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KBS 공영미디어연구소3355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KBS 공영미디어연구소(KBS Public Media Institute)는 1973년 방송연구소로 설립된 이래 방송의 공익성 제고와 방송문화 선도를 위한 방송정책 및 방송저널리즘 연구를 산학협력과 다양한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16만 명의 KBS 국민패널을 보유하고 있는 동 연구소는 방송 편성·제작과 정책의 기초 자료 활용을 위해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및 각종 이슈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외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와 함께 국민의 시간활용에 관한 실태자료인 국민생활시간조사를 1981년부터 5년 주기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3,355건 중 641-660 (소요 시간: 0.007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3_10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10: 비상 식료품 사재기 증가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10) 비상 식료품(햇반, 라면 등) 사재기가 증가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3_14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14: 각종 행사 및 관람 취소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14) 공연, 스포츠 등이 취소되거나 관람을 취소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3_9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9: 수업방식 변화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9) 나 또는 가족이 원격수업을 받는 등 수업방식이 바뀌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3_11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11: 생활용품 구매 증가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11) 화장지, 소독제 등의 생활용품 구매가 증가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3_7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7: 홈쇼핑 및 인터넷쇼핑 증가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7) 홈쇼핑, 인터넷 쇼핑이 늘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3_13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13: 국내외 여행계획 취소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13) 국내외 여행계획을 취소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3_6

코로나19 이후 일상생활에 대한 변화6: 배달음식 주문 증가

문3.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귀하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있었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아래 보기 중 변화가 있었던 항목은 모두 체크해주세요. 6) 배달 음식 주문이 늘었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1_3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인식3: 코로나19 이전으로 되돌아갈 수 있음

문11. 최근 도입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래의 예시를 참고하여, 각 항목에 대해 동의하면 10점에 가깝게, 동의하지 않으면 0점에 가깝게 체크해주십시오. 3) 코로나19 백신이 상용화되고 치료제가 개발되면, 코로나19가 없던 이전의 삶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1_1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인식1: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임

문11. 최근 도입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래의 예시를 참고하여, 각 항목에 대해 동의하면 10점에 가깝게, 동의하지 않으면 0점에 가깝게 체크해주십시오. 1) 현재 도입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1_2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인식2: 코로나19가 종식될 수 있음

문11. 최근 도입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래의 예시를 참고하여, 각 항목에 대해 동의하면 10점에 가깝게, 동의하지 않으면 0점에 가깝게 체크해주십시오. 2) 현재 도입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코로나19가 종식될 수 있을 것이다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8_1st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일상에서의 불편사항: 1순위

문8.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인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귀하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불편한 부분은 무엇입니까? 가장 불편한 순서대로 2개만 체크해주세요.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8_2nd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일상에서의 불편사항: 2순위

문8.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인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귀하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불편한 부분은 무엇입니까? 가장 불편한 순서대로 2개만 체크해주세요.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0

(자녀 있는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교육방식 변화에 대한 가장 큰 문제점

문10. (문9번 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교육방식 변화 중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2

코로나19 예방접종 의향

문12. 코로나19 백신이 보급되어 예방접종이 가능해진다면, 귀하는 예방접종을 하시겠습니까?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9

현재 초·중·고 재학 중인 자녀 유무

문9. 귀하는 현재 초/중/고에 재학 중인 자녀가 있습니까?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3

국내 코로나19 예상 종식 시기

문13. 귀하는 국내의 코로나19 종식 시기를 언제로 예상하십니까?

2020년도와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 2021

q1

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의견

문1. 최근 5년 동안 삼성, 현대차, LG그룹 등 총수가 있는 대기업 절반 이상은 경영권 승계를 위해 기존 총수 일가 자녀 세대의 핵심 계열사 보유 지분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귀하는 이러한 재벌3세, 4세로의 경영권 승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2020

q7

대기업 총수 일가의 횡령 및 업무상 배임 시 회사 경영 제한에 대한 의견

문7. 기업 총수 일가가 지위를 이용해 회사돈을 빼돌리거나 회사에 손해를 가하는 ‘횡령 및 업무상 배임’을 저지른 경우, 총수 일가의 회사 경영 참여를 제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2020

q11

경제사범의 취업제한 제도에 대한 의견

문11.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에 따라 5억원 이상의 횡령·배임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경제사범은 일정 기간 동안 범죄와 관련된 기업에 취업할 수 없지만, 법무부의 승인을 받으면 취업이 가능합니다. 귀하는 이러한 경제사범의 취업제한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2020

q4

대기업 총수 일가가 기업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에 대한 의견

문4.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삼성그룹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지분율은 0.27%입니다. 또한 총수가 있는 55개 대기업에서 총수 일가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은 평균 3.6%입니다. 귀하는 대기업 총수 일가가 극소수 지분으로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벌 경영권 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2020

<<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