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12,901-12,920 (소요 시간: 0.023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4_2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2: 장애인과 의견이 상반되면 설득하기 어려움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 장애인과 의견이 상반되면 설득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3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3: 장애인들은 건강상의 문제가 더 많을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3) 장애인들은 건강상의 문제가 더 많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4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4: 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을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4) 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5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5: 장애인은 갑작스런 돌발행동을 할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5) 장애인은 갑작스런 돌발행동을 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6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6: 장애인은 고집이 셀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6) 장애인은 고집이 셀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7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7: 장애인은 공격 성향이 강할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7) 장애인은 공격성향이 강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8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8: 장애인은 도움만 받고 살아 왔을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8) 장애인은 도움만 받고 살아 왔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9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9: 장애인은 장애 때문에 성격도 좋지 않을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9) 장애인은 장애 때문에 성격도 좋지 않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10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10: 장애인은 전문적인 자격증이나 기술이 없을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0) 장애인은 전문적인 자격증이나 기술이 없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11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11: 장애인은 조직생활에 부적합할 것임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1) 장애인은 조직생활에 부적합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4_12

장애에 대한 일반적 인식12: 장애인이니까 비장애인 보다 차별하여도 됨

4. 다음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2) 장애인이니까 비장애인 보다 차별하여도 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1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1: 장애가 생긴다면 현 수행 업무를 할 수 없을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 만일 나에게 장애가 생긴다면 지금 수행하는 일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2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2: 장애가 있으면 업무지식에 대한 학습능력이 좋지 않을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 장애가 있으면 업무지식에 대한 학습능력이 좋지 않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3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3: 장애가 있으면 지적능력도 나쁠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3) 장애가 있으면 지적능력도 나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4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4: 장애인 근로자는 갑자기 아파 결근일이 많을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4) 장애인 근로자는 갑자기 아파서 회사에 결근하는 날이 많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5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5: 장애인 근로자는 상사나 동료간의 사소한 일에도 상처 받을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5) 장애인 근로자는 상사나 동료간의 사소한 일에도 상처받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6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6: 장애인 근로자는 야근이나 초과근무를 하기 어려울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6) 장애인 근로자는 야근이나 초과근무를 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7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7: 장애인 근로자는 장기근속이 어려울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7) 장애인 근로자는 장기근속이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8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8: 장애인 근로자는 직무능력이 비장애인보다 좋지 않을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8) 장애인 근로자는 직무능력이 비장애인보다 좋지 않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5_9

장애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9: 장애인 근로자는 출퇴근이 어려울 것임

5. 다음은 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한 인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9) 장애인 근로자는 출퇴근이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