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30_4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4: 지자체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4) 지자체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예 : 서울시 인권강사,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인권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0_5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5: 각종 협회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5) 각종 협회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예 : 직능 협회 양성과정 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0_6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6: 시민단체 및 민간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6) 그 외 시민단체 또는 민간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0_7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7: 사회복지학과 교수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7)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0_8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8: 인권단체 소속 3년 이상 활동한 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8) 인권단체 소속으로 3년 이상 활동한 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0_9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9: 모름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9) 모르겠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0_10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10: 기타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10) 기타
: 기타내용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1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1: 인권개념 및 역사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인권개념 및 역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2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2: 인권과 법정책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인권과 법/정책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3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3: 국제인권기준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국제인권기준(유엔아동권리협약, 장애인권리협약, 마드리드노인인권행동계획 등)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4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4: 인권의 내용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인권의 내용(사회권, 자유권, 차별 등)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5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5: 이용자 인권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이용자 인권(아동/장애인/노인학대 등)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6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6: 사회복지시설 종사사 인권 및 조직운영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사회복지시설 종사사 인권( 노동권, 직장내괴롭힘 등) 및 조직운영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7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7: 인권침해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절차와 기관 안내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7) 인권침해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절차와 기관 안내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1_8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8: 기타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 기타
: 기타내용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2_1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진행 방식1: 강의 중심
32. 2019년 진행한 인권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었나요? (중복응답 가능)
1) 강의 중심 교육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2_2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진행 방식2: 토론 중심 참여형
32. 2019년 진행한 인권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었나요? (중복응답 가능)
2) 토론 중심의 참여형 교육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2_3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진행 방식3: 역할극 중심 참여형
32. 2019년 진행한 인권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었나요? (중복응답 가능)
3) 역할극 중심의 참여형 교육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2_4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진행 방식4: 현장체험형
32. 2019년 진행한 인권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었나요? (중복응답 가능)
4) 캠페인, 현장방문 등 현장체험형 교육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32_5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진행 방식5: 녹화된 강의를 비디오로 시청
32. 2019년 진행한 인권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었나요? (중복응답 가능)
5) 녹화된 강의를 비디오로 시청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