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행정연구원17817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은 국가행정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91년 설립된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입니다. 행정체제의 발전과 행정제도 및 그 운영의 개선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행정에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수집, 관리, 지원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승인통계인 <사회통합실태조사>, <공직생활실태조사> 등 국정운영과 관련한 행정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여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7,817건 중 17,341-17,360 (소요 시간: 0.027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a103

사후규제영향평가 필요성3: 규제일몰제 확대를 통한 규제 존속기한 제한 필요

문10.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3) 규제 일몰제의 확대를 통해 규제의 존속 기한을 적극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14

사후규제영향평가 운영시 장애요인4: 기존 규제법령의 법적 안정성을 해칠 수 있음

문11. 귀하는 현재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 운영과 관련해 어떠한 점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4) 사후규제영향평가로 인해 기존 규제법령의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4

우리나라 규제정책 평가4: 규제개혁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요한 정책 방안

문1. 귀하는 우리나라 규제정책과 관련한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갖고 계십니까?4) 규제개혁은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방안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64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제도 평가4: 분석을 위한 조직 및 예산 지원 충분

문6. 귀하는 현재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 제도와 관련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4) 규제영향분석을 위한 조직 및 예산 지원은 충분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sq1

규제영향분석제도 인지 정도

SQ1. 귀하는 규제영향분석 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까?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04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4: 작성 초기부터 규제영향분석 준비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4) 규제안 작성 초기부터 규제영향분석이 준비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sq24

응답자 직급

SQ2. 귀하의 성별 및 연령, 최종 학력, 직급은 어떠하십니까?4) 직급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54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방식 및 기준 중요성4: 피규제집단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중심에서 평가

문15.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방식 및 기준과 관련해 다음의 각 항목들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4) 피규제집단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중심의 사후영향평가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04

사후규제영향평가 필요성4: 규제 집행 성과평가를 통한 규제 개선방안 필요

문10.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4) 규제 집행의 성과평가를 통해 규제개선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44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절차 동의 정도4: 규제개혁위원회에서 부처가 작성한 결과 최종 검토

문14.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절차와 관련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4) 규제개혁위원회에서 부처에서 작성한 사후규제영향평가 결과를 최종 검토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34

사후규제영향평가 적용시점 및 방식 동의 정도4: 일정시점 경과 후 1-2회 한정 적용

문13.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의 적용 시점 및 방식과 관련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4) 일정 시점 경과 후 1-2회에 한정하여 사후규제영향평가를 적용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24

항목별 규제 인지 정도4: 규제비용관리제

문2. 귀하는 다음의 항목들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4) 규제비용관리제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24

사후규제영향평가 의무규정화 동의 정도4: 규제비용관리제 관련해 폐지 및 완화 규제 중심 실시

문12.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의 의무 규정화에 대해 다음의 각 방안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4) 규제비용관리제와 관련하여 폐지?완화 규제를 중심으로 사후규제영향평가 실시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55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방식 및 기준 중요성5: 규제순응비용의 객관적, 정량적 분석 강조

문15.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수행 방식 및 기준과 관련해 다음의 각 항목들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5) 규제순응비용의 객관적이고 정량적 분석의 강조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sq3

응답자 담당 업무 분야

SQ3. 귀하는 현재 소속기관에서 다음 중 주로 어떠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까?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5

우리나라 규제정책 평가5: 그간 정부 규제개혁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편

문1. 귀하는 우리나라 규제정책과 관련한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갖고 계십니까?5) 그간 우리 정부의 규제개혁은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둔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25

항목별 규제 인지 정도5: 규제일몰제

문2. 귀하는 다음의 항목들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5) 규제일몰제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505

(업무수행 경험 있는 경우) 규제영향분석 평가5: 작성을 위한 시간 충분

문5. (문4의 2), 3) 응답자만) 귀하가 규제영향분석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여하셨던 경험에 비추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5) 규제영향분석 작성을 위한 시간은 충분한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65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제도 평가5: 분석의 대상범위와 절차 합리적

문6. 귀하는 현재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 제도와 관련해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5) 규제영향분석의 대상범위와 절차는 합리적인 편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

a105

사후규제영향평가 필요성5: 사후규제영향평가를 통한 규제 효과성 개선 가능

문10. 귀하는 사후규제영향평가 제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문항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5) 사후규제영향 평가를 통해 정부 규제의 효과성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규제사후영향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공무원 의견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