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3,301-3,320 (소요 시간: 0.008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C1_5

학생인권 보장 조례에 대한 인지5: 세계인권선언

1.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문건을 어느 정도 잘 알고 계십니까? (5) 세계인권선언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3_2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 주체2: 소속학교

2-3.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를 시행한 주체는 누구였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2) 소속학교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6_1_5

(인권을 학습한 경우) 학습내용5: 시사성 높은 또는 중요한 사회문제화 된 인권 관련 주제 (난민, 성소수자 등)

6-1. 어떠한 내용을 공부하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 5) 시사성 높은 또는 중요한 사회문제화 된 인권 관련 주제 (난민, 성소수자 등)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C2_1

교내 학생인권 보장 환경에 대한 인지1: 학생인권위원회

2.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어느 정도 잘 알고 계십니까? (1) 학생인권위원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6_1_5

(인권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은 경우) 부족한 점5: 최근 개정된 인권내용 포함 안 됨

2-6-1. (1, 2, 3을 선택한 분들만 응답하여 주세요.) 교원 대상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의 부족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5) 최근 개정된 인권내용 포함 안 됨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4_6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내용6: 인권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인권교육의 내용

2-4. 교육이나 연수의 내용은 무엇이었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6) 인권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인권교육의 내용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A5_2

(중학교 재직인 경우) 중학교 유형

5. 선생님께서 재직 중인 학교의 설립유형을 선택하여 주세요. 5-2. 4번 항목에서 중학교를 선택하신 분들만 응답해 주세요.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4_3

교원대상 인권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 3순위

4. 선생님께서는 교원 대상 인권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필요한 순서대로 3순위까지 선택해 주세요. 3순위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6_2_5

(인권교육이 도움이 된 경우) 도움이 된 점5: 학생인권조례 및 기타 관련 법령 등의 내용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음

2-6-2. (4, 5를 선택한 분들만 응답하여 주세요.)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의 어떤 점이 도움이 되었습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5) 학생인권조례 및 기타 관련 법령 등의 내용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10_6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평가6: 강사는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여 이해도를 높였다

2-10. 선생님이 받았던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적절한 곳에 표시해 주세요. (6) 강사는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여 이해도를 높였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5_6

학생인권에 대한 의견6: 도구를 이용한 직접 체벌이 아니라면 훈육을 목적으로 학생에게 간접 체벌을 할 수 있다

5. 다음은 교육현장에서의 학생인권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세요. (6) 도구를 이용한 직접 체벌이 아니라면 훈육을 목적으로 학생에게 간접 체벌을 할 수 있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7_2_4

(학생대상 인권교육 진행하지 않은 경우) 이유4: 인권교육 필요성에 대한 학교 현장의 공감대 부재

2-7-2. 활용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2가지 이하로 선택해 주세요. (4) 인권교육 필요성에 대한 학교 현장의 공감대 부재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6_2_6

(인권교육이 도움이 된 경우) 도움이 된 점6: 인권친화적 태도 및 가치 습득, 인권 감수성 향상을 이끌어냄

2-6-2. (4, 5를 선택한 분들만 응답하여 주세요.)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의 어떤 점이 도움이 되었습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6) 인권친화적 태도 및 가치 습득, 인권 감수성 향상을 이끌어냄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C2_2

교내 학생인권 보장 환경에 대한 인지2: 학생인권의회(학교학생인권위원회)

2.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어느 정도 잘 알고 계십니까? (2) 학생인권의회(학교학생인권위원회)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4_7

(인권교육 참여 경험 있는 경우) 교육내용7: 학생인권조례, 기타 법령 등의 내용

2-4. 교육이나 연수의 내용은 무엇이었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7) 학생인권조례, 기타 법령 등의 내용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6_1_6

(인권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은 경우) 부족한 점6: 교육시간의 부족

2-6-1. (1, 2, 3을 선택한 분들만 응답하여 주세요.) 교원 대상 인권교육이나 관련 연수의 부족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6) 교육시간의 부족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6_1_6

(인권을 학습한 경우) 학습내용6: 인권침해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상담 및 권리 구제 절차

6-1. 어떠한 내용을 공부하셨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6) 인권침해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상담 및 권리 구제 절차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A5_3

(고등학교 재직인 경우) 고등학교 유형

5. 선생님께서 재직 중인 학교의 설립유형을 선택하여 주세요. 5-3. 4번 항목에서 고등학교를 선택하신 분들만 응답해 주세요.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2_7_2_5

(학생대상 인권교육 진행하지 않은 경우) 이유5: 인권교육 시행 과정에서 학교의 지원 부족

2-7-2. 활용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2가지 이하로 선택해 주세요. (5) 인권교육 시행 과정에서 학교의 지원 부족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

B5_7

학생인권에 대한 의견7: 학생인권이 확대되면 반대로 교권이 축소될 수 있다

5. 다음은 교육현장에서의 학생인권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해 주세요. (7) 학생인권이 확대되면 반대로 교권이 축소될 수 있다

초·중등 교원 인권교육 실태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