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3,541-3,560 (소요 시간: 0.009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13_2_4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4: 다른 사람의 혐오표현에 대응하기 위해서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④ 다른 사람의 혐오표현에 대응하기 위해서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9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9: 성소수자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9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9: 성소수자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9) 성소수자(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10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0: 페미니스트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2_5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5: 별다른 이유는 없다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⑤ 별다른 이유는 없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10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0: 페미니스트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10) 페미니스트(여성주의자)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11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1: 저소득층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4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우리사회 혐오와 차별의 변화

Q14. 귀하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를 비교했을 때 우리 사회의 혐오와 차별이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11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1: 저소득층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11) 저소득층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3_1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1: 학교/직장

Q3.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보거나 들었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① 학교/직장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5_1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1: 사회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사회적 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7_1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1: 인터넷 뉴스 기사 및 댓글

Q7.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접하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1) 인터넷 뉴스 기사 및 댓글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7_2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2: 개인 메신저 대화

Q7.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접하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2) 개인 메신저 대화(카카오톡, 라인, 밴드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5_2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2: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3_2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2: 동호회 등 모임

Q3.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보거나 들었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② 동호회 등 모임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5_3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3: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가 더욱 위축될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3)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가 더욱 위축될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3_3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3: 가정

Q3.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보거나 들었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③ 가정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7_3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3: 온라인 게임 채팅

Q7.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접하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3) 온라인 게임 채팅(채팅, 방제목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7_4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경험하는 장소4: 유튜브 등 개인 운영 방송

Q7.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어디에서 접하셨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4) 유튜브 등 개인 운영 방송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5_4

혐오차별 관련 향후 전망4: 차별 현상이 굳어질 것이다

Q15.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전망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4) 차별 현상이 굳어질 것이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