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37_3
‘청소년의 참여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이유3: 활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문 37. 학생은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는 문제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며 참여하는 ‘청소년의 참여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해당하는 칸의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3) 활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Q37_5
‘청소년의 참여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이유5: 학교에서 하지 못하게 한다
문 37. 학생은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는 문제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며 참여하는 ‘청소년의 참여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해당하는 칸의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5) 학교에서 하지 못하게 한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Q39
청소년인권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의 필요성
문 39. 학생은 청소년 인권교육 및 인권상담, 인권정보 제공 등 청소년인권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예: 청소년인권센터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Q38_et
청소년의 참여권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 기타
문 38. 학생은 청소년의 참여권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아래의 번호 중에서 한 가지만 골라 주세요.
⑧ 기타(___________)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Q38
청소년의 참여권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
문 38. 학생은 청소년의 참여권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아래의 번호 중에서 한 가지만 골라 주세요.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1
동거가족 여부1: 할아버지/외할아버지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① 할아버지/외할아버지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2
동거가족 여부2: 할머니/외할머니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② 할머니/외할머니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7
동거가족 여부7: 형제 또는 자매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⑦ 형제 또는 자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6
동거가족 여부6: 새어머니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⑥ 새어머니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5
동거가족 여부5: 새아버지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⑤ 새아버지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9
동거가족 여부9: 기타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⑨ 기타___________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3
동거가족 여부3: 아버지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③ 아버지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4
동거가족 여부4: 어머니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④ 어머니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DQ1_8
동거가족 여부8: 친척
배문1. 아래에 학생의 가족구성원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가족구성원 중에서 결혼을 해 따로 살고 있는 가족(예: 시집간 언니)은 제외하고, 1) 함께 살고 있거나, 2) 직장 또는 학교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은 모두 표시해 주세요.
※ 예 1: 시집 가서 따로 사는 언니, 삼촌 집에서 사는 사촌형 ☞ 표시하지 않습니다.
※ 예 2: (같이 살다가) 직장이 지방에 있어서 내려가 있는 큰형 ☞ 표시합니다.
⑧ 친척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2 [통합자료]
Q10_1
사회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인식1: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인식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함
문10. 사회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언제나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한다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2012
Q1_1
방과후 교외활동에 보내는 시간1: TV나 비디오, DVD 시청
문1. 방과 후에 학교 밖에서 다음과 같은 활동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십니까?1) TV나 비디오, DVD 보기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2012
Q3_1
정치 및 사회문제에 대한 부모님 관심 정도1: 아버지
문3. 부모님은 정치·사회적인 문제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으십니까? (부모님이 안 계시면 부모님 역할을 대신하는 할아버지/할머니, 친척 등 보호자를 기준으로 응답해 주세요.)1) 아버지 (또는 남성 보호자)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2012
Q14_1
성역할 가치관1: 남자와 여자는 정부 일 참여에 동등한 기회를 가져야 함
문14. 남자와 여자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다음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1) 남자와 여자는 정부의 일에 참여하는 데 동등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2012
Q17_1
기관 신뢰도1: 중앙정부와 행정부처
문17. 다음과 같은 기관이나 조직,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하고 있습니까?1) 중앙정부와 행정부처 (대통령, 장관 등)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2012
ID
응답자 아이디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