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781-800 (소요 시간: 0.007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B2_2_1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수: 남성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1) 정신장애인 (1) 남성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2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수: 여성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1) 정신장애인 (2) 여성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3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수: 합계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1) 정신장애인 (3) 합계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4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 남성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2) 미등록 정신질환 (1) 남성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5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 여성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2) 미등록 정신질환 (2) 여성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6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 합계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2) 미등록 정신질환 (3) 합계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7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정신장애인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 남성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3) 정신장애인 및 미등록 정신질환 (1) 남성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8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정신장애인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 여성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3) 정신장애인 및 미등록 정신질환 (2) 여성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B2_2_9

(채용 경험 및 고용 유지된 경우) 정신장애인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 합계

B2b. 지난해 말(2021년) 기준으로 귀 사업체의 정신장애인 근로자 및 미등록 정신질환 근로자 수(파악하고 있는 경우)를 유형·성별로 구분해 응답해 주십시오. 3) 정신장애인 및 미등록 정신질환 (3) 합계 : ____명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1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장애인 근로자 채용방식

C1. 귀사는 장애인 근로자를 주로 어떠한 방식으로 채용하셨습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1x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장애인 근로자 채용방식: 기타내용

C1. 귀사는 장애인 근로자를 주로 어떠한 방식으로 채용하셨습니까? : 기타내용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2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채용방식

C2. 귀사는 정신장애인 근로자를 주로 어떠한 방식으로 채용하셨습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2x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채용방식: 기타내용

C2. 귀사는 정신장애인 근로자를 주로 어떠한 방식으로 채용하셨습니까? : 기타내용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3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채용시 모집경로

C3. 귀사가 정신장애인 근로자를 채용했을 때 주로 이용한 모집 경로는 무엇이었습니까?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3x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채용시 모집경로: 기타내용

C3. 귀사가 정신장애인 근로자를 채용했을 때 주로 이용한 모집 경로는 무엇이었습니까? : 기타내용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4_1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채용시 배려사항1: 가산점 부여

C4. 귀사가 정신장애인 채용 과정에서 배려했던 사항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모두 선택해주세요. 1) 가산점 부여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4_2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채용시 배려사항2: 연령조건 완화

C4. 귀사가 정신장애인 채용 과정에서 배려했던 사항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모두 선택해주세요. 2) 연령 조건 완화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4_3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채용시 배려사항3: 학력조건 완화

C4. 귀사가 정신장애인 채용 과정에서 배려했던 사항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모두 선택해주세요. 3) 학력조건 완화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4_4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채용시 배려사항4: 자격요건 완화

C4. 귀사가 정신장애인 채용 과정에서 배려했던 사항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모두 선택해주세요. 4) 자격요건 완화(토익, 자격증 등)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C4_5

(채용 경험 있는 경우) 정신장애인 채용시 배려사항5: 직무능력 요건 완화

C4. 귀사가 정신장애인 채용 과정에서 배려했던 사항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모두 선택해주세요. 5) 직무 능력 요건 완화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