할4: 평정(점수부여)
문9. 자체평가위원회의 외부 민간위원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④ 평정(점수 부여)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9_5 |
외부민간위원 역할5: 자문
문9. 자체평가위원회의 외부 민간위원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⑤ 자문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
|
Q34 |
성과관리 교육 참가 제공 횟수 적정성
문34. 평가와 성과관리 교육 참가 기회를 어느 정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까?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2016 : 전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