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8
[미취업자] 코로나19의 가장 오랫동안 종사했던 일에 대한 퇴직 계기 여부
B18. 귀하는 코로나19가 가장 오랫동안 종사했던 일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퇴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19
[미취업자] 코로나19로 인한 구직활동 어려움 정도
B19. 귀하는 코로나19로 인해 구직활동이 어려워졌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0
[미취업자] 향후 일할 의향
B20. 귀하는 앞으로 일할 의향이 있습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1
[미취업자] (의향 있는 경우) 향후 구직 희망 고용형태
B21. 귀하께서는 향후에 구직을 희망하는 직장(일)의 고용형태는 무엇입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2
[미취업자] (의향 있는 경우) 향후 구직 희망 직장 종류
B22. 귀하께서는 향후에 구직을 희망하는 직장(사업체)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3
[미취업자] (의향 있는 경우) 향후 구직 희망 근무 장소
B23. 일자리의 희망 근무장소(근무 형태)는 어떻게 되십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4
[미취업자] (의향 있는 경우) 취업 희망 이유
B24. 취업을 희망하는 주된 이유를 말씀해 주십시오.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5_1
[미취업자] (의향 없는 경우) 취업 희망하지 않는 이유: 1순위
B25. 취업을 희망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지 우선 순위로 3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 1순위(____)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5_2
[미취업자] (의향 없는 경우) 취업 희망하지 않는 이유: 2순위
B25. 취업을 희망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지 우선 순위로 3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 2순위(____)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5_3
[미취업자] (의향 없는 경우) 취업 희망하지 않는 이유: 3순위
B25. 취업을 희망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지 우선 순위로 3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 3순위(____)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1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1: 인력지원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직장생활 유지를 위한 인력지원(근로지원인, 직무지도원, 작업지도원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2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2: 건강관리 지원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직장생 활유지를 위한 건강관리 지원(장애치료/투약비,건강관리비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3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3: 장애인보조기구 구입 및 유지비 지원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직장생활 유지를 위한 출퇴근지원(장애인보조기구 구입 및 유지비)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4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4: 출퇴근비용 및 통근차량 등 지원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직장생활 유지를 위한 출퇴근지원(출퇴근비용지원, 출퇴근통근차량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5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5: 자기자신에 대한 높은 자신감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자기자신에 대한 높은 자신감(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6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6: 사회적 지지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직장생활 유지에 대한 사회적지지(가족지지, 직장 내 사업주 및 동료지지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7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7: 일자리에서 장애를 고려한 업무 부여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7) 일자리(직장)에서 장애를 고려한 업무 부여(직무조정, 업무량 조정, 초과근무 면제,재택근무지원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8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8: 안전한 작업환경 마련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8) 일자리(직장)의 안전한 작업환경 마련(편의시설 설치,부대시설 개조,작업시설 지원,상해보험 가입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9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9: 장애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9) 일자리(직장)의 장애친화적 기업 문화 조성(직장의 장애에 대한 이해, 직업생활 상담 지원, 상해보험 가입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B26_10
[미취업자] 일자리 유지를 위한 필요사항10: 장애를 배려한 복리후생제도 마련
B26. 귀하의 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자리 유지를 위해 다음 항목들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0) 일자리(직장)의 장애를 배려한 복리후생 제도 마련(유급휴가 추가 지원, 장애로 인한 휴식 등을 위한 휴가비용 지원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