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 교육권 실태조사, 2014 : 특수교사
- 자료유형
- 조사자료
- 자료번호
- A1-2014-0098
- 자료명(국문)
- 장애학생 교육권 실태조사, 2014 : 특수교사
- URI
- http://hdl.handle.net/20.500.12236/15804
- 연구과제명
- 장애학생 교육권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 연구책임자
- 김삼섭,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 공동연구자
- 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 김기룡, 전국장애인교육권연대 사무처장
- 연구수행기관
- 국가인권위원회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저작권
- 국가인권위원회
- 연구비지원기관
- 국가인권위원회
- 자료기탁자/기관
- 국가인권위원회
- 자료기탁일
- 2015-02-13
- 자료공개일
- 2015-10-23
- 자료버전
- CODEBOOK V 1.0
- 초록
- 이 조사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일반학교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통합교육 과정에서 장애학생에게 보장되는 교육권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행한 것이다. 자료는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전국 974개 초·중·고등학교의 특수교사, 일반교사, 보조인력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수집되었다. 이 자료는 특수교사들로부터 수집된 것으로 주요 내용에는 장애학생에 대한 인권침해 사건의 발생빈도와 특성(가해자, 발생시기, 발생장소), 인권침해 사건 발생 시 대응(인지경로, 대응방법, 대응시기, 미대응 사유, 미대응 시 피해자와 주변의 반응, 학교의 대처), 인권침해 사건 발생 후 변화(후속결과, 피해학생과 학교에 미치는 영향), 장애학생의 학습수월성 보장, 학교와 구성원의 통합교육 지원, 장애학생의 학습참여와 친구관계, 일반학생의 장애학생 수용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 키워드
- 장애인인권, 장애인차별, 학생인권, 학습권, 교육권, 교육차별
- 주제분류
- 교육
- 자료수집기간
- 2014-09-23~2014-10-14
- 대상국가
- 대한민국 (KOR)
- 조사지역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분석단위
- 개인
- 조사대상
-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전국 974개 초·중·고등학교의 특수교사
- 시간적차원
- 횡단적 연구 (one time cross-sectional study)
- 자료수집방법
- SurveyMonkey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조사
- 표본추출방법
-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전국 11,027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지역 및 학교급별 분포에 비례하도록 974개 학교를 선정한 후 학교별로 1명씩 조사
- 표본크기
- 399 (유효사례)
- 가중치
- 없음
- 자료구성
- 설문지(pdf) ; 코드북(pdf) ; 데이터(sav)
- 사용언어
- 설문지-한글 ; 코드북-한글 ; 데이터-한글
- 자료공개여부
- 공개
- 자료이용안내
- 「장애학생 교육권 실태조사, 2014」는 특수교사(A1-2014-0098), 일반교사(A1-2014-0099), 보조인력(A1-2014-0100) 및 학부모(A1-2014-0101)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 자료인용서식
- 김삼섭, 박은혜, 김기룡. 장애학생 교육권 실태조사, 2014 : 특수교사 [데이터 세트]. 국가인권위원회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KOSSDA) [자료제공기관], 2015-10-23, A1-2014-0098, V 1.0. http://hdl.handle.net/20.500.12236/15804
File Information
자료유형 | 파일명 | 내용 | 파일종류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관련파일-설문지(한글) | kor_que_20140098.pdf | 설문지 (한글) | PDF | 913.87 kB | 다운로드 |
관련파일-코드북(한글) | kor_codebook_20140098.pdf | 코드북 (한글) | PDF | 616.77 kB | 다운로드 |
-
김삼섭 ; 박은혜 ; 김기룡. 2014. 장애학생 교육권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KSSL
Google