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4,801-4,820 (소요 시간: 0.018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23_2

코로나19의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보획득 경로2: 본국 TV 뉴스나 언론 기사

23. 당신은 코로나 19 감염병의 예방과 대응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었습니까?② 본국 TV 뉴스나 언론 기사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7_1_10x

(한국에서 의료기관 이용경험 있는 경우) 이용횟수10: 기타내용

17-1. 당신은 다음 중 어떠한 이유로 의료기관을 이용했습니까? 아래의 표를 보고, 각각의 이유로 이용한 적이 있으면 O, 없으면 X 표를 해주십시오. 또, 그러한 이유로 이용한 횟수는 몇 번인지 표시해주십시오. J. 기타의 이유로 의료기관 이용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0

월평균 소득

10. 작년 한 해 동안 당신의 월 평균 소득은 얼마였습니까?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해서 답해주십시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6_2

(신체적/정신적 장애 있는 경우) 한국에서 장애인 등록 여부

16-2. 당신은 현재 한국에서 장애인으로 등록되어 있습니까?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7_4_5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 건강보험 관련 경험 유무5: 잊어버려 보험료 미납

27-4. 당신 또는 당신과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이 건강보험료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까? 각 항목을 읽고 그런 적이 있으면 O, 없으면 X 표를 해주십시오. E. 건강보험료를 내야 하는 걸 깜빡 잊어서 보험료를 내지 못한 적이 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7_4_6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 건강보험 관련 경험 유무6: 보험료 체납으로 의료기관 가지 못함

27-4. 당신 또는 당신과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이 건강보험료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까? 각 항목을 읽고 그런 적이 있으면 O, 없으면 X 표를 해주십시오. F. 건강보험료를 체납해서 병·의원을 가지 못한 적이 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3_3

코로나19의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보획득 경로3: 한국 정부기관 홈페이지

23. 당신은 코로나 19 감염병의 예방과 대응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었습니까?③ 한국 정부기관 홈페이지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0x

월평균 소득: 자세히

10. 작년 한 해 동안 당신의 월 평균 소득은 얼마였습니까?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해서 답해주십시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7_2_1

(한국에서 의료기관 이용경험 있는 경우) 의료비 해결 방법1: 본인 부담

17-2. 의료기관을 이용했을 때, 스스로 부담하기에 의료비가 너무 비쌌던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의료비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해당되는 보기에 모두 √표 해주십시오. ① 스스로 부담하지 못할 정도로 의료비가 비싸게 나온 적이 없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1

가족 동거 여부

11. 당신은 한국에서 가족과 같은 집에서 함께 살고 있습니까?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3_4

코로나19의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보획득 경로4: 한국 정부기관이 보낸 휴대전화 문자

23. 당신은 코로나 19 감염병의 예방과 대응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었습니까?④ 한국 정부기관이 보낸 휴대전화 문자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7_2_2

(한국에서 의료기관 이용경험 있는 경우) 의료비 해결 방법2: 가족/친인척/친구 도움

17-2. 의료기관을 이용했을 때, 스스로 부담하기에 의료비가 너무 비쌌던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의료비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해당되는 보기에 모두 √표 해주십시오. ② 가족이나 친인척, 친구의 도움을 받아서 해결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7_4_7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 건강보험 관련 경험 유무7: 보험료 체납으로 의료기관 이용 후 비용 지불 어려움

27-4. 당신 또는 당신과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이 건강보험료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까? 각 항목을 읽고 그런 적이 있으면 O, 없으면 X 표를 해주십시오. G. 건강보험료를 체납해서 병·의원을 이용하고 비용 지불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7_4_8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 건강보험 관련 경험 유무8: 보험료 체납으로 체류기간 연장 어려움

27-4. 당신 또는 당신과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이 건강보험료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까? 각 항목을 읽고 그런 적이 있으면 O, 없으면 X 표를 해주십시오. H. 건강보험료를 체납해 체류기간 연장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3_5

코로나19의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보획득 경로5: 본국 사람들과 하는 위챗, 페이스북 등 SNS

23. 당신은 코로나 19 감염병의 예방과 대응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었습니까?⑤ 본국 사람들과 하는 위챗, 페이스북 등 SNS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7_2_3

(한국에서 의료기관 이용경험 있는 경우) 의료비 해결 방법3: 이주민/동포/난민 지원단체 도움

17-2. 의료기관을 이용했을 때, 스스로 부담하기에 의료비가 너무 비쌌던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의료비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해당되는 보기에 모두 √표 해주십시오. ③ 이주민/동포/난민 지원단체의 도움을 받아서 해결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1_1_1

동거 가구원 유무1: 배우자

11-1. 당신과 함께 사는 가족은 누구이며 몇 명입니까? 해당하는 번호에 √표 하시고, 몇 명인지 숫자를 써주십시오. ① 배우자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1_1_2

동거 가구원 수2: 본인 또는 배우자의 부모

11-1. 당신과 함께 사는 가족은 누구이며 몇 명입니까? 해당하는 번호에 √표 하시고, 몇 명인지 숫자를 써주십시오. ② 본인 또는 배우자의 부모 ____ 명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17_2_4

(한국에서 의료기관 이용경험 있는 경우) 의료비 해결 방법4: 한국 정부 지원사업

17-2. 의료기관을 이용했을 때, 스스로 부담하기에 의료비가 너무 비쌌던 적이 있습니까? 그럴 때 의료비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해당되는 보기에 모두 √표 해주십시오. ④ 한국 정부 지원사업의 도움을 받아서 해결했다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

q23_6

코로나19의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보획득 경로6: 기타

23. 당신은 코로나 19 감염병의 예방과 대응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었습니까?⑥ 기타

이주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