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7_2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 입사지원서 등은 장애인 스스로 인식 및 작성 가능하도록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 입사지원서와 기타 양식은 장애인이 스스로 인식하고 작성할 수 있는 양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9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9: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시험에 개인물품 지참 허용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9)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험 시 필요한 개인물품(점자판, 확대경, 스탠드 등) 지참을 허용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7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7: 장애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과정에서 휴식시간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7)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과정에서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6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6: 장애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 및 평가시간 연장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6)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 및 평가시간을 연장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12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2: 출입문은 휠체어로 출입하기에 충분히 넓음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2)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통과하기에 충분히 넓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8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8: 장애특성을 고려한 시험 장소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8)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시험장소를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4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4: 시험 및 평가를 위한 적절한 보조수단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4) 시험 및 평가를 위한 적절한 보조수단(확대시험지, 특수키보드 등)을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3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3: 필기시험 및 면접 장소는 장애인의 접근이 가능함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3) 필기시험 및 면접 장소는 장애인의 접근이 가능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7_1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 모집자료, 채용공고 등은 동등하게 이용 가능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 모집자료, 채용공고 등은 장애인이 동등하게 이용 가능하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5x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상담 및 민원 신청 기관: 기타내용
15.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을 때, 상담이나 민원을 어디에 하시겠습니까?
: 기타내용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3x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대응 방식: 기타내용
13.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거나 당하게 된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 기타내용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5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상담 및 민원 신청 기관
15.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을 때, 상담이나 민원을 어디에 하시겠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6
국가인권위원회의 장애인차별시정 및 권리구제 절차 인지 여부
16. 귀하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장애인차별시정 및 권리구제 절차를 알고 계십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14
직장 내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상담 창구 유무
14. 직장 내에 장애로 인한 고용차별 문제를 상담할 수 있는 창구가 있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q7_8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8: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따라 해당 부서에 별도 보상이 필요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8)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따라 해당부서에 별도의 보상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10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10: 장애인 근로자들이 소비자나 고객 응대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0) 장애인 근로자들이 소비자 또는 고객응대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9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9: 장애인 근로자가 일을 잘못할 시 이를 지적하기 어려울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9) 장애인 근로자가 일을 잘못하고 있다면 이를 지적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6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6: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한 동료 직원들의 반발이 많을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6)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한 동료직원들의 반발이 많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7_7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7: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해 이해나 설명하기 어려울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7) 장애인 근로자 배치에 대해 이해나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17_20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0: 필요시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시설이나 장비 설치 및 개조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0) 장애의 유형을 고려하여 직무수행을 위한 높낮이 조절용 책상 등 시설이나 장비를 설치 또는 개조한다 .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