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21_1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1: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차별시정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Q21.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입니다. 귀하는 이들 개별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차별시정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
최근 1년간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Q1. 최근 1년 동안, 귀하는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혐오표현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2
혐오표현 사용 빈도
Q12. 귀하는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십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A1_1
인터넷 이용시간: 시간
DQ1. [인터넷 이용 시간] 귀하는 하루에 학습이나 업무 외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약 몇 시간 이용하십니까?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 모든 인터넷 기기의 이용시간을 포함해 응답해 주십시오. (약 _____ 시간 _____ 분)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SQ1
응답자 성별
SQ1. 성별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5
최근 1년간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Q5. 최근 1년 동안, 귀하는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을 접한 적이 있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1_2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2: 학교에서 혐오와 차별을 예방하는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Q21. 다음은 혐오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입니다. 귀하는 이들 개별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학교에서 혐오와 차별을 예방하는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1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 여성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1)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6_2
혐오표현의 원인2: 인터넷서비스 사업자들이 혐오표현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
Q16. 다음은 혐오표현이 발생하거나 심화하는 원인에 대한 의견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인터넷서비스 사업자들이 혐오표현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B1_ETC
응답자 직업: 기타내용
DQ1. 직업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A1_2
인터넷 이용시간: 분
DQ1. [인터넷 이용 시간] 귀하는 하루에 학습이나 업무 외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약 몇 시간 이용하십니까?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 모든 인터넷 기기의 이용시간을 포함해 응답해 주십시오. (약 _____ 시간 _____ 분)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1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1: 여성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1) 여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SQ2
응답자 연령
SQ2. 연령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1_1
(혐오표현 사용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1: 재미있어서
Q13_1. (Q12문항 ①~③ 응답자만) 귀하가 혐오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① 재미있어서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3_1_2
(혐오표현 사용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사용 이유2: 남들도 그렇데 하니까
Q13_1. (Q12문항 ①~③ 응답자만) 귀하가 혐오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② 남들도 그렇게 하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16_3
혐오표현의 원인3: 정치인 등 유명인들도 혐오표현을 쓰다보니 문제라고 느끼지 않게 되었다
Q16. 다음은 혐오표현이 발생하거나 심화하는 원인에 대한 의견입니다. 귀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3) 정치인 등 유명인들도 혐오표현을 쓰다보니 문제라고 느끼지 않게 되었다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6_2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2: 남성
Q6. (Q5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온라인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Q2_2
(오프라인에서 혐오표현 접한 경험 있는 경우) 혐오표현 대상 빈도2: 남성
Q2. (Q1문항 ① 응답자만) 귀하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 아래 대상에 대한 혐오표현을 얼마나 자주 경험하셨습니까? (2) 남성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DQA2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DQ2. [주 이용 서비스] 귀하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다음 중 무엇입니까?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
SQ2_R
응답자 연령(분류)
SQ2. 연령
한국사회 혐오차별 인식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