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3,341-3,360 (소요 시간: 0.009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B2_7_2_7

(학생대상 인권교육 진행하지 않은 경우) 이유7: 관련 수업 담당이 아님

2-7-2. 활용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2가지 이하로 선택해 주세요. (7) 관련 수업 담당이 아님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6_1_8

(인권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은 경우) 부족한 점8: 기타

2-6-1. (1, 2, 3을 선택한 분들만 응답하여 주세요.) 교원 대상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의 부족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8) 기타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7_2_8

(학생대상 인권교육 진행하지 않은 경우) 이유8: 기타

2-7-2. 활용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2가지 이하로 선택해 주세요. (8) 기타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5_10

학생인권에 대한 의견10: 학칙 등 학교규칙이나 규정을 만들거나 고칠 때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5. 다음은 교육현장에서의 학생인권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세요. (10) 학칙 등 학교규칙이나 규정을 만들거나 고칠 때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C2_5

교내 학생인권 보장 환경에 대한 인지5: 학교인권영향평가

2.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어느 정도 잘 알고 계십니까? (5) 학교인권영향평가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A8

현재 근무지역

8. 선생님께서 현재 근무하시는 지역은 어디입니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10_10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평가10: 강사는 열의를 갖고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을 충실히 진행하였다

2-10. 선생님이 받았던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적절한 곳에 표시해 주세요. (10) 강사는 열의를 갖고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을 충실히 진행하였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6_2_1

(인권을 학습한 경우) 활용 매체1: 책

6-2.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1) 책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3_6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 주체6: 인권단체, 시민단체

2-3.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를 시행한 주체는 누구였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6) 인권단체, 시민단체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5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방법

2-5. 교육이나 연수의 방법은 주로 무엇이었습니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6_2_2

(인권을 학습한 경우) 활용 매체2: 온라인 (TV, 유튜브)

6-2.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2) 온라인 (TV, 유튜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8

(향후 학생대상 인권교육 진행할 의향이 있는 경우) 연수참여 여부

2-8. 교원 대상 인권교육 연수 참여는 의무적이었습니까, 자발적이었습니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5_11

학생인권에 대한 의견11: 용모와 복장에 대한 생활지도는 학습 분위기 형성을 위해서 필요하다

5. 다음은 교육현장에서의 학생인권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세요. (11) 용모와 복장에 대한 생활지도는 학습 분위기 형성을 위해서 필요하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C2_6

교내 학생인권 보장 환경에 대한 인지6: 학생인권의 날

2.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어느 정도 잘 알고 계십니까? (6) 학생인권의 날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3_7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 주체7: 기타

2-3.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를 시행한 주체는 누구였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7) 기타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6_2_3

(인권을 학습한 경우) 활용 매체3: 스터디 모임

6-2.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3) 스터디 모임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5_12

학생인권에 대한 의견12: 교사가 징계 사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않으면 학생이 불응하는 것은 당연하다

5. 다음은 교육현장에서의 학생인권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세요. (12) 교사가 징계 사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않으면 학생이 불응하는 것은 당연하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C3

학생 인권 침해 시 구제절차 인지 여부

3. 학생이 인권침해를 당했을 때 구제절차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9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인권의식 향상 여부

2-9. 연수를 받고 인권 의식(인권 판단력, 인권 감수성, 행동 의사 등)이 향상되었습니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6_2_4

(인권을 학습한 경우) 활용 매체4: 강의 (오프라인)

6-2.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4) 강의 (오프라인)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