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국가인권위원회14612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는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인권 전담 국가기구입니다. 인권전담 국가기구로서 인권 관련 정책 개선, 인권침해 조사 및 구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홍보, 국내 및 국제 인권 향상을 위한 국내외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권 상황 개선 및 국민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법령, 정책, 관행에 대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도서관(https://library.humanrights.go.kr/)에서는 인권관련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인권위 간행물의 원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4,612건 중 13,421-13,440 (소요 시간: 0.013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34_1_4

출산 전후 및 육아4: 자녀양육을 위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적이 있다

34-1. 출산 전·후 및 육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표 하십시오. 4) 자녀양육을 위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적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4_1_5

출산 전후 및 육아5: 자녀를 돌보기 위해 스스로 회사를 그만둔 경험이 있다

34-1. 출산 전·후 및 육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표 하십시오. 5) 자녀를 돌보기 위해 스스로 회사를 그만둔 경험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4_1_6

출산 전후 및 육아6: 자녀를 돌볼 사람이 없어서 본국에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다

34-1. 출산 전·후 및 육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표 하십시오. 6) 자녀를 돌볼 사람이 없어서 본국에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4_1_7

출산 전후 및 육아7: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족을 초청하려 했으나 비자를 거절당했다

34-1. 출산 전·후 및 육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표 하십시오. 7)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족을 초청하려 했으나 비자를 거절당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4_1_8

출산 전후 및 육아8: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족을 초청하고 싶었으나 비자신청절차가 복잡하여 포기한 적이 있다

34-1. 출산 전·후 및 육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표 하십시오. 8)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족을 초청하고 싶었으나 비자신청절차가 복잡하여 포기한 적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4_1A

출산전후휴가를 법정일수 이상 사용하지 못한 이유

34-1-1. 출산전후휴가를 법정일수(90일) 이상 사용하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5

업무 외 사용자나 관리자의 사적인 일에 동원된 경험

35. 당신은 업무 외 사용자나 관리자의 사적인 일 등에 동원된 적이 있습니까?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1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1: 나는 지금 일하는 회사에서 사장 또는 관리자들로부터 존중받고 있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1) 나는 지금 일하는 회사에서 사장 또는 관리자들로부터 존중받고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2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2: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본국의 자녀와 가족을 자주 만나지 못해 우울한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2)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본국의 자녀와 가족을 자주 만나지 못해 우울한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3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3: 내가 지금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은 여성이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일이라고 느낀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3) 내가 지금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은 여성이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일이라고 느낀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4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4: 사업장을 포함한 사회에서도 여성에 대한 성희롱 및 성폭력이 심각하다고 느낀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4) 사업장을 포함한 사회에서도 여성에 대한 성희롱 및 성폭력이 심각하다고 느낀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5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5: 성폭행 등 범죄 피해를 당할 경우, 나는 경찰 등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5) 성폭행 등 범죄 피해를 당할 경우, 나는 경찰 등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6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6: 외국인 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각하다고 느낀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6) 외국인 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각하다고 느낀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6_7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갖은 느낌7: 한국인 근로자들로부터 존중받고 있으며, 그들과 동료애를 느낀다

36. 당신은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까? 7) 한국인 근로자들로부터 존중받고 있으며, 그들과 동료애를 느낀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7

한국 사업장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경험

37. 당신은 한국 사업장에 일하면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7_1_1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것1: 남자와 같거나 유사한 일을 하는데, 임금은 적게 받는다

37-1.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경험이 무엇인지 아래 항목에 √표 해주세요. (복수응답) 1) 남자와 같거나 유사한 일을 하는데, 임금은 적게 받는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7_1_2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것2: 여자기숙사나 휴게실 시설이 남자 대상 시설보다 열악하다

37-1.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경험이 무엇인지 아래 항목에 √표 해주세요. (복수응답) 2) 여자기숙사나 휴게실 시설이 남자 대상 시설보다 열악하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7_1_3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것3: 외모, 키, 체중 등 때문에 불이익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다

37-1.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경험이 무엇인지 아래 항목에 √표 해주세요. (복수응답) 3) 외모, 키, 체중 등 때문에 불이익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7_1_4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것4: 임신이나 출산을 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다

37-1.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경험이 무엇인지 아래 항목에 √표 해주세요. (복수응답) 4) 임신이나 출산을 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

Q37_1_5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것5: 더 임금이 많은 일을 하고 싶은데, 여자여서 임금이 적은 일에 배치된 적이 있다

37-1.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당한 경험이 무엇인지 아래 항목에 √표 해주세요. (복수응답) 5) 더 임금이 많은 일을 하고 싶은데, 여자여서 임금이 적은 일에 배치된 적이 있다

제조업 분야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6 :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