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2_5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5: 노인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5) 노인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5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5: 노인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1_5
(혐오표현 사용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5: 별다른 이유는 없다
Q13_1. (Q12문항 ①~③ 응답자만) 귀하가 혐오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⑤ 별다른 이유는 없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6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6: 특정지역 출신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6) 특정지역 출신(전라도, 경상도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8
우리 사회 혐오표현에 대한 정치인들의 역할
Q18. 귀하는 혐오표현에 대한 국회의원 등 정치인의 역할에 대해 다음 중 어디에 가장 동의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1_7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7: 정치인, 언론이 혐오를 부추길 수 있는 표현이나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
Q21.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입니다. 귀하는 이들 개별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정치인, 언론이 혐오를 부추길 수 있는 표현이나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2_1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1: 재미있어서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① 재미있어서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6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6: 특정지역 출신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B5
응답자 성적 지향
DQ5. 성적지향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B6
장애가 있는지 여부
DQ6. 장애 유무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9
과거 대비 언론의 혐오표현 사용 정도
Q19. 귀하는 기자 등 언론의 혐오표현이 과거에 비해 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줄었다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2_2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2: 남들도 그렇데 하니까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② 남들도 그렇게 하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7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7: 이주민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7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7: 이주민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7) 이주민(이주노동자, 난민, 다문화가정 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2_3
(혐오표현 사용 경험 없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3: 해당 집단이나 개인의 행태 때문에
Q13_2. (Q12문항 ④ 응답자만) 귀하는 다른 사람들이 왜 혐오표현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③ 해당 집단이나 개인의 행태 때문에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8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8: 북한이탈주민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8) 북한 이탈 주민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0
우리 사회 혐오표현에 대한 언론의 역할
Q20. 귀하는 혐오표현에 대한 기자 등 언론의 역할에 대해 다음 중 어디에 가장 동의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8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8: 북한이탈주민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B7
이주민 여부
DQ7. 이주민 여부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B8
사회적 이념 성향
DQ8. 사회적 이념성향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