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10 |
성과관리 집행과정에서 중요 요인
10. 중앙정부 성과관리의 집행과정상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06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6: 근거와 타당성이 충분한 성과목표치 설정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6) 근거와 타당성이 충분한 성과목표치 설정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06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6: 성과목표 달성을 종합 측정할 지표 개발 필요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6) 성과의 품질제고를 위해 단위과제 수준이 아닌 성과목표의 달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필요하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3A7 |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 평가7: 성과관리를 통한 공무원 역량 개선
3. 정부의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에 대한 귀하의 전반적 평가는 어떠십니까?7) 성과관리로 인해 공무원의 역량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07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7: 체계적인 정책 환경 분석 실시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7) 체계적인 정책 환경분석 실시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07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7: 성과목표치 설정의 근거 제시 어려움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7) 실질적으로 성과목표치 설정의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08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8: 정책우선순위에 적절한 목표 설정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8) 정책우선순위에 맞는 목표 설정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08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8: 성과목표를 위해 달성 용이한 성과지표 선택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8) 성과목표 달성을 위해 핵심성과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달성이 쉬운 성과지표를 선택하게 된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09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9: 성과지표, 목표치 설정을 위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9) 성과지표와 목표치 설정을 위해 이해관계자 등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거친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09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9: 성과관리계획 수립과정에서의 부처 및 기관 간 협력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9) 성과관리계획 수립과정에서의 부처간, 기관간 협력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10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10: 기관별 성과등급 배분의 타당성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10) 기관별 성과등급 배분의 타당성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10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10: 정밀한 분석을 통해 분기 및 연차별 성과목표치 결정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10) 실질적으로 분기별, 연차별 성과목표치가 정밀한 분석을 통해 결정된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11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11: 성과관리계획서에 과제 투입예산 및 인력 명시 필요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11) 성과관리계획서 작성시 과제별 투입예산 및 인력에 대해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11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11: 부서간 성과등급 배분의 타당성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11) 부서간 성과등급 배분의 타당성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12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12: 관리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집행계획 수립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12) 관리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집행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12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12: 기관성과-정책성과-개인성과 간 연계 타당성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12) 기관성과-정책성과-개인성과 간 연계 타당성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13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13: 기관간-부서간-개인간 경쟁 심화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13) 기관간-부서간-개인간 경쟁 심화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A13 |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평가13: 핵심 성과지표 외 불필요한 성과지표 다수 포함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1) 환경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13) 핵심적 성과지표 외에 불필요한 성과지표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4B01 |
집행, 모니터링, 평가 및 피드백 과정 평가1: 계획대로 집행 수행
4. 중앙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 운영현황에서, 아래 지문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떠십니까?2) 집행, 모니터링, 평가 및 피드백 과정 (1) 계획한대로의 집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
|
Q11A14 |
성과관리체계와 공무원 인식 개선 정도14: 계량적인 성과지표 달성여부에만 몰입
11. 중앙정부 성과관리체계와 이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제도 도입 초기(2006년경)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14) 계량적인 성과지표 달성여부에만 몰입
정부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조사,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