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경기도여성가족재단7667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여성가족재단(Gyeonggido Women & Family Foundation)은 경기도 지역실정에 적합한 가족 및 여성정책을 개발하고 가족의 기능강화 및 양성평등 사회 구현을 목적으로 2004년 설립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설립 취지에 따라 동 재단은 2008년 전국 최초로 여성가족부 지정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를 설치하여 공무원 성인지 교육 및 예산제도 지원 활동을 주요 사업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성, 여성일자리, 가족, 보육, 아동청소년, 다문화 등을 주제로 한 연구를 매년 60여 과제씩 수행하여 관련 정책마련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7,667건 중 901-920 (소요 시간: 0.01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b1_2_3

(동의하지 않은 경우) 전문가의 자문 및 도움을 원치 않을 때 응답자 대처행동

B1-2-3. 부모가 전문가의 자문이나 도움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귀하는 어떻게 대처하십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b1_2_3x

(동의하지 않은 경우) 전문가의 자문 및 도움을 원치 않을 때 응답자 대처행동: 기타내용

B1-2-3. 부모가 전문가의 자문이나 도움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귀하는 어떻게 대처하십니까? : 기타내용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b1_2_4

(타기관 원장에게 도움받은 경우) 다른 기관 원장의 도움방법

B1-2-4. 귀하가 원장님께 도움을 요청했을 때 원장님께서는 어떤 방법으로 도움을 주셨습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b1_2_4x

(타기관 원장에게 도움받은 경우) 다른 기관 원장의 도움방법: 기타내용

B1-2-4. 귀하가 원장님께 도움을 요청했을 때 원장님께서는 어떤 방법으로 도움을 주셨습니까? : 기타내용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b1_2_5

부모의 인식 전환에 대한 외부 지원의 도움 정도

B1-2-5. 부모에게 해당 영유아의 상태를 알렸을 때 부모가 인정하지 않고, 전문가의 자문이나 도움을 받는 것에도 동의하지 않은 부모가 외부로부터의 도움을 받았을 때 부모의 인식을 바꾸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b2

향후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시 부모에게 알릴 의향

B2. 귀하가 향후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도하게 된다면 부모에게 영유아의 상태를 알리겠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b3

부모에게 전문기관 평가를 안내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

B3. 귀하가 담당하고 있는 영유아가 장애위험 영유아로 생각되지만 부모에게 전문기관에서의 평가를 안내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1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C1.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떻게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1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1: 적용해보지 않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1) 적용해보지 않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2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2: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짧게 구성했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2)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짧게 구성하였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3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3: 영유아가 좋아하는 놀잇감, 사람, 활동을 제공했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3) 영유아가 좋아하는 놀잇감, 사람, 활동을 제공하였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4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4: 활동을 쉽게 구성했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4) 활동을 쉽게 구성하였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5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5: 해당 영유아의 참여를 돕기 위해 활동단계를 줄여줬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5) 해당 영유아의 참여를 돕기 위해 활동단계를 줄여주었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6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6: 해당 영유아를 도와줄 유능한 또래의 지원을 받도록 했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6) 해당 영유아를 도와줄 유능한 또래의 지원을 받도록 하였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7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7: 영유아와 긍정적인 관계를 지원했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7) 영유아와 긍정적인 관계(일대일로 대화하기, 경청하기 등)를 지원하였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2_8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에게 적용한 교육방법 내용8: 학급 내 규칙을 만들어 적용했음

C2.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에게 어떤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습니까?(다중응답가능함) 8) 학급 내 규칙을 만들어 적용하였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3

지원방법 적용 후 장애위험 의심 영유아의 변화

C3. 위와 같은 지원 방법은 장애위험 영유아로 의심되는 영유아의 변화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습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c4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교육적 지원을 적용하지 못한 이유

C4. 장애위험 영유아로 생각되지만 교육적 지원을 적용해보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1_1_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긍정적 영향1: 인성발달에 도움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가 함께 지내는 긍정적 영향 (1) 서로 도우며 함께 지내는 것을 경험하고 배우게 되어 인성발달에 도움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d1_1_2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함께 지낼 시 긍정적 영향2: 활동참여에 대한 동기 증가

D1. 귀하는 또래집단내에서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가 함께 지내는 긍정적 영향 (2) 또래와 함께 지내는 경험을 통해서 장애위험 영유아의 활동참여에 대한 동기 증가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보육교사

<<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