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12,981-13,000 (소요 시간: 0.013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17_2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 입사지원서 등은 장애인 스스로 인식 및 작성 가능하도록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 입사지원서와 기타 양식은 장애인이 스스로 인식하고 작성할 수 있는 양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9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9: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시험에 개인물품 지참 허용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9)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험 시 필요한 개인물품(점자판, 확대경, 스탠드 등) 지참을 허용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7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7: 장애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과정에서 휴식시간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7)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과정에서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6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6: 장애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 및 평가시간 연장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6)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 및 평가시간을 연장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12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2: 출입문은 휠체어로 출입하기에 충분히 넓음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2)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통과하기에 충분히 넓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8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8: 장애특성을 고려한 시험 장소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8)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장소를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4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4: 시험 및 평가를 위한 적절한 보조수단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4) 시험 및 평가를 위한 적절한 보조수단(확대시험지, 특수키보드 등)을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3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3: 필기시험 및 면접 장소는 장애인의 접근이 가능함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3) 필기시험 및 면접 장소는 장애인의 접근이 가능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1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 모집자료, 채용공고 등은 동등하게 이용 가능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 모집자료, 채용공고 등은 장애인이 동등하게 이용 가능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5x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상담 및 민원 신청 기관: 기타내용

15.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을 때, 상담이나 민원을 어디에 하시겠습니까? : 기타내용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3x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대응 방식: 기타내용

13.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거나 당하게 된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 기타내용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5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상담 및 민원 신청 기관

15.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을 때, 상담이나 민원을 어디에 하시겠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6

국가인권위원회의 장애인차별시정 및 권리구제 절차 인지 여부

16. 귀하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장애인차별시정 및 권리구제 절차를 알고 계십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4

직장 내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상담 창구 유무

14. 직장 내에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문제를 상담할 수 있는 창구가 있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7_8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8: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따라 해당 부서에 별도 보상이 필요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8)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따라 해당부서에 별도의 보상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10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10: 장애인 근로자들이 소비자나 고객 응대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0) 장애인 근로자들이 소비자 또는 고객응대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9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9: 장애인 근로자가 일을 잘못할 시 이를 지적하기 어려울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9) 장애인 근로자가 일을 잘못하고 있다면 이를 지적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6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6: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한 동료 직원들의 반발이 많을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6)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한 동료직원들의 반발이 많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7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7: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해 이해나 설명하기 어려울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7)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해 이해나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17_20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0: 필요시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시설이나 장비 설치 및 개조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0) 장애의 유형을 고려하여 직무수행을 위한 높낮이 조절용 책상 등 시설이나 장비를 설치 또는 개조한다 .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