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_1_3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긍정적 영향3: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향상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가 함께 지내는 긍정적 영향
(3) 장애위험 영유아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향상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1_1_4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긍정적 영향4: 부정적인 요인 예방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가 함께 지내는 긍정적 영향
(4)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낙인, 사회적 고립) 예방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1_2_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부정적 영향1: 활동내용이 어려워 좌절감 경험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장애위험 영유아가 경험하는 어려움
(1) 장애위험 영유아는 활동 내용이 어려워 좌절감 경험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1_2_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부정적 영향2: 또래와의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경험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장애위험 영유아가 경험하는 어려움
(2) 장애위험 영유아는 활동 내용이 어려워 좌절감 경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1_2_3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부정적 영향3: 참여 기화와 활동 참여에 대한 동기 감소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장애위험 영유아가 경험하는 어려움
(3) 같은 활동 진행 시 참여기회와 활동참여에 대한 동기 감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2_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 함께 교육 시 담임교사의 어려움1: 수업계획 시 수준별 준비로 인한 업무 부담감
D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1) 수업계획 시 수준별로 준비해야 하는 교사의 업무 부담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2_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 함께 교육 시 담임교사의 어려움2: 장애위험 영유아를 돌보느라 또래에게 소홀해짐
D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2) 장애위험 영유아를 돌보느라 또래영유아에게 소홀해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2_3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 함께 교육 시 담임교사의 어려움3: 안전상 우려가 커짐
D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3) 보육활동 중 안전 상 우려가 커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2_4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 함께 교육 시 담임교사의 어려움4: 장애위험 영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감정조절 어려움
D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4) 장애위험 영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감정조절 어려움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2_5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 함께 교육 시 담임교사의 어려움5: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적합한 교수방법 적용의 어려움
D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5)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적합한 교수방법 적용의 어려움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1_1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1: 만 0세반 (명)
E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만 0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1_2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2: 만 1세반 (명)
E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만 1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1_3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3: 만 2세반 (명)
E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만 2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1_4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4: 만 3세반 (명)
E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만 3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1_5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5: 만 4세반 (명)
E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만 4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1_6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6: 만 5세반 (명)
E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만 5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2_1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1: 보육교직원 대상 장애위험 조기발견 필요성 교육 이수
E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보육교직원 대상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의 필요성 교육 이수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2_2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2: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으로 인한 업무 증가에 따른 보조인력 우선 지원
E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으로 인한 업무증가에 따른 보조인력 우선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2_3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3: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내 지원
E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3)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내 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e2_4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4: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외 지원
E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4)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외 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