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2_2_6
(실시한 경우) 외부교육 시설장 참여 여부
12.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설종사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인권교육은 몇 회, 몇 시간 진행되었나요?
2-6) 외부교육 시설장 참여여부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3
(실시한 경우) 최고관리자 대상 인권 교육 수강 여부
13. 귀 시설의 시설장은 최고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을 별도로 수강하였습니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4
(실시한 경우) 인권교육 시 종사자 집단 구분 여부
14. 귀 시설은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을 실시한 경우 종사자를 집단으로 구분하여 인권교육을 실시하였습니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5
(실시한 경우) 인권교육 관련 소관부처 지침 인지 여부
15. 귀 시설은 인권교육과 관련해서 소관부처의 지침이 있는지를 알고 있습니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5_1
(실시한 경우) 인권교육 계획 전 해당년도 소관부처 지침 확인 여부
15. 귀 시설은 인권교육과 관련해서 소관부처의 지침이 있는지를 알고 있습니까?
1) 귀 시설은 인권교육을 계획하기 이전에 해당년도 소관부처 지침을 검색 및 확인하였습니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6
(실시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방법
16.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설종사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인권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었습니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1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1: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1)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본부 및 지역사무소 직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2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2: 국가인권위원회 위촉강사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2) 국가인권위원회 위촉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3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3: 과거 국가인권위원회 양성과정 수료자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3) 국가인권위원회 현재 위촉 상태는 아니지만 과거 인권위 양성과정을 수료한 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4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4: 지자체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4) 지자체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예 : 서울시 인권강사,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인권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5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5: 각종 협회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5) 각종 협회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예 : 직능 협회 양성과정 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6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6: 시민단체 및 민간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6) 그 외 시민단체 또는 민간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7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7: 사회복지학과 교수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7)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8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8: 인권단체 소속 3년 이상 활동한 자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8) 인권단체 소속으로 3년 이상 활동한 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9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9: 모름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9) 모르겠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7_10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강사10: 기타
17.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시행한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10) 기타
: 기타내용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8
(내부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강사로 수강하였는지 여부
18. 2019년 1년 동안 시설의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진행 강사로 참여하였습니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8_1_1
(참여한 경우)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강사로 참여한 이유1: 내부인력 활용 편의성
18. 2019년 1년 동안 시설의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진행 강사로 참여하였습니까?
1) 내부 종사자가 강사로 참여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중복응답 가능)
1-1) 기관내부 인력 활용이 더 편의성이 있어서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8_1_2
(참여한 경우)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강사로 참여한 이유2: 수강생에 대한 이해 높음
18. 2019년 1년 동안 시설의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진행 강사로 참여하였습니까?
1) 내부 종사자가 강사로 참여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중복응답 가능)
1-2) 수강생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q18_1_3
(참여한 경우)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강사로 참여한 이유3: 외부 강사진 정보 없음
18. 2019년 1년 동안 시설의 내부 종사자가 인권교육 진행 강사로 참여하였습니까?
1) 내부 종사자가 강사로 참여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중복응답 가능)
1-3) 외부 강사진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