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17_18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8: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8) 정보접근 및 업무수행을 위하여 장애인 보조기구(화면낭독·확대프로그램, 무지점자단말기, 확대독서기 등)가 제공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21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1: 장애인이 쉽게 접근 가능한 장소와 시설에서 교육 및 훈련 진행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1) 장애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와 시설에서 교육 및 훈련이 이루어진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22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2: 교육 및 훈련 시 장애유형을 고려한 교재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2) 교육 및 훈련에서 장애유형을 고려한 교재(점자 자료 등) 가 제공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19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9: 근로지원인 제도 이용 가능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9) 필요하다면 의사소통 및 업무수행을 위하여 근로지원인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15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5: 출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장애인용 주차 공간이 있음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5) 출입구 가까운 곳에 장애인용 주차공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14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4: 화장실은 장애인 이용에 불편이 없음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4) 화장실은 장애인이 이용함에 불편이 없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30 |
공공기관 내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차별에 대한 자유 의견
13. 마지막으로 공공기관 내 장애인 근로자(장애인 공무원)의 고용차별과 관련하여 귀하가 생각하시는 의견이 있으시면 그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3 |
공공기관 내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차별에 대한 자유 의견
13. 마지막으로 공공기관 내 장애인 근로자(장애인 공무원)의 고용차별과 관련하여 귀하가 생각하시는 의견이 있으시면 그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2x |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기타내용
12. 귀하는 공공기관 내의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2가지만 적어주십시오.
: 기타내용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2_1st |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1순위
12. 귀하는 공공기관 내의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2가지만 적어주십시오.
: 1순위(_____)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2_2nd |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2순위
12. 귀하는 공공기관 내의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2가지만 적어주십시오.
: 2순위(_____)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9_1 |
(시행 인지하는 경우) 장애인차별금지법 내용 인지 여부
9. 귀하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1) 귀하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내용을 잘 알고 있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0 |
장애인차별금지제도의 장애인고용차별 예방에 대한 도움 정도
10. 귀하는 장애인차별금지제도가 장애인고용차별을 예방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1 |
국가인권위원회를 통한 장애인 차별시정 및 권리구제 절차 인지 여부
11. 귀하는 국가인권위원회를 통한 장애인 차별 시정 및 권리구제 절차를 알고 계십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9 |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인지 여부
9. 귀하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7_16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6: 장애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정보에 접근 가능한 편의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6) 장애의 특성과 유형을 고려하여 장애인 근로자가 비장애인 근로자와 동등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접근성이 보장된 업무시스템).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13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3: 시설물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수단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3) 건물내 회의실 등 시설물에 대한 장애인의 원활한 접근을 위해 턱낮추기, 경사로, 엘리베이터 등의 필요한 수단이 제공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8_11 |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11: 기관장은 직무 수행시 장애인이 동등한 근로조건에서 일하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함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1) 기관장(고용주)은 장애인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비장애인과 동등한 근로조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8_8 |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8: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하고자 장애인에게 필요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함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8) 비장애인과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8_10 |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10: 기관장은 차별받은 장애인의 권리를 구제할 책임을 다함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0) 기관장(고용주)은 차별받은 장애인의 권리를 구제할 책임을 다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