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3_2 |
응답자 장애등급 (급)
3. 귀하의 장애특성에 대해 적어주십시오.
2) 장애등급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3_3 |
응답자 장애 발생시기
3. 귀하의 장애특성에 대해 적어주십시오.
3) 장애 발생시기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4 |
현 기관의 채용과정 중 가장 많은 차별 경험한 단계
4. 귀하는 현재 일하고 계신 기관에 채용되는 과정 중에서 어느 단계에서 장애를 이유로 차별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생각하십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1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1: 모집 직무와 관련성이 낮은 신체적 조건 및 자격요건 제시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1) 채용공고에서 모집하는 직무와 관련성이 낮은 신체적 조건이나 자격요건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2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2: 장애유형/등급에 따른 차등대우 제시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2) 채용공고에서 장애유형과 등급에 따른 차등대우를 제시하였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3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3: 접근성 고려하지 않은 구인활동이나 사업설명회 경험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3)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구인활동이나 사업설명회를 경험하였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4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4: 입사지원서 및 공고문에 장애인 편의제공 필요시 요청에 대한 문구 명시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4) 입사지원서나 채용공고문에 ‘장애로 인해 편의제공이 필요한 경우 요청하라’는 문구가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5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5: 필기시험에서 요청시 정당한 편의 제공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5) 채용 필기시험에서 요청할 경우, 정당한 편의가 제공되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6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6: 면접시험에서 요청시 정당한 편의 제공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6) 채용 면접시험에서 요청할 경우, 정당한 편의가 제공되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7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7: 장애에 적합한 시험환경 제공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7) 장애에 적합한 시험환경이 제공되었다(접근성 등).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5_8 |
채용단계별 차별 경험 정도8: 채용 이전 장애 여부 조사를 위한 의학적 검사 경험 있음
5. 채용 단계별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8) 채용 이전에 장애인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의학적 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1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1: 모집·채용 당시 공고와 같은 동일 직무 배치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1) 모집/채용 당시에 공고한 것과 동일한 직무에 배치되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2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2: 장애 고려하여 직무수행에 적절한 업무 부여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2) 장애를 고려하여 직무수행에 적절한 업무를 부여받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3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3: 장애 고려하여 적절한 업무량 부여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3) 장애를 고려하여 적절한 업무량을 부여받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4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4: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직장 내 다양한 정보 접근 가능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4) 비장애인 근로자와 동등하게 직장 내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5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5: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정당한 편의 제공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5) 비장애인 근로자와 동등한 근로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가 제공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6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6: 필요시 근로시간 변경 및 조정 가능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6) 필요한 경우, 재활, 기능평가, 치료 등을 위한 근로시간 변경 및 조정이 가능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7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7: 장애인용 업무매뉴얼 구비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7) 장애인용 업무매뉴얼(작업지침서)이 구비되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8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8: 장애 때문에 중요한 업무에 참여하지 못함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8) 장애를 이유로 본래의 직무상 중요한 업무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6_9 |
배치 및 직무조정 시 차별 경험 정도9: 장애로 인한 담당 업무 수행에 어려움 있음
6. 배치 및 직무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9) 장애로 인해 담당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